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4일 한·미철강협의…막판 절충 시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의 통상법 201조에 따른 철강 구제조치안 최종결정이 1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미 고위급 양자협의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철강회의가 잇따라 열려 막판 절충이 시도된다.

31일 산업자원부와 외교통상부 등에 따르면 우리측 철강대표단은 2월4∼5일 미국 워싱턴을 방문, 셔자드(Faryar Shirzad) 상무부 차관보와 리저(Florizelle B. Liser) 무역대표부(USTR) 대표보 등과 연쇄협의를 가질 예정이다.

우리측에서는 이석영 산자부 차관보를 단장으로 안현호 산자부 기초소재산업과장, 박건치 한국철강협회 부회장, 외교부 관계관 등이 참석할 계획이다.

우리측은 이번이 미 행정부가 구제조치를 최종 결정할 것으로 보이는 3월초 이전에 가질 수 있는 마지막 양자협의가 될 수 있다고 보고 미국측에 대한 압박을 강화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미 행정부의 조치가 철강산업의 보호주의를 확산시키고 범세계적인 자유무역주의 논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긴급수입제한조치 발동을 자제해주도록 요청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또 2월7∼8일 파리에서 열리는 제3차 OECD 철강고위급회의에도 외교부와 산자부 관계관으로 구성된 대표단을 파견, 우리측 입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이번 3차회의는 지난해 12월 17∼18일 열린 제2차회의 당시 설비감축전망 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국가들의 보고서 검토를 위해 개최되는 것이지만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주요 철강생산국이 미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 행정부의 최종 결정은 당초 2월 17일로 예정됐다가 무역대표부가 미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수입피해 구제방안에 대한 추가설명을 요청함에 따라 결정시한이 3월4일로 2주 가량 연기된 상태다.(서울=연합뉴스) 정준영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