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중진과 「내용」협의|이 의장 제2수습안 곧 제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이효상 국회의장은 그의 시국 수습사안에서 제의했던 여·야 중진회담이 야당측의 반대로 오는 7일에 열릴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 제1차 수습안의 내용을 수정·보강한 제2차 수습안을 오는 8, 9일께 내놓을 계획으로 공화당의 중진급 인사들과 접촉하기 시작했다.
이 의장은 5일 상오 11시 백남억 공화당 정책위의장, 김진만 원내총무를 서울 장충동 의장공관으로 초지, 약 1시간에 걸쳐 제2차 수습안의 내용과 야당을 협상 「테이블」로 나오게 하기 위한 명분문제 등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담에서는 이 의장의 제1차 수습안 중 야당측으로 부터 가장 냉담한 반응을 불러일으킨 (1)정치적 인책문제와 (2)선거부정을 조사하기 위한 여·야 공동조사단의 권한 및 구성문제 등을 「야당이 납득할 수 있는 선」으로 구체적으로 밝히기에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의장은 제1차 수습안을 내놓은 후에도 줄곧 야당 중진급 인사들과 전화 통화로 접촉하는 한편 야당 인사들을 의장공관으로 초청, 시국수습을 위한 야당측 의견을 들어왔으며 공화당 의원들은 6대 국회 때의 국회 상임위원회별로 당해 위원회 소속 야당 인사들과 개별적으로 접촉해 왔다.
의장 공관회담이 끝난 후 김진만 원내총무는 『오늘 회담에서 야당이 부정선거 재발 방지책으로 제시한 동시선거의 실시, 경찰 공안위의 설치, 선거법의 개정 등 모든 제도적인 보장문제를 검토했다』고 밝히고 『이러한 제도적 보장 문제를 토대로 야당이 중진회담을 제의해 올 경우 공화당은 이를 받아들일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김 총무는 또 『이 의장이 제의한 7일에 『여·야 회담이 열릴 가능성은 희박하나 원칙적으로 회담참석을 결정한 공화당으로서는 길재호 사무총장, 백남억 정책위의장, 김동환·정태성 의원과 본인 등 5명이 참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총무는 특히 『야당이 여·야 중진회담을 공식으로 거절하더라도 공화당은 계속해서 시국 수습을 위한 여·야 중진 회담을 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