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150만 자유총연맹 공금 수십억 유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회원 150만 명의 비정부단체(NGO)인 한국자유총연맹(자총) 내부에서 국고 예산이 엉뚱하게 쓰이거나 거액의 기부금이 정상 회계 처리되지 않고 비자금화되는 등 불법 행위가 이뤄졌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지난 3~4년 동안 자총 공금 수십억원이 불투명하게 집행되거나 빼돌려진 정황이 경찰에 포착된 것이다. 경찰청 특수수사과는 계좌 추적과 자총 관련자 진술 등을 통해 최근 이 같은 혐의를 입증할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경찰은 자총 경리과 직원 등의 개인 계좌로 관리된 억대의 뭉칫돈을 발견하고 자금 흐름 파악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중앙일보 취재팀이 확보한 자총 내부 문건과 전·현직 직원들의 내부 고발 등은 이런 의혹이 사실일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자총 예산은 매년 10억원 이상의 국고 지원금을 포함해 본부 예산만 연 100억원 규모다. 내부 문건에 따르면 2011년 국고 예산 13억6000여만원 중 36%인 4억7000만원이 애초 목적과 다른 곳에 사용됐다. 국고 1억원이 지원된 ‘내 고장 Hero Korean 찾기’ 사업의 경우 5700만원이 자총 홍보영상 제작과 장학금 명목으로 쓰였다. 자총 관계자는 “심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채 장학금 대상자가 정해졌고 이 중 자총 회원 자녀가 상당수 포함됐다”고 말했다.

  2010년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낸 7억2000여만원의 기부금 등 매년 자총에 들어오는 수억원대의 기부금이 제대로 회계 처리되지 않은 의혹도 있다. 경찰은 억대의 뭉칫돈이 자총 임직원 여러 명의 개인 계좌로 입금된 뒤 현금으로 인출되거나 제3의 계좌로 빠져나간 사실을 포착했다. 2010년 자총 회계장부에는 기부금 수입이 2억9500여만원만 잡혀 있다. 자총 측은 “전경련 등의 기부금을 해외 지부와 종교 직능단체 지원 비용으로 썼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복수의 자총 관계자는 “해외 지부 지원은 별도 예산이 들어갔고, 종교 직능단체 지원에 기부금을 썼다는 건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21일 자총 경리과 컴퓨터 하드디스크 3대가 교체된 사실이 확인됐다. 자총 측은 “성능 문제 때문”이라고 해명했지만 경찰은 압수수색에 대비한 조치로 보고 있다. 익명의 자총 관계자들은 “직원들이 경찰에 사실과 다른 진술을 하도록 요구받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탐사팀=고성표·김소현 기자

[관계기사]

▶ 2011년 한나라 전당대회서 특정후보 지원 혐의 수사중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