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조현욱의 과학 산책

원숭이도 로마에선 로마 법을 따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2면

조현욱
객원 과학전문기자
코메디닷컴 편집주간

“로마에 가면 로마 법(풍습)을 따르라.” 사람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야생 원숭이도 이 같은 원칙을 지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인공은 남아프리카공화국 마와나 사냥금지구역의 버빗원숭이. 기존 집단에 끼어든 신참은 재빨리 새 이웃들의 사회적 규범에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규범이 자신들에게 타당해 보이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말이다.

지난주 영국 세인트앤드루스 대학 연구팀이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한 논문을 보자. 연구팀은 각기 23~44마리로 구성된 네 무리의 버빗원숭이에게 분홍색이나 파란색으로 물들인 옥수수를 제공했다. 두 무리에는 맛이 없도록 조작한 분홍색 옥수수를 제공해 파란 옥수수를 선호하게 만들었다. 나머지 두 무리는 거꾸로 분홍색을 좋아하게 유도했다.

 4~6개월 후 연구팀은 옥수수의 맛에 차별이 없게 만들었지만 기존 선호는 바뀌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짝짓기 철이 되자 젊은 수컷들은 소속 무리를 떠나 다른 무리에 끼어들었다. 짝을 밖에서 찾는 이 같은 관행은 전체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연구팀은 옥수수 색깔 선호가 자신들과 반대인 무리로 건너간 수컷 10마리의 행태를 주목했다. 그 결과 9마리가 새로 섞인 그룹에서 선호하는 옥수수를 먹는 것으로 관찰됐다. 기본적으로 동료와 어울리기 위해 기존 관습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원래 선호를 유지한 예외 한 마리는 새 집단에서 가장 높은 서열을 차지한 놈이었다. 남의 눈치를 볼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연구팀의 앤드루 화이튼 교수는 “자연에서 이 같은 순응적 행태는 타당한 것일 수 있다”면서 “현지 지식은 해당 환경에서 최선의 행동 방침을 알려주는 가장 좋은 가이드일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인간에게는 낯선 곳에 가거나 새로운 문화를 접했을 때 현지 지식을 알려고 하는 욕구가 존재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이 같은 욕구가 진화한 이유를 설명해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지난주 ‘사이언스’에는 혹등고래가 동료의 새로운 사냥 기법을 보고 배운다는 내용의 논문도 함께 실렸다. 1980년대 초반 처음 관찰된 사냥 기법이 이후 세계 혹등고래의 40%에 전파됐다는 내용이다. 이런 연구들은 동물의 왕국에 본능이 아니라 학습을 통해 형성된 문화가 널리 퍼져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다만 우리가 지금껏 모르고 있었을 뿐이다.

조현욱 객원 과학전문기자·코메디닷컴 편집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