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72) 역사의 고향(33) 함양 상림제

    한국의 농민들은 하늘을 보고 산다. 가뭄이 아니면 장마, 장마가 아니면 조풍수해가 겹치는 땅덩어리 위에서, 그래도 농자지대본이라고 흙을 파며 살고 있다. 조국근대화의 불이 켜지고

    중앙일보

    1967.07.01 00:00

  • 한·수재 대비

    알맞은 기후·풍토로 천혜의 농업국임을 자랑해온 우리나라는 근년에 이르러, 특히 8·15해방 이후부터는 거듭되는 남·도벌 등으로 산림이 황폐해지면서 해마다 가뭄소동과 물난리를 연례행

    중앙일보

    1967.06.30 00:00

  • 수방대책 미비

    7월 초순께부터 장마가 들게 되리라는 장마예보가 전해지고 있으나 서울시 당국의 수방대책이 채 정비되지 못해 올해도 도심지 물난리는 면하기 어렵게 됐다. 서울 시내의 하수도 보급율은

    중앙일보

    1967.06.28 00:00

  • 침수 위험 덜어|흑석동 유수지 준공

    서울시는 6일 시내 흑석동 유수지를 준공했다. 지난 64년에 착공 총7천6백60만원을 들여 준공을 본 이 유수지의 용량은 약2만 톤, 수해 때마다 물난리를 겪어오던 흑석동일대의 3

    중앙일보

    1967.06.05 00:00

  • 목마른 대지 보름째

    보름 가까이 가뭄이 계속되고 있는 요즘 날씨는 앞으로도 비가 올 징조가 보이지 않는다고 22일 관상대는 내다보았는데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 가뭄 피해는 차차 심각해지고 있다. 서울에

    중앙일보

    1967.05.22 00:00

  • 준공된 보광동 수원지 하루만에 마비

    16일 일부 준공식을 갖고 하루 2만5천톤의 식수 생산에 들어갔던 보광동 수원지가 하루만에 시설 미비가 밝혀져 물 한 방울 생산하지 못하고 기능을 멈춰 부실 공사의 일면을 드러내

    중앙일보

    1967.05.18 00:00

  • 한강둑 동·서부 이촌동 고층 아파트촌으로

    해마다 장마철이면 물난리의 대명사로 불리던 한강둑 동부 이촌동과 서부 이촌동이 고층「아파트」촌으로 바뀌었다. 동부 이촌동에는 총5억7천만원의 예산으로 된 5층짜리 공무원「아파트」6

    중앙일보

    1967.03.31 00:00

  • (12) 마포구

    9개 구 가운데 가장 발전이 뒤늦은 곳이 마포구. 항상 개발 계획에서 소외된 채 해마다 한강 물난리만 겪어야 하는 곳이 마포구였다. 그러나 제2 한강교가 놓인 후 사정이 약간 달라

    중앙일보

    1967.03.07 00:00

  • (8) 성동구(상)

    성동구청은 올해 안에 관내의 하수도를 완전 정비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청계천 복개공사를 재개하는 한편 관내에 있는 벌거숭이 산에 1천만 그루의 「아카시아」를 심어 토

    중앙일보

    1967.02.21 00:00

  • (10)「불도저」 서울 특별시장 김현옥씨

    『만족이라구요? 내 신념과 철학과 소신으로 저는 앞으로 3년, 서울을 올해보다도 더욱 파헤치고 다듬을 결심입니다』 「불도저」 김현옥 서울특별시장은 말끝마다 신념·철학·소신이란 낱말

    중앙일보

    1966.12.23 00:00

  • 남부지방엔 가뭄

    8일은 입추, 9일은 말복-.7일대구의기온은 올들어 가장높은38도7분을기록, 늦더위는 정상으로 치솟고 있다. 이밖에 폭염은 울산 (36도2분) 광주 (35도8분) 제주서귀포(35도

    중앙일보

    1966.08.08 00:00

  • 세태지수

    관상대 예보가 오랜만에 맞아드는 것인지 이젠 숫제 찌기시작했다. 물난리가 빚은 상처가 미처 아물기도 전에 엄습한 열기가 심상치 않다. 무더위의 도래와 함께 벌써 작년에 왔던 각설이

    중앙일보

    1966.08.03 00:00

  • 장마 후 옷 도둑 득실

    장마가 걷힌 뒤 서울시내 곳곳에는 옷 도둑이 부쩍 늘어났다. 특히 물난리를 심하게 겪었던 동교동·서교동·합정동·용강동·대흥동 등 한강변두리 지역에서는 날뛰는 좀도둑 때문에 지난 2

    중앙일보

    1966.07.29 00:00

  • 수돗물 구경한지 20여일

    물은 주지 않고 물세만 꼭꼭 받아 가는 수도국 당국에 한마디 하고싶다. 요즘 서울 서대문구 대현동 일대는 수돗물 구경을 한지가 20일이 넘는데도 당국에서는 아무런 대책도 없이 매월

    중앙일보

    1966.07.28 00:00

  • 까치집이 부럽다

    시골에서는 까치가 둥우리를 짓는 것을 보고 한해의 농사를 점친다. 까치집 둥우리의 입이 어디로 열렸느냐로 강우량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하늘을 향해 열려있으면 그 해는 가문다는

    중앙일보

    1966.07.28 00:00

  • 어느 쪽 변덕?

    해마다 당하는 일이고 당할 때마다 번번이 소를 잃지만 외양간만은 태고적 그대로 허술하기 만한 장마. 한강다리 밑 수위를 지켜보면서, 콩알만해진 간을 달래고 있노라면, 원망도 갖가지

    중앙일보

    1966.07.27 00:00

  • "한강 둑, 15M 이상으로"

    26일 상오 김현옥 서울시장은 25억원의 예산을 투입, 한강변의 대대적인 제방 보수 대책을 세워 제방을 높여 15「미터」이상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김 시장은 한강변 44

    중앙일보

    1966.07.26 00:00

  • 1구에 1만원

    서울시 수해대책본부는 물난리로 목숨을 잃은 16명 유족에게 1위당 1만원 도합 16만원의 장의금을 지급했다.

    중앙일보

    1966.07.25 00:00

  • 위험 수위란?

    한강인도교부근 제방높이는 13「미터」86「센티」이고 한강인도교 높이는 인도교바닥이 제방높이와 같다. 서울시 당국이 8「미터」50「센티」를 경계수위로, 10「미터」50「센티」를 위험

    중앙일보

    1966.07.25 00:00

  • 산하(13)「금수강산의 기원」…수재없는 옥토|다목적 「댐」의 웅도를 펼쳐라!

    예부터 일러 치산치수는 치정의 대도라 했다. 물을 다룰 수 있는 힘을 보유하는 것-. 이것은 곧 국력을 배양할 수 있는 소지를 마련하는 가장 근본적인 명제였다. 「물싸움」-. 물

    중앙일보

    1966.07.19 00:00

  • 수재의연금 기탁

    명동입구 지하도상가 건립추진위원회(명동2가 15의1)는 18일 물난리로 집 잃은 수재민에게 전해달라고 의연금 1천 원을 중앙일보사에 기탁했다.

    중앙일보

    1966.07.18 00:00

  • 내동댕이 친 재민들

    각종 건설공사에 「불도저」식 박차를 가하고 있는 서울시 도로확장공사에 따른 판잣집 철거민과 남산화재민, 숭인동 화재민 등 1만8쳔여가구의 철거민들을 영구 정착시키지 못하고 하천부지

    중앙일보

    1966.06.29 00:00

  • 곳곳에 비 피해

    25·26 양일간 서울을 비롯, 중부지방에 쏟아진 폭우로 여러 곳에 물 소동, 많은 집이 침수되고 5명이 급류에 휩쓸려 목숨을 잃었다. 서울 목동에선 수해방지대책 없이 숭인동 화재

    중앙일보

    1966.06.27 00:00

  • 종합적인 건강진단(13)|한일자 기형 20만 꿈꾸는 청주|홀쪽이 만든 북청주 계획| 늦기 전에 서부개발을

    청주시는 남북이 길고 동서가 좁다. 남북의 길이는 2∼3「킬로」, 거기에 비해 동서는 5백 「미터」내외. 우리 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한일자식 도시다. 청주가 이처럼 기형이 된데는

    중앙일보

    1966.05.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