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발사하면 대가 치를 것” 미, 가장 강력한 제재 방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한이 장거리 로켓(은하-3호)을 발사할 경우 미국 정부는 가장 강력한 제재수단을 동원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구체적 수단을 검토 중이다.

 익명을 원한 워싱턴의 고위 외교소식통은 4일 “북한이 발사에 성공하든 실패하든 관계없이 미국은 발사 자체를 문제 삼을 것”이라며 “미 정부 관계자들은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소식통도 “북한의 로켓 발사는 오바마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을 좌우할 중요 변수”라며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2002년 북한을 ‘악의 축’이라고 발언한 이래 가장 강력한 기조로 대응하겠다는 기류”라고 전했다.

 이에 앞서 마크 토너 국무부 부대변인은 3일 정례 브리핑에서 “사용하는 기술이 똑같은 만큼 북한이 발사하는 게 위성이든 탄도미사일이든 중요치 않다”며 “민간 차원의 평화적 목적이 아닌 건 분명하다”고 했다.

 우리 군도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도발에 대비해 사전에 예정돼 있던 각종 군사훈련을 줄줄이 연기하고 실전 대비태세로 전환했다. 군 관계자는 “오는 7일 예정된 해병대의 서북도서 정기 해상 사격훈련을 21일 이후 실시하기로 했다”며 “12일께 이지스함을 동원해 실시할 예정이던 해군의 해상 기동훈련도 무기 연기했다”고 4일 밝혔다.

특히 7일 예정된 서북도서 해상 사격훈련의 경우 청와대가 직접 국방부와 합참에 연기를 지시했다고 한다. 이 지역이 은하-3호의 비행경로라는 점, 대선을 앞두고 북한의 도발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이 고루 반영됐다.

북한은 4일 동창리 기지의 발사대에 1단 추진체에 이어 2단을 장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소식통은 “북한이 2단까지 장착을 완료했으며 현재 3단 장착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1~3단으로 구성된 장거리 로켓의 최종 조립은 이르면 5일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 뒤 추진체 점검, 전기장치 연결, 연료주입 등 일주일간의 작업을 거쳐 발사 준비상태로 들어간다.

[관계기사]

▶ "북, 장거리로켓 발사대에 장착 완료"

▶ 北 김정일 사망 이틀 전 “과학자 우대하라”

▶ 日 산케이 신문 "美·日 이지스함 10척 한반도 주변 배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