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공참총장 인책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8일하오 정내혁 국방부장관은 장지수 해군참모총장, 김성룡 공군참모총장 김희덕 대통령특명검열단장을 불러 해군방송선피납사후대책을 논의하고 이번 사건은 해·공군의 전투태세에 헛점을 드러낸 것으로 보고 앞으론 닥치는 북괴의 도발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국민들에 대한 도의적책임을 지기위해 해·공군 참모총장의 인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병권 국회국방위원장도 자리를 같이한 이 자리에서 정국방장관은 현지조사를 마치고 돌아온 한무협합참전략정보국장의 조사보고를 듣고 ⓛ방송선을 보호할 모선이 엄호권을 벗어나도록 내버려두고 방송선이 육상포의 보호사거리를 벗어난 점 ②56년에 퇴역하여 함정 리스트에도 없는(일제때 소해정을 개조한 것) 시속 8노트의 저속함을 북괴고속포함이 배치된 전투정면에 투입한 점 ③공군의 경우 작전지휘권이 주한 미공군사령관 5공군사령관 유엔군사령관을 거치는 복합명령체제를 거쳐야한다고 하지만 사건당일 하오 1시5분에 지원요청을 받고 37분에 현장에 도착하여 즉각적인 임기응변의 출격에 차질이 생긴 점과 위협사격의 효과를 충분히 내지 못한 점등은 주목할 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번 피납사건은 북괴가 북괴사람들에게 우월감을 조성하여 전쟁동원 태세를 갖추려는 계획적인 도발행위였다고 평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