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 식기 안전할까?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가볍고 열전도성이 높아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알루미늄 냄비와 호일 등에 대해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Q&A 형식의 ‘알루미늄 식기에 대하여 알아봅시다!’를 제작해 홈페이지에 게재한다고 밝혔다.
이번 Q&A 주요 내용은 ▲알루미늄 식기의 종류 및 제조방법 ▲알루미늄 식기의 안전성 ▲알루미늄 식기 사용 시 알루미늄 용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등이다.

산도 낮은 식품은 알루미늄과 상극
토마토, 양배추 등 산도(pH)가 낮은 식품은 알루미늄 냄비나 호일에서 조리하면 알루미늄이 용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매실절임, 간장, 된장 등 산이나 염분을 많이 함유한 식품은 알루미늄 용기에 장기간 보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 냄비에서 음식물찌꺼기 등을 제거할 때는 표면의 산화알루미늄 피막이 벗겨질 수 있으므로 가급적 금속수세미 등 날카로운 금속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새 제품 구입 시에는 물을 한 번 끓여서 사용하면 산화알루미늄 피막이 더욱 견고해져 내구성이 강화되며, 음식 조리 시에는 피막이 벗겨지지 않도록 금속 재질 대신 목재 등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오래 사용해 색상이 변한 알루미늄 냄비는 산화알루미늄 피막이 벗겨져 알루미늄이 용출될 수 있으므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과다노출되면 설사
알루미늄은 체내 흡수가 적고 대부분 신장에 의해 체외 배출되는 물질로 과다 노출 시에는 구토, 설사, 메스꺼움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현재 알루미늄 냄비 등을 사용해 조리 시 사용 중 식품으로 이행될 우려가 있는 납, 카드뮴 등 중금속에 대해서는 기준·규격을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

열전도율 높아 음식물 빨리 끓어
알루미늄 식기류에는 냄비, 알루미늄 호일, 일회용 알루미늄 용기 등이 있는데, 열 및 전기 전도율이 높아 음식물이 빨리 끓고, 무게가 가볍고 녹이 슬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 냄비는 양극산화(Anodizing) 과정을 통해 산화알루미늄(Al2O3) 피막을 형성하고 피막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95℃ 이상의 물이나 가압스팀으로 마감(sealing) 처리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며, 냄비 색깔은 양극산화 공정의 온도와 전압, 알루미늄 합금 종류 등에 따라 백색, 황색, 검은색 등으로 달라지게 된다. 양극산화(Anodizing) 공정을 통해 열 전도율이 높아지고, 경도가 강해질 뿐 아니라 들러붙지 않는 표면을 만들어 긁힘에 잘 견디고 세척이 쉽게 한다.

[인기기사]

·서울대병원 의약품 입찰…제약·공공병원 '초 집중' [2013/02/26] 
·벼랑 끝 공공병원…비급여 안해 적자? [2013/02/27] 
·진주의료원 폐업 이유는 의료 과잉공급 탓? [2013/02/26] 
·CHA 의과대 분당차병원 뇌졸중집중치료실 개소 [2013/02/26] 
·매일유업 "한국인 모유 비율 처음으로 밝혀냈다" [2013/02/26] 

배지영 기자 jybae@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