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 (31)

    31. 한탄바이러스 탄생 세계최초의 발견자가 누릴 수 있는 영광중 하나는 새로운 병원체에 대해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권한이다. 나는 유행성 출혈열 바이러스의 발견을 처음 공개한 7

    중앙일보

    2000.11.22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 (22)

    22. 연구인들의 수난 죽음의 문턱까지 갔던 김수암씨는 조금씩 증상이 호전되어 구사일생으로 생명을 건질 수 있었다. 완쾌되어 한 달 만에 연구실을 찾은 김씨는 나에게 연구원 생활을

    중앙일보

    2000.11.08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 (11)

    11. 호랑이 선생님 1959년 12월 21일 꿈에도 그리던 미국 의학박사가 된 나는 드디어 4년만에 귀국길에 올랐다. 당시 나는 한국인으로 미국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세번째

    중앙일보

    2000.10.24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 (3)

    3. 미국 미네소타의대 연수 세계 최초로 한탄바이러스를 발견해 외국언론에 대서특필되고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며 학술원 회장이고 하니 많은 사람들이 내가 어렸을 때 매우 공부를 잘 했

    중앙일보

    2000.10.12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 (1)

    1. 바이러스와의 만남 나의 일생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바이러스와의 싸움이라고 할 수 있다. 바이러스란 세균보다 작은 미생물로 스스로 번식하지 못하는 최하등 생물이다. 감기처럼 가벼

    중앙일보

    2000.10.10 00:00

  • [삶과 추억] 한국예방의학의 개척자 주인호 박사

    '아프리카 대륙을 돌본 한국의 슈바이처' . 지난 2일 81세를 일기로 미국 워싱턴주립대병원에서 타계한 한림대 의대 명예교수 송정(松亭)주인호(朱仁鎬)박사를 일컫는 말이다. 그는

    중앙일보

    2000.08.09 00:00

  • 이호왕 신임학술원 회장 "사회윤리의식 중요"

    "학술원은 자연과학은 물론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원로들이 함께 모인 국내 유일의 두뇌 기관입니다. 요즘 인간 유전자 지도의 규명을 포함한 생명공학과 자연과학 분야의 발전이 비약적으로

    중앙일보

    2000.07.15 00:00

  • [여론프리즘] 전직 장관 '러브레터' 에 분노

    전직 고위 공직자들이 한 여성 로비스트에게 보낸 '러브레터' 가 장안의 화제가 된 가운데 '러브레터' 를 가장한 e-메일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뒤흔든 한 주였다. 장관과 여 로비스

    중앙일보

    2000.05.11 00:00

  • 미국 증시 대추락 2조 달러가 꺼졌다

    지난주 미국 증시에 또 하나의 기록이 수립됐다. 그러나 이번 기록은 그동안 미국 투자자들이 보아오던 것과는 달랐다. 상승을 거듭하던 나스닥 시장이 무려 25.3%나 급락한 것이다.

    중앙일보

    2000.04.25 22:15

  • 유행성출혈열백신인 ´한타박스´ 효능 논란

    한탄바이러스의 분리로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개발된 유행성출혈열(신증후출혈열) 백신인 `한타박스´의 효능을 둘러싼 학계의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한타박스 효능에 대

    중앙일보

    2000.03.10 09:52

  • [한국의 20세기 의료인물] 이호왕 아산 생명과학연구소장

    아산생명과학연구소장 이호왕(李鎬汪)박사(71)는 지금까지 한국인 의학자가 만들어낸 '세계최초 업적' 가운데 국제학계로부터 가장 확실한 평가를 받고 있는 한탄바이러스의 발견자다. 7

    중앙일보

    1999.12.08 00:00

  • 성묘길 질병 예방법, 벌초때 출혈열등 전염 주의

    벌초를 할 때는 조심해야 한다. 유행성 출혈열.렙토스피라.쯔쯔가무시 등에 걸릴 위험이 높기 때문. 원인은 달라도 산이나 들에서 들쥐의 오물 등을 접촉하거나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중앙일보

    1999.09.16 09:14

  • [성묘길 질병 예방법] 벌초때 출혈열등 전염 주의

    벌초를 할 때는 조심해야 한다. 유행성 출혈열.렙토스피라.쯔쯔가무시 등에 걸릴 위험이 높기 때문. 원인은 달라도 산이나 들에서 들쥐의 오물 등을 접촉하거나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중앙일보

    1999.09.16 00:00

  • [책광장] '태공망 상.중.하' 外

    [인문] ◇ 태공망 상.중.하 (미야기타니 마사미쓰 지음.양경미 옮김.까치.각 권 7천5백원) =일명 강태공으로 알려진 태공망을 비롯한 당대 영웅들의 역사와 경륜.지략이 무엇인지를

    중앙일보

    1999.07.15 00:00

  • 중앙병원, 유행성 출혈열 혼합백신 러시아에 수출키로

    러시아 시장을 겨냥한 예방백신이 국내기술로 개발됐다.서울중앙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소 (소장 李鎬汪) 는 9일 러시아와 만주 일대에서 빈발하는 신증후출혈열 (腎症候出血熱) 의 예방백신

    중앙일보

    1998.04.10 00:00

  • 풍성한 한가위 건강에 신경을 … 유행성 출혈열등 전염병 예방

    14일부터 본격적인 추석연휴를 맞는 사람들의 마음은 벌써 고향으로 달린다. 그러나 마음이 들뜬 만큼 안전사고가 따르고 모처럼 함께 만나는 가족들은 예상치 못한 응급질환이나 야외 감

    중앙일보

    1997.09.09 00:00

  • 유행성출혈열 주의 경북북부,예방접종 당부

    [安東=金善王기자]안동.영주등 경북북부지역 시.군보건소는 유행성출혈열 발생시기를 맞아 주민들에게 예방조치를 지키도록 1일당부했다. 유행성출혈열은 10월말부터 12월초까지 경북북부지

    중앙일보

    1994.11.01 00:00

  • 얼터너티브 그룹 REM 美.유럽서 돌풍

    20세기말의 음악,얼터너티브의 선구자인 그룹「REM」이 2년동안 침묵을 깨고 새음반 『괴물』(Monster)을 내놓아 전세계 차트를 강타하며 정상에 오르고 있다. 이 앨범은 15일

    중앙일보

    1994.10.26 00:00

  • 유행성출혈열.렙토스피라증 겨울에도 걸릴수 있다

    야외에서 쥐오줌등을 통해 감염되는 유행성출혈열과 렙토스피라증은 늦가을에 주로 많기는 하지만 겨울이라도 안심할수 없으므로 스키.골프.겨울등반을 즐기는 사람들은 주의가 요망된다. 仁濟

    중앙일보

    1993.12.01 00:00

  • 유행성출혈열 바이러스 발견 이호왕 교수

    인류문명사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한국인은 그리 많지 않다.그동안 좁은 땅덩어리안에 잘난 사람도 꽤 많았다지만 세계인이 함께 알아주는 이는 특히 드물다. 李鎬汪박사(64). 정년퇴임

    중앙일보

    1993.11.26 00:00

  • 경갑룡.조근해.이호왕.차인석.김철수.김만진 등

    ◇景甲龍 한국천주교 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은 23일 오후2시 서울 명동성당 문화관에서「원자력과 환경」에 관한 세미나를 개최. ◇李鎬汪교수(고려대.미생물학)는 23일 경기도동두천시에서

    중앙일보

    1993.10.22 00:00

  • 서울대 병원-명의배출의 산실… 97년에 분당병원 개원

    1885년 4월 광혜원의 개원으로 이 땅에 근대 서양의학이 도입된 이래 지난 1세기간 우리 근대의학의 발전은 서울대병원과 함께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나라 임상교육·연구와

    중앙일보

    1992.06.26 00:00

  • 유행성 출혈열 환자 보사부 발표의 10배

    86∼90년에 발생한 우리 나라 유행성 출혈열 환자수가 보사부발표보다 10배 이상이나 많은 것으로 밝혀져 당국의 신뢰성 없는 통계처리 및 법원에 대한 관리감독부실, 일선법원들의 신

    중앙일보

    1992.05.19 00:00

  • 제2회 호암상 수상자 업적

    ◎유행성 출혈열 백신개발/의학 이호강 교수 이호왕 교수는 세계 3대 전염병으로 알려진 유행성 출혈열의 병원체를 발견하고 예방약을 개발함으로써 세계 의학계에 획기적인 업적을 남겨 수

    중앙일보

    1992.02.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