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가 이사람] 농수산TV '쌀박사' 김연도 과장

중앙일보

입력

홈쇼핑 회사인 농수산TV의 상품기획팀 김연도(42.사진) 과장은 스스로를 '쌀박사' 라고 부른다. 그의 직업은 쌀을 상품으로 기획해 구입하고 판매하는 일을 총괄하는 머천다이저(merchandiser.MD)다.

쌀박사와는 어울리지 않을 듯한 직업이지만 쌀과 관련한 박사학위 소지자 못지 않게 그의 경력은 화려하다.

군 제대 후 1981년 고향인 경북 선산(현재는 구미시 편입)에서 농민으로 사회에 첫 발을 디딘 그는 84년 쌀 증산왕으로 은탑산업훈장까지 받았다. 쌀 재배와 관련한 세미나에도 발제자로 수없이 참여했다.

91년부터 4년간 한국농어민후계자 중앙연합회에서 쌀 유통 업무를 하다가 95년 쌀 유통업에 뛰어들었다. 쌀과 함께 지낸 20여년의 경력을 인정받아 지난 6월 농수산TV의 쌀 머천다이저로 특채된 그는 "낱알만 봐도 품종은 물론 밥맛까지 대번에 알 수 있다" 고 말했다.

그런 경력을 바탕으로 최상의 쌀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겠다며 지난 6월부터 3개월간 전국일주를 다섯 번이나 했다.

한번에 2천㎞를 돈다. 좋은 쌀을 구입하기 위해 피나는 발품을 팔았다. 농민과 약속한 시간은 다가오는데 고속도로에서 차가 고장나 5시간 동안이나 애를 태운 적도 있다.

며칠 동안 설득해 쌀을 납품받기로 한 농민이 어느 날 "조건이 까다로워 못하겠다" 고 버티는가하면 좋은 쌀이 있다는 소문에 지리산 자락을 3일 동안 헤맸으나 품질이 형편없어 실망하고 돌아선 경우도 허다했다.

고생한 보람도 있었다. 이달부터 단일 품종으로만 이뤄진 여천쌀을 판매한 데 이어 다음달부터는 산청 메뚜기쌀 등 7개 신제품을 내놓는다.

김씨는 "여천쌀을 한 번 산 고객의 40%가 다시 구매신청을 했다" 며 함박웃음을 지었다. 밥짓기 요령 하나. 쌀은 시간이 지날수록 수분 함량이 줄어 맛이 떨어진다. 한달치 분량만 구입해 냉장고에 넣어두면 오랫동안 햅쌀처럼 먹을 수 있다.

김준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