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차분히 일상으로 돌아가 새 정부 성공에 협력하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2면

유례없이 치열했던 선거전이 끝나고 새로운 대통령 당선자가 결정됐다. 이제 국민들은 선거의 열기와 흥분을 가라앉히고 차분히 일상으로 돌아가야 할 때다. 승리한 후보를 지지했던 유권자도, 패배한 후보를 성원했던 유권자도 다 같은 대한민국 국민으로 돌아가 새로운 미래를 여는 데 마음을 합쳐야 한다. 선거과정에서 빚어졌던 대립과 반목, 갈등과 분열의 감정을 접고 국민 대통합의 대도로 함께 나가야 한다.

선거는 끝났지만 고단한 현실은 하나도 달라진 것이 없다. 새로운 대통령 당선자가 결정됐다고 해서 저성장과 양극화, 대내 갈등과 대외불안 등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가 당장 해결될 리는 만무하다. 이는 새 대통령 당선자와 그 지지자들만으로 감당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대선에서 패배한 후보를 지지했던 나머지 절반의 국민들이 협력하지 않으면 문제가 해소되기는커녕 오히려 증폭될 가능성이 크다. 대선 이후 국민 대통합의 정신이 더욱 절실한 이유다. 앞으로 새 정부가 출범할 때까지 대통령 당선자가 국정운영의 준비를 온전히 갖출 수 있도록 온 국민이 한 마음으로 도와야 한다.

 새 대통령이 직면하게 될 현실은 암울하기만 하다. 특히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성장동력의 실종이 겹치는 바람에 빚어진 작금의 구조적인 저성장 기조는 새 정부가 극복해야 할 가장 크고도 시급한 과제다. 그러나 이 과제는 대통령 한 사람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일이다. 또 단시일 내에 상황을 반전시킬 뾰족한 방도가 있는 것도 아니다. 새 정부는 장기적인 번영을 위한 비전을 제시하고 국민은 인내심을 가지고 지켜볼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선 새 정부 출범 전까지 현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새 정부가 원만하게 국정을 이어받아 새로운 변화의 장을 열 수 있도록 디딤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활동을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물론이고, 각종 국정현안들을 잘 관리해 넘겨주어야 한다. 무엇보다 경제상황이 더 악화하거나 자칫 성장의 불씨가 꺼지는 일이 없도록 세심하게 경기를 관리해야 한다. 특히 공무원들은 정치상황의 변동에 휘둘리지 말고 사명감과 위기의식을 가지고 맡은 바 직분을 성실히 수행하기 바란다. 공무원은 정권이 아니라 국민의 공복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