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문화 노트] '오페라 극장' 은 뮤지컬 전용 극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정감사 자료를 훑어보다 눈길이 멈췄다. 자민련 정진석 의원이 요구한 '문광부 산하 각 문화예술기관.공연장 경영수지 현황' 과 민주당 최용규 의원에게 제출된 '예술의전당의 2000년 이후 기획공연과 외부 공연의 대관료 내역' 이었다.

예술의전당이 밝힌 지난해 지출대비 전체수입률, 즉 재정자립도는 87.2%로 나와있다. 예상외로 높은 수치다. 하지만 실제 내역은 어떨까.

우선 오페라극장의 경우 사실상 외부 대관공연이나 다를 바 없는 뮤지컬 '명성황후' '라이프' '스톰프' , 볼쇼이 아이스발레, 무용 '포에버 탱고' '스피릿 오브 댄스' , 국립발레단 등 상주단체의 정기공연을 자체기획에 포함시켰다.

대관료 납부를 연기해주는 방법으로 그 금액만큼 명목상의 '투자' 를 한 다음, 이를 티켓 판매액으로 돌려받는 식이다.

이른바 공동제작이다. 해당 공연의 경우만 보면 재정자립도는 100%다. 여기에 홍보 등의 이유를 내세워 뮤지컬.악극의 수익금에서 챙기는 초과 지분을 보태면 120%에 이른다.

이들 공동제작은 흥행성이 보장되고 대관료가 오페라보다 회당 1백만원 비싼 뮤지컬.악극에 집중된다.

또 상주단체의 공연이라고 해서 모두 공동제작을 하는 것은 아니다.

공연당 평균 유료관객 1천5백85명을 기록한 국립발레단의 '백조의 호수' 는 공동주최였지만 각각 평균 유료관객 7백81명과 3백96명에 불과했던 국립오페라단의 '라 트라비아타' '시몬 보카네그라' 는 대관공연으로 처리됐다.

알짜배기 공연에만 손을 내밀어 기획공연의 비율은 물론 재정자립도도 높이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둔 셈이다.

지난해초부터 지난 7월까지 오페라극장 무대에 오른 공연은 뮤지컬(악극 포함) 2백26일, 오페라 42일, 발레 33일, 무용 18일, 대중음악 6일, 연극 2일 순으로 나타났다. 뮤지컬.악극이 전체 공연일수의 70%에 이른다.

이쯤되면 오페라.발레 전용극장이라는 당초 취지가 무색해진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