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선거원칙에 합의|안정세력유지보장 조건부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합의의정서 처리를 위한 여야 8인대표자회담은 11밤 『정치적안정세력을 유지하기위한 제도적 보장책을 강구한다』는 조건아래 동시선거원칙에 합의, 결렬 직전의 고비를 넘겼다. 이로써 8인회담은 선거부정특조위 문제를 제외하고는 큰 문제의 줄거리에 모두 합의한 셈이지만 동시선거의 전체인 원내 안정세력 구축방법에 대해서는 시한을 정하지않고 계속논의키로했기 때문에 현상은 장기화할 것 같다.
이날 하오4시반부터 9시까지 국회의장실에서 열린 제8차대표자회담은 현안의 일괄타결을시도한 끝에 이와같이 합의했으며 이밖에 ⓛ선거관계법개정등 보장입법은 이번 국회회기안에 처리하고 ②부정특조위법제정과 지방자치제 실시문제등「기타사항」은 계속 논의키로 했고 김진만 김영삼 공화·신민양당총무가 공동발표했다.
이날회의에서 신민당측은 원내안정세력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전국구의석(50석)을 적절히배분, 대통령이 당선된 정당이 최소한 과반수에서 1석이라도 넘도록 선거법을 개정하도록제의하고 헌법사항인 무소속의 출마허용, 의원의 정당간 이동, 의원의 각료직 겸임 허용등을주장한 공화당안을 반대했다.
공화당의 김진만총무는 동시선거에 따른 제도적 보장책으로 전국구의석배분방식은『고려될수있다』면서 『그러나 무소속출마허용등 개헌사항과 중선거구제등 다른방안도 검토되어야할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치풍토개선을위해 헌법에 손댈수 없다는 것은 책임있는 정치인의 태도가 아니다』고 말하고『정치적안정세력구축을위한 제도적보장이 타결되지않는한시선거는 실시할수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신민당의 김영삼총무는『헌법개정으로 안정세력구축을 보장하는 구체적방안이 없다』고 지적, 개헌에는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대표회의는 13일 다시 열려 원내안정세력구축을 위한 제도적 보장문제에대한 구체적 합의를 하기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