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보진료비 심사, 7월부터 심평원이 담당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앞으로 자동차보험 진료비 심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맡는다.

정부는 자동차보험 진료비 심사의 전문성과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그간 보험회사와 공제조합이 수행했던 자동차보험 진료비 심사를 7월부터 심평원이 수행한다고 밝혔다.

심사위탁자는 14개 보험회사 및 6개 공제조합이다. 수탁자는심평원으로 14일 서울 서초동 심사평가원 8층 대회의실에서 자동차보험 진료비 심사위탁을 위한 계약 체결을 진행한다.

자동차보험과 관련해 정부는 지난 2010년 12월 국토교통부, 보건복지부, 금융위원회 등 6개부처 합동으로 ‘공정사회를 향한 자동차보험 개선대책’을 발표했다.

2012년에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을 개정해 자동차보험 진료비 심사를 전문심사기관인 심평원에 위탁토록 했다.

이번 계약 체결에는 주관부처인 국토교통부를 비롯해 복지부, 금융위 등 그간 자동차보험제도 개선에 앞장서 추진해온 관계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그동안 자동차보험 심사는 보험회사와 공제조합이 심사함에 따라 전문성이 부족하고, 일부 의료기관과 교통사고 환자의 도덕적 해이로 인한 불필요한 입원 등 부당․과잉진료가 발생해왔다.

또 심사주체가 여러 회사로 분산돼 일관된 기준이 없어 의료 기관과 보험회사 간에 진료비 분쟁 발생빈도 역시 높은 수준이었다. 진료수가분쟁심의회 이의청구 현황을 보면 2005년(3986건)대비 2012년(1만 929건) 약 3배 정도 늘었다.

7월부터 심평원이 자동차보험 진료비 심사를 하면서 의학적 전문성에 기초한 체계적인 심사가 가능해져 과잉진료 등 도덕적 해이를 차단하는데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심사기준도 통일적으로 적용 돼 의료기관과 보험회사․공제조합간 분쟁 발생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계약체결이 자동차보험제도 개선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우리 사회의 보험질서를 확립하고 선량한 보험가입자 보호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기기사]

·리베이트 제약사 혁신형 제약사 인증 취소되도 그만? [2013/06/13] 
·포괄수가제가 생명 다투는 고위험 산모 벼랑에 내몰 수도 [2013/06/13] 
·“토요휴무 가산에 부대조건 걸면 의협은 건정심 탈퇴하라” [2013/06/13] 
·진주의료원 해산, 정치적 목적•무원칙으로 사회적약자 밀어낸 것 [2013/06/13] 
·여름감기야 냉방병이야? 올바른 대처법은 [2013/06/13]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