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 아랍외교 현실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대 중립국 적극외교의 일환으로 중동지역 특히 「아랍」국가에 대한 외교를 공개외교의 자세에서 현실화하기로 한 것 같다. 이러한 정부방침의 결정은 미국과 「유엔」기구의 노력이 어느 정도 결실을 맺어가고 있는 중동사태를 계기로 취해진 것이며 지금까지의 대 중동외교에 정책적인 전환을 가져오는 것이다.
최규하 외무장관은 3일 『중동사태의 해결은「유엔」의 관계자 결의, 특히 67년 11월 22일자 「유엔」 안보 이사회 결의에 입각하여 정당하고 공정하게 해결되기를 바라는 것이 정부의 기본 입장』이라고 밝혔다.
우리 정부는 중동사태에 관해 지난 67년 「튀니지」의 「부르기바」외상이 내한했을 때 공동성명을 통해 『「유엔」의 제 결의에 의한 해결을 바란다』고 천명한 바 있는데 안보리결의에 의한 해결을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보리결의는 (1)「이스라엘」군의 점령지역으로부터의 철수 (2)중동지역 모든 국가의 평화스러운 생존권을 존중한다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최 장관은 『중동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개방외교로 임할 것이며 앞으로 꾸준한 외교노력을 통해 「아랍」국과의 관계를 호전시키겠다』고 밝혔다.

<해설><유엔서의 지지·경제외교의 장애 제거 위한 노력|북괴 끈질긴 이간선전에 역공세>
정부의 중동외교 현실화는 우리 외교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유엔」외교·경제외교 및 중립국 적극 외교 원칙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다.
중동지역은 14개 「아랍」국가와 「이스라엘」이 적대관계에 있고 「아랍」국가들은 「이스라엘」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들에 비우호적인 입장을 내세우고 있어 제 삼국은 이 지역국가와의 외교가 매우 어려운 형편이다. 특히 「이스라엘」과 외교를 맺은 우리나라로서는 「아랍」국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아 그 동안 「유엔」에서의 한국문제 토의에서나 교역에 있어 어려움을 겪은 경험에 비추어 이번에 중동사태 해결을 계기로 한 다소간의 정책전환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될 것 같다.
현재 한국은 「사우디아라비아」「요르단」「튀니지」「모로크」에 대사관을,「레바논」에 통상대표부를, 통일「아랍」공화국에 총영사관을 갖고있고,「알제리」「이라크」「시리아」「예멘」「사우드예맨」「수단」「리비아」와는 아무런 관계를 맺고있지 않다.
특히 한국이 「이스라엘」과 국교를 맺은 후 북괴는 이 사실을 중동에 대한 선전자료로 사용, 「아랍」국가에 대한 이간책을 계속해왔기 때문에 중동에 대한 접근에 있어 본의 아닌 오해를 받기도 했다.
정부는 금년에 박동진 대사를 단장으로 한 친선사절단을 중동지역에 파견했는데 「아랍」 국가들은 중동외교에서 좀더 명백한 태도표명을 한국에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유엔」에서의 한국 지지표를 늘리고 이 지역에 대한 북괴의 침투를 최대한 저지하기 위해서는 대「아랍」국 관계에서 어느 정도의 정책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이 그 동안 계속 지적돼온 끝에 이번과 같은 정부의 태도표명이 있게된 것 같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