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주가 조작 잡으려 … 금감원에 수사권 부여 추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2010년 말부터 자원개발회사 CNK인터내셔널의 주가가 치솟았다. 이상 거래 징후를 포착한 한국거래소 조사팀과 금융감독원이 거래 내역을 주시하기 시작했다. 주가가 최고가에 이른 2011년 6~8월, 이 회사 오덕균 회장은 보유 주식을 대량으로 내다 팔았다. 심증을 굳힌 조사팀은 넉 달간 증거 자료를 수집해 2012년 1월 초 증권선물위원회에 결과를 통보했다. 증선위가 회의를 열어 오 회장을 검찰에 고발키로 결정하기까지 다시 2주가 흘렀다.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의 수사는 시작부터 난항이었다. 낌새를 챈 오 회장이 이미 카메룬으로 출국해버렸고, 주가 조작이 이뤄진 지 1년이 지나 상당수 증거가 인멸된 상태였기 때문이다. 현행법상 전화 등 통신 내역의 추적은 1년까지만 가능하고 삭제된 e메일 등은 복구할 수도 없다. 검찰은 1년 넘게 조사를 벌인 끝에 지난달 5명을 불구속 기소했지만 결국 ‘미완의 수사’가 되고 말았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2일 첫 국무회의에서 주가 조작 범죄의 엄단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 정부가 금감원 직원 등에게 특별사법경찰관(특사경) 권한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법무부·금융위원회·금감원·한국거래소 등은 최근 청와대에서 실무자급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사경은 전문성이 필요한 특정 분야에서 검사를 보조해 수사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이다.

 이런 안이 검토되는 건 CNK의 사례처럼 주가 조작 사건들이 검찰로 오기까지 보통 1년 넘게 걸려 증거 확보를 위한 중요한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통상 주가 조작 사건이 검찰에 고발되기까지는 한국거래소(이상 징후 포착 및 심리)-금감원(관계자들 조사)-증선위(고발 결정)를 거친다. 짧아도 1년, 길면 2년을 넘긴다. 그동안 피의자들끼리 말을 맞추거나 증거를 없애고 해외로 도피하기도 한다. 그래서 아예 처음 징후가 포착됐을 때부터 압수수색이나 출국금지·체포·구속 등 강제 수단을 동원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 방안이 처음 나온 얘기는 아니다. 2004년 증권시장을 감독하는 공무원 6명을 특사경으로 지명했지만 활동 없이 1년 후 자격을 반납했다. 금융위는 실제 자본시장 감독 실무를 하지는 않고, 금감원 직원의 경우 민간인 신분이기 때문에 특사경이 되려면 공무원으로 신분이 바뀌어야 한다. 하지만 금감원 직원들은 월급이 절반 이하로 줄어드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또 금융위와 금감원 모두 특사경 권한을 받을 경우 조사 과정부터 검찰의 감독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번에도 금감원 직원에게 특사경 권한을 부여하는 게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금융위 고위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으로 방향이 잡힌 것이 없다”며 “법률 개정 등 살펴봐야 할 사안이 한두 가지가 아닌데 법무부에서 너무 앞서 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대신 자체적으로 ‘과징금’을 부여하는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와는 별개로 검찰과 금융위 등에선 주가 조작 등 시장 교란 행위에 대한 전담 조사기구 신설도 논의되고 있다. 미국의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모델이다. 검찰 고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저축은행 합동수사반 같은 한시 조직을 만들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검찰·거래소·금감위·금감원 직원 등을 한 조직에 모아 조사부터 기소까지 완결하는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방안도 검찰이 기소독점권을 일부 포기해야만 하기 때문에 현실화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벽이 많다.

이가영·심새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