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盧 NLL 포기 논란은 날조" 발언 1주일만에…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당시 “NLL(서해 북방한계선)을 평화경제수역으로 덮어야 한다”고 말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NLL 논란이 재점화된 건 민주당 소속 박영선 국회 법사위원장의 17일 발언에서부터 시작됐다.

박영선 의원은 17일 “국정원 내부 고발자로부터 들었다”며 “NLL 포기 논란은 국가정보원과 새누리당이 짠 시나리오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때부터 수면 아래로 잠겨있던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논란은 재등장했다.

새누리당은 즉각 박 의원의 발언 경위뿐만 아니라 진위에 대한 검찰 수사를 촉구하는 등 일제히 반격에 나섰다. 특히 지난해 NLL 논란을 촉발한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은 18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박영선 의원 주장은 명백한 허위사실 유포”라며 수사를 촉구하기도 했다.

20일에는 서상기 의원을 비롯한 국회 정보위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이 국정원이 보관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발췌본을 열람했다. 새누리당 소속 국회 정보위 의원들은 “‘NLL 포기발언’을 확인했다며 대화록 전문 공개 추진하겠다”고 발표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대선 불법 개입을 물타기 하려는 새누리당과 국정원의 야합”이라고 반발했다. 한편 같은 날 국정원은 “국회의 요청이 있다면 회의록 전문을 공개하겠다”고 발표했다.

민주당은 다음 날인 21일 반격에 나섰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국정원 정치ㆍ대선개입 의혹 사건 국정조사를 전제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전문을 공개하자”고 요구했다. ‘친노’를 대표하는 문재인 의원까지 “대화록 원본과 녹취 파일 등 관련 자료를 전면 공개하자”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당 차원에서도 ‘NLL 발언 발췌록’을 열람한 새누리당 의원들과 남재준 국정원장, 한기범 국정원 1차장 등 7명을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결국 남재준 국정원장이 24일 공공기록물로 보관돼 있던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일반 문서로 전환해 공개했다. 발췌록과 전문 확인 결과, 노 전 대통령은 “NLL은 이상하게 생겨서 무슨 괴물처럼 함부로 못 건드린다”, “NLL 말만 나오면 전부 다 벌떼처럼 들고일어난다”등의 말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영선 의원이 NLL논란을 재점화한지 1주 만에 판도라의 상자는 열렸다.

온라인 중앙일보

관련기사
▶ [전문] 2007년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 1
▶ [전문] 2007년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 2
▶ [전문] 2007년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 3
▶ 김정일, 노무현 "남측 방문은 언제?" 질문하자…
▶ 盧 "NLL 바꿔야…난 위원장님과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