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가사 노동, 주부들 손목 건강에 '빨간불'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주부 민운정(37세)씨는 오래 전부터 손목에 이상을 느꼈다. 손이 저리면서 손목에 힘이 빠지곤 했다. 간혹 주먹을 쥐려면 타는 듯한 증상이 느껴졌다. 하지만 이내 증상이 사라져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그런데 얼마 전부터 자신도 모르는 새 손에 힘이 빠져 물건을 놓치는 일이 잦아졌다. 손저림이 심해져 잠을 이루기 힘들 정도였다. 병원을 찾은 민씨는 '손목터널증후군'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손목터널증후군, 주부들의 손목건강 위협
손목터널증후군은 수근관증후군으로도 불린다. 가사노동을 담당하는 주부에게 흔한 질병이다. 손과 손목을 반복적으로 구부렸다 펴는 탓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의하면 2011년 손목터널증후군을 진단받은 환자는 14만 3,000명으로, 이 중 여성이 80%를 차지한다.

손목터널증후군은 팔에서 손으로 이어지는 신경이 손목의 인대에 눌려 손이 저리거나 감각이 둔해지면서 시작된다. 연세사랑병원 이상윤 소장은 “검지, 중지, 약지에 통증이나 이상한 감각을 일으키는 것이 보통인데, 비만이나 당뇨, 갑상선 환자의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임신했거나 폐경이 시작될 때도 일시적으로 생길 수 있을 만큼 일반적인 질환이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다. 대개 손저림과 같은 초기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방치하면 손에 힘을 주는 것도 어려워 자주 물건을 놓치고 단추를 잠그는 것도 힘들어진다. 심해지면 손바닥 안쪽의 근육이 위축되면서 원숭이의 손처럼 안과 밖이 구별이 가지 않을 정도로 평평해진다.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손목터널증후군을 확인할 수 있는 자가진단법도 있다. 양 손목을 안쪽으로 구부린 상태로 손등을 서로 맞닿게 한다. 이 자세를 1분 정도 유지할 때 손목이나 손가락의 감각이 민감하면 이상이 있을 확률이 높다.

키보드 사용할 때 손목이 꺾이지 않도록 해야
손목터널증후군의 초기치료는 손을 덜 사용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손목에 부목을 대 1주에서 2주간 고정하거나, 소염진통제 등의 약물치료, 수근관 내 스테로이드 주사를 적용한다. 하지만 중기를 넘어 마비와 같은 증상을 보인다면 수술이 최선책이다. 손목 부위를 최소로 절개하고 좁아진 손목 터널을 넓혀준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손목 터널이 압박을 받지 않도록 평소에 예방하는 것이다. 먼저 손목 관절이 구부러질 수 있는 자세를 되도록이면 피한다. 무언가를 짜는 동작에서는 너무 강하게 손목을 비틀지 말고, 상자나 냄비 등 무거운 물체를 옮길 때는 손아귀에 과도하게 힘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마우스와 키보드를 사용할 때는 손목과의 높이를 맞추어 손목이 꺾이지 않도록 하며, 장시간 사용은 피한다. 틈틈히 손목과 손가락을 스트레칭해주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손목터널증후군을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다. 양팔을 어깨 높이보다 조금 낮추어 쭉 뻗은 다음, 양 손목을 아래로 늘어뜨리고 ∞자를 그리며 돌려주는 동작은 손가락과 손목을 풀어주는 데 좋다.

도움말 : 연세사랑병원 이상윤 소장

[인기기사]

·“의약품 리베이트 더 이상 두고보지 않겠다” [2013/01/30] 
·준 간호사제도 도입 "말도 안돼!" [2013/01/30] 
·지난해 하반기부터 환자수 떨어지더니… [2013/01/30] 
·“30년 이상 지속된 정부의 저수가, 이젠 벗어나야 할 때” [2013/01/31] 
·새내기 치과의사·한의사·약사 올해는 몇 명 배출됐나 [2013/01/30] 

오경아 기자 okafm@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