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백선엽 한·미 동맹상' 첫 수상자 워커 장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초대 미 8군사령관을 지낸 월턴 워커 장군(오른쪽). 왼쪽은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7월 워커 장군(앞쪽 군모를 쓴 사람)이 미군 장교들과 지도를 보면서 작전회의를 하는 모습. [중앙포토]

올해 제정된 ‘백선엽 한·미 동맹상(賞)’(이하 동맹상) 수상자로 초대 미 8군사령관을 역임한 월턴 워커(Walton H. Walker) 장군이 선정됐다고 국방부가 28일 발표했다. 국방부가 주관하고 중앙일보가 후원하는 동맹상은 한·미 동맹과 한국군 발전에 기여한 미국인을 대상으로 1년에 한 차례 시상하게 되며 첫 시상식은 9월 30일 ‘한·미동맹의 밤’ 행사에서 열린다.

국방부 당국자는 “한·미 양국의 군사동맹이 60주년을 맞았음에도 미국 측 인사에 대한 보상프로그램이 없다는 인식에 따라 상을 제정하게 됐다”며 “지난 24일 심사위원회를 열어 워커 장군을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말했다. 시상식에는 워커 장군의 손자인 월턴 워커 2세가 참석할 예정이다.

 심사위원회는 김재창 예비역 대장을 위원장으로 권오성(육군 대장) 연합사령부 부사령관 등 현역 한·미 고위 장성과 임관빈 국방부 정책실장, 김종혁 중앙일보 편집국장, 박인휘 이화여대(국제학부) 교수, 김중근 전 외교통상부 통상교섭조정관, 구본학 한림대 부총장 등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24일 1시간50분에 걸친 토론과 투표를 거쳐 워커 장군을 선정했다.

 국방부 당국자는 “워커 장군이 6·25전쟁 당시 우리나라 방위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고 대한민국을 지켜낸 점이 높게 평가됐다”며 “특히 낙동강 전투에서 우리나라를 지켜내는 등 혁혁한 전공과 함께 우리 군과 미군의 칭송을 받고 있는 인물이어서 초대 수상자로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1889년 12월 3일 텍사스주 벨튼에서 출생한 그는 1912년 미국 웨스트포인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1, 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3기갑사단장으로 참전해 승리를 거듭했으며, 특히 북아프리카 전투에서 독일군의 로멜 부대와 맞서 공훈을 세우고 중장으로 승진했다. 제2차 세계대전의 영웅인 조지 패튼 장군이 가장 아꼈던 부하로 평가받았으며 ‘패튼 장군의 불독’이란 별명을 얻었다. 그는 이후 48년 맥아더 장군의 부름을 받아 일본에 본부를 둔 미 8군 초대 사령관으로 부임했다.

 그러다 50년 6·25전쟁이 터지자 7월 13일 낙동강 지역에 파견돼 “버티느냐 죽느냐(Stand or Die)”라며 방어선 사수 명령을 내렸다. 그는 “내가 여기서 죽더라도 끝까지 한국을 지키겠다. 철수건 전선 조정이건 어떤 것이든 뒤로 물러서지 않을 것이다”라고도 했다. 포항·영천·대구·창녕·마산·통영을 연결하는 이른바 ‘워커라인’의 방어작전은 국군과 연합군 간 최초의 연합작전이었으며 한·미 군사동맹의 시초가 됐다.

 하지만 그는 6·25에 참전했던 아들 샘 워커(예비역 대장) 대위의 은성 무공훈장 수훈을 축하하기 위해 50년 12월 23일 행사장으로 가던 중 서울 도봉구 도봉동 인근에서 차량이 전복돼 숨졌다. 당시 미국 지도자들은 “워커 장군이 살아있었다면 전쟁의 양상이 달라졌을 것”이라고 안타까워했다.

아들 샘 워커(88세)는 고령으로 장거리 여행이 힘들어 손자가 대신 시상식에 참석하게 됐다.

 우리 정부는 워커 장군을 기려 61년 광진구 아차산 자락에 유엔군의 휴양시설을 만들며 워커힐로 명명했다. 주한미군과 유엔군이 일본이나 동남아로 휴가를 가지 않고 휴식을 취하도록 63년 완공된 워커힐은 73년 선경개발(현 SK)에 넘어가며 워커힐호텔로 바뀌었다.

정용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