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문화단지 존폐 기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충북 청주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해 온 ‘청주첨단문화산업단지’ 조성사업이 삐걱거리고 있다.국비 지원이 불투명한 데다 조성 예정지의 부동산 매입을 위한 예산 확보가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청주시는 상당구 내덕동에 쓰지 않고 내버려 둔 담배인삼공사 청주연초제조창 창고부지(7만6백㎡)와 건물(연면적 5만4천㎡)을 2백7억원에 사서 청주첨단문화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해 왔다.

첨단문화산업단지는 학습·게임콘텐츠 분야의 메카로 특화해 관련 연구개발업체를 유치,육성하거나 콘텐트시장을 형성하고 대규모 게임시연장 등 테마파크로 만든다는 구상으로 추진돼왔다.

이는 정부가 2001년 청주·대전·부천·춘천시 등 4개시를 대상으로 문화산업단지 조성 사업에 4년간 총 2백억원씩 지원해준다는 방침에 따른 계획이었다.

그러나 다른 지자체에서 반발이 거세자 정부는 지난해 대구 등 4개 도시를 추가하면서 지역당 지원예산 규모는 대폭 줄였다.

이에 따라 당초 올해 50억원을 기대했던 청주시는 겨우 18억3천5백만원만 지원받게 되면서 사업 추진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매입 대금 5년 분할지급,연리 8% 적용’을 담은 부동산 계약에 따라 시가 2006년까지 지급해야 할 대금은 2백60억원에 이른다.

결국 청주시는 지난해 내야 할 대금 47억원도 확보하지 못했고,시의회는 사업 자체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의회는 최근 행정사무조사특위를 열어 첨담문화산업단지의 사업타당성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며 대책을 추궁하기도 했다.

시는 가능한 부담을 줄이려고 현재 담배인삼공사측에 이자율 적용을 5.5%로 낮춰주도록 계약변경을 요청하면서 법원에 민사조정신청을 냈으나 담배인삼공사측은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청주시는 이처럼 상황이 꼬여 자칫 사업 자체가 존폐기로에 놓여있지만,주성대 등과 관련 업무에 대한 위탁계약을 맺은 게 있어 그만둘 수도 없는 진퇴양난에 빠져 있다.

청주시 관계자는 “담배인삼공사측과 재계약 협상을 계속 하고 있”며 “의회도 적극 설득해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고 더욱 치밀하게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청주=안남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