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의사들 "더 이상 버틸 힘이 없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산부인과 의사들이 산부인과의 몰락을 막아달라며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대한산부인과의사회 15개 지회는 13일 “이 땅의 산부인과 의사들은 이제 더 이상 버틸 힘을 잃어가고 있다”며 정부에 호소했다.

산부인과의사회는 “산부인과 전문의 숫자가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개설 기관수보다 폐업 기관 수가 더 많은 '개폐업 역전 현상'이 2006년부터 가시화 되었고, 7년째 그 속도를 더하며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7년 산부인과 평균 폐업기관 수는 120곳, 연 평균 폐업률은 7.1%에 달한다. 실제 2012년 한 해 동안 같은 기간 폐업 신고를 낸 기관은 신규 개업한 산부인과의 약 2배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지난 해 7월 보건복지부와 산부인과학회, 산부인과의사회는 일명 “끝장토론”이라는 간담회를 개최했고, 산부인과 회생 방안에 대한 합의를 이뤄냈다.

하지만 산부인과의사회는 “지난 1월 건정심의 산부인과 수가 관련 발표 내용은 전혀 그 기대에 미치지 못한 미미한 수준으로 매우 실망스러웠다”고 밝혔다. 이번 건정심에서 의결한 총 1,444억원의 지원금 중 산부인과 부분은 총 227억원으로 15.7%에 불과해, 산부인과 몰락 위기에 대한 진정성 있는 대책이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는 것.

산부인과의사회는 “이대로 가다간 산부인과 전공의 지원 감소, 산부인과 폐업으로 인해 국민들은 분만병원을 찾아다녀야 하는 위험에 빠질 것이며, 결국 산부인과 몰락이라는 국가적 재앙이 다가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른 해결책으로는 ▲산부인과 수가 현실화 ▲분만수가 인상 ▲마취초빙료 현실화 ▲질강처치료의 적절한 수가인정 및 횟수 제한 철폐 ▲요양병원에서의 산부인과의사 차등 등급제 폐지 ▲자궁질도말세포검사 채취료 별도수가 산정 ▲폐경기질환 만성질환 관리료 인정 등을 제시했다.

더불어 산부인과의사회는 “산부인과가 이 나라에 살아남아 우리나라 여성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근본적인 제도적 재정적 보완을 통한 ‘산부인과 제대로 살리기’에 즉각 나서주길 요구하는 바”라며 정부에 거듭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사진=김수정 기자

[인기기사]

·매출 쪼개지는 동아제약…제약업계 1위 바뀌려나? [2013/02/13] 
·산부인과 의사들 “더 이상 버틸 힘이 없다” [2013/02/14] 
·제약사들 특허만료 앞둔 고혈압藥 개발 붐 [2013/02/13] 
·한림대병원 '설맞이 사랑의 물품 나눔‘ 실시 [2013/02/13] 
·새 간염藥, C형 간염 치료기간 줄이려나? [2013/02/13] 

오경아 기자 okafm@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