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먹은 황우여 "정부개편안, TV중계로 보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진영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지나친 보안 강조와 일방통행식 운영에 야당은 물론 새누리당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15일 정부조직 개편안을 발표하는 과정에서 당이 배제되면서 갈등이 분출되고 있다.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16일 “당 지도부가 정부조직 개편안을 발표(TV 중계)를 보고 알았다”고 말했다. 황우여 대표나 이한구 원내대표조차 발표 시기와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사전에 브리핑을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의 한 최고위원은 “최고위원들이 인수위와 교류가 전혀 없다”며 “최고위원회의를 열어도 인수위 문제에 대해선 논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최고위원은 “정부조직 개편안 같은 경우는 국회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당과 사전에 의견 수렴을 하는 시늉이라도 했어야 했다”며 “여야의 사전 조율 없이 진행되다 보니 야당도 양보할 명분이 없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화살은 진영 인수위 부위원장에게로 쏠리고 있다. 진 부위원장은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을 겸하고 있다. 그가 인수위 부위원장에 임명됐을 때 당에선 그가 인수위와 당의 가교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했다. 그런데 진 부위원장이 철저히 함구하면서 “너무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 최고위원은 “진영 부위원장이 정책위의장도 맡고 있는 만큼 어느 정도의 역할을 했더라면 더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이정현 최고위원에 대해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 최고위원은 인수위에서 정무팀장을 맡고 있다. 또 다른 최고위원은 “이 최고위원조차 최고위원 회의에 나와 인수위에 대해선 함구한다”고 서운함을 토로했다.

 이렇게 분위기가 험악해진 데는 새 정부 인선 등 인사에 당이 개입할 여지를 주지 않는다는 불만이 깔려 있다. 새누리당 고위 관계자는 “정권 창출에 기여했고 자문위원이라도 들어가볼까 하다가 실망한 사람이 한둘이 아니다”며 “교수들로 국정 운영을 해서는 정권 초반에 힘이 실리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보좌관·당직자들도 마찬가지다. 새누리당의 한 관계자는 “대선 때 고생했던 보좌관들이나 당직자들은 청와대나 정부부처에 가길 희망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자리는커녕 정보조차 완전히 통제돼 있으니 소외감과 허탈감이 크다”고 전했다.

 예비 당정협의체 성격의 별도 기구도 가동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5년 전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시절엔 당의 제도적·정책적 뒷받침을 위해 인수위와 한나라당 간의 예비당정 협의체가 구성됐었다. 그러나 이번 인수위에선 별도의 협의체를 구성하지 않고 고위 당정협의회 등의 방식으로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과 정부는 18일 고위 당정협의회를 열어 국정 현안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나 이 자리에서도 국회의 협조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김경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