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당뇨 환자들 너무 짜게 먹는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국내 당뇨병 환자들이 음식을 너무 짜게 먹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면 고혈압·고지혈증 같은 당뇨병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커진다.

 대한당뇨병학회는 17일 ‘당뇨병 환자 나트륨 섭취 실태보고서’를 발표했다.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당뇨병 환자 148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4910㎎으로 세계보건기구(WHO) 권장량인 2000㎎ 이하의 약 2.5배에 달했다. 특히 조사 시점에 새로 당뇨 판정을 받은 환자(343명)의 나트륨 섭취량은 5340㎎이나 됐다. 이번 조사에서 대조군으로 삼은 일반인 1만2477명의 섭취량은 5188㎎이었다.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게 되는 음식은 배추김치(20%), 소금(15~16%), 간장(7~8%), 된장(7~10%) 등 순으로 당뇨병 환자나 일반인들 모두 비슷했다. 당뇨병 신규 진단 환자들뿐 아니라 이미 당뇨병 진단을 받은 환자들도 과거 식습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게 학회 측 분석이다.

 서울대병원 내과 김성권 교수는 “당뇨병 환자가 음식을 짜게 먹으면 병의 진행 속도가 빨라지고 고혈압·고지혈증 같은 합병증이 잘 발생한다”며 “당뇨병 환자는 배추김치·소금·간장·된장·라면 등의 섭취를 줄여야 한다”고 권고했다. 전북대 박태선(당뇨병학회 식품영양이사) 교수는 “ 예방 차원에서 나트륨 함량이 높은 탕·조림·찌개는 적게 먹는 게 좋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