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비즈니스계획,리스크 낮춰야 성공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한국은 북한 장거리 미사일의 사정권 안에 있는 수도권을 태평양지역의 비즈니스 중심지로 조성하려는 야심찬 계획을 갖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최근 보도했다.

이명박 서울시장은 지난주 인천공항에서 열린 '동북아 경제중심국가 건설’토론회에서 '서울은 東北亞 지역의 금융센터가 될 수 있다'며 거창한 비전을 제시했다. 북핵문제를 둘러싼 국제 사회의 긴장 고조와 북미간 군사적 충돌의 가능성을 망각한 듯 보였다. 노무현 당선자 조차, 토론회 말미에 現 상황을 간단히 언급하면서 "하여튼 나는 한반도에서의 전쟁을 막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외국인들은 그렇게 낙관적이지 못하다. Moody's 국가신용등급 담당 부사장은 서울과 인천을 홍콩·싱가포르에 맞먹는 국제적 중심지로 조성하겠다는 포부에 대해, "완전히 비현실적인 계획은 아니지만 정치적 리스크가 낮은 시스템이 필요하다. 북핵위기를 해결해야만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치 상황의 불확실성이 97년 금융위기 이후 한국이 이뤄온 진전을 상쇄시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른 서구 애널리스트들 역시 같은 견해를 표명하고 있다.

한국 금융에 대한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있는 데이비드 로디는 "북핵 문제는 한국에 많은 비용을 야기하고 있다. 주가 하락으로 인해 12월 초 이후 한국기업들의 시가총액이 최소한 560억달러 정도 감소했다. 북핵위기가 지속된다면 한국경제가 이룩한 중요한 성과들 중 일부가 손상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우려들은 이번 한국 지도자들 사이의 토론회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들은 북한과의 대립을 일시적인 문제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한국경제 둔화 조짐에 대한 언급도 별로 없었다. <자료:한국개발연구원>(조인스랜드) 박원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