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철特使 "미군철수 논의 안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1면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 고위대표단 대표인 정대철(鄭大哲.얼굴)의원 일행과 장영달(張永達) 국회 국방위원장의 방미를 계기로 느닷없이 주한미군 감축 또는 철수 논란이 일고 있다.

鄭의원과 張위원장 일행이 최근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과 폴 울포위츠 국방 부장관을 각각 만났을 때 이들이 주한미군 감축 문제 등을 거론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가 이 논란을 촉발시킨 것이다.

◇"거론된 적 없다"=현재 일본을 방문 중인 鄭의원은 7일 "럼즈펠드 국방장관이 주한미군의 철군 또는 감군 이야기를 한 적이 없다"면서 "내가 럼즈펠드를 만나 이야기한 당사자"라며 일부 언론의 보도를 강력히 부인했다.

그는 "다만 용산기지 이전을 포함해 한강 이북의 인구밀집 지역에 있는 미군기지 재배치 및 연합토지관리계획(LPP) 등의 문제를 상의하자고 럼즈펠드가 제의했을 뿐"이라며 이 논란에 대해 의아해하고 있다.

張위원장과 함께 울포위츠 부장관을 만났던 이종걸(李鍾杰)의원도 "세계전략 차원에서 미군의 군사력 재편과 한국의 지상군(육군) 강화에 대한 거론은 있었으나 주한미군 감축 등은 논의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국방부와 외교부 입장도 鄭의원 등의 발언과 궤를 같이한다. 국방부는 이날 "럼즈펠드 장관이 주한미군 감축 문제 등을 거론한 바 없다"고 못박았다.

특히 리처드 루거 미 상원 외교위원장은 중앙일보와 워싱턴 포스트가 지난 6일 공동 주최한 한.미 고위정책 원탁회의에서 "어떻게 그런 보도가 나왔는지 알 수 없다"면서 "전혀 비현실적인 이야기니 더 이상 거론할 가치조차 없다"며 주한미군 감축론을 일축했다.

◇"기류는 있다"=한.미 양국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부시 행정부의 일부 관계자들은 비공식적으론 "한국이 원할 경우 주한미군을 철수 또는 감축시키겠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부시 행정부는 미 지상군의 신속.경량화를 추진하고 있어 동두천에 주둔하고 있는 미2사단의 규모도 미군의 군사력 재편 과정에서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군사 전문가들은 관측하고 있다.

이철희 기자 <chl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