한국 근로자들, 정부 '주 5일 근무법안' 반발 파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4월 파업 당시의 한국 근로자들. "정부의 주5일 근무제 법안이 실행되면 임금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한다.
기획 - 긴장의 한반도

한국 최대 노동조합의 10만명이 넘는 구성원들이 정부의 '주5일 근무법안'의 철회를 요구하며 화요일 파업에 돌입한다.

민주노총(KCTU) 대변인은 이날 오후 약 15만명의 근로자들이 쟁의에 동참할 예정이라고 CNN에 알려왔다.

이들은 주당 노동시간을 44시간에서 40으로 줄이는 이 방안에 대해,"토요일 휴무를 실시하는 대신 전체적인 휴일 수와 임금이 줄어든다"며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대형 자동차 생산업체인 현대 자동차, 기아 자동차, 쌍용 자동차 등에 소속된 64만명의 조합원들에 의해 촉발된 이번 파업으로 한국의 대기업들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노동부 장관은 이번 파업 계획을 불법으로 규정, "엄정히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공무원들의 단체 행동을 불허했으며, 경찰은 이미 집회 봉쇄 명령을 내린 상태다.

연말 대선 노림수

방용석 장관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주5일 근무를 위한 토요 반일 근무 폐지에 73%의 국민이 찬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파업이 1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노동조합 등 이익단체들의 세력 과시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보고있다.

한편 공무원 노동조합원 수천명은 월요일 정부의 실체 인정과 근무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이틀간의 시한부 파업에 돌입했다.

'산업계 대혼란 사태'는 1980년대 군부 통치하 노동자들의 근로조건 개선과 권리 신장을 위한 투쟁 과정에서 발생한 한국의 트레이드 마크였다.

금융 시장은 이번 파업에 큰 동요를 보이지 않았고, 월요일 종합주가 지수는 4% 가까이 올랐다.

SEOUL, South Korea (CNN) / 오종수 기자 (JOINS)

◇ 원문보기 / 이 페이지와 관련한 문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