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박태균식품의약전문기자의Food&Med] 한식은 세계 최고의 건강식

    김치·비빔밥·설렁탕 등을 즐겨먹는 외국인에게 한국 음식의 특징에 대해 물으면 흔히 나오는 단어가 스파이시(spicy·자극적), 헬시(heathy·건강), 펀(fun·재미)이다. 우

    중앙일보

    2008.06.23 01:15

  • [류인균의 뇌 이야기] 즐거운 상상 하면 기분 좋은 이유

    [류인균의 뇌 이야기] 즐거운 상상 하면 기분 좋은 이유

    회색 건물, 아스팔트, 사방이 막힌 사무실….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하지만 잠시라도 벗어나고 싶은 환경이다. 우리가 접하는 자연이라고 한다면 직장을 오가며 스쳐 지나가듯 보는 가로

    중앙선데이

    2008.04.13 05:05

  • [부부의사가 쓰는 性칼럼] 급할수록 돌아가세요

    [부부의사가 쓰는 性칼럼] 급할수록 돌아가세요

    “내 친구는 20분은 한다던데… 남들과 비교하다 보면 자존심만 상하죠.” 삽입 후 1~2분 내에 너무 빨리 사정이 된다며 조루 문제를 하소연하는 L씨.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통계를

    중앙선데이

    2007.09.16 04:42

  • [부부의사가 쓰는 性칼럼] 급할수록 돌아가세요

    [부부의사가 쓰는 性칼럼] 급할수록 돌아가세요

    “내 친구는 20분은 한다던데… 남들과 비교하다 보면 자존심만 상하죠.” 삽입 후 1~2분 내에 너무 빨리 사정이 된다며 조루 문제를 하소연하는 L씨.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통계를

    중앙선데이

    2007.09.15 21:59

  • [류인균의 뇌 이야기] 망각의 알약

    [류인균의 뇌 이야기] 망각의 알약

    서로 죽도록 사랑했던 한 연인이 끝내 헤어지고 말았다. 두 사람의 만남은 서로에게 똑같은 기억으로 남지 않을 수 있다. 한 사람에겐 평생의 추억으로 간직하고 싶은 행복한 기억으로

    중앙선데이

    2007.08.12 01:41

  • 100세 청년을 꿈꾼다 기공법

    100세 청년을 꿈꾼다 기공법

    경희대 한의대 조성훈 교수(가운데)와 제자들이 학교 교정에서 단전호흡을 하고 있다. 신동연 기자 회사원 최모(45)씨는 언제부터인가 가슴이 답답하고 숨쉬기가 곤란해 최근 병원을

    중앙선데이

    2007.07.28 22:06

  • 신나는공부,신바람아이 - ②학습장애 해결책은?

    성장 시기따라 교육법 달라져야 초등학교 1학년인 김군은 똑똑하다는 소리를 들으며 자랐다. 어른들의 말을 잘 알아듣고 잘 대답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한글을 배우면서 시작됐다.

    중앙일보

    2007.03.19 15:56

  • 향수 진하면 왜 머리 아플까?

    많은 사람으로 거의 만원에 가까운 엘리베이터에 겨우 몸을 내맡긴 순간 어디선가 풍겨나는 독한 향수냄새. 내리자마자 많은 사람들이 손은 내저으며 독한 향수냄새에 질렸다는 듯이 머리를

    중앙일보

    2006.12.08 08:14

  • 독감은 독한 감기? 감기·독감 뭐가 달라?

    환절기와 겨울에 가장 우려되는 것이 감기이다. 그리고 10월에서 12월 사이가 되면 아이들은 독감 예방 주사를 맞는다. 감기는 상기도 점막에 바이러스가 침투해 생기는 염증으로 인한

    중앙일보

    2006.09.27 12:55

  • 얘들아 모여라 영화랑 노~올자

    얘들아 모여라 영화랑 노~올자

    '영화야 나와라, 노올자~' 14일부터 19일까지 펼쳐지는 제2회 고양국제어린이영화제(GICFF, www.gicff.com)의 슬로건이다. 33개국에서 출품한 166편의 주옥같은

    중앙일보

    2006.09.08 21:14

  • 휴대전화로 주인 구한 개… 당뇨병 주인 쓰러지자 911 단축번호 눌러

    휴대전화로 주인 구한 개… 당뇨병 주인 쓰러지자 911 단축번호 눌러

    19일 미국 워싱턴에서 '주인을 구한 개' 벨이 미 무선통신재단이 수여하는 '사마리안'상을 받은 뒤 주인 위버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워싱턴 AP=연합뉴스] 올 2월 7일

    중앙일보

    2006.06.22 04:52

  • [삶과문화] 자기만의 언어

    지난 주말 친구와 브런치를 먹다가 어릴 적 얘기가 나왔다. 그 친구는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한국인 2세이니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이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그 친구는 어릴 때 나와

    중앙일보

    2006.04.11 21:17

  • 군견이 사병보다 연봉 세다

    경계·수색작전에 투입하는 군견이 병사들보다 월등히 나은 대우를 받고 있다고 26일 한국일보가 보도했다. 신문은 25일 국방부가 국회 국방위에 제출한 자료를 인용해 사료비와 장구비·

    중앙일보

    2005.09.26 08:36

  • 대구 시각장애인들, 온몸으로 느끼는 역사·문화 기행

    대구 시각장애인들, 온몸으로 느끼는 역사·문화 기행

    ▶ 지난 16일 전남 보성군 차밭을 찾은 시각장애인들이 자원봉사자의 도움을 받아 찻잎의 맛을 보고 있다. 홍권삼 기자 지난 16일 오후 전남 보성군 보성읍 봉산리 대한다원 입구.

    중앙일보

    2005.04.21 04:57

  • [세계는 지금] 파리의 이색 식당 '당 르 누아르'

    [세계는 지금] 파리의 이색 식당 '당 르 누아르'

    ▶ 시각장애인 종업원(맨 오른쪽)이 손님들을 좌석으로 안내하고 있다. 파리 캥캉푸아 거리에 있는 '당 르 누아르'는 매우 특이한 식당이다. 영업시간이지만 식당 안은 정상인도 앞을

    중앙일보

    2005.04.06 18:21

  • 예술로 치료하는 ´멀티테라피´ 뜬다

    이제 웰빙도 멀티(multi)·퓨전(fusion)화되고 있다. 한가지 웰빙만으론 복잡다단한 현대인에게 신체적·정신적 행복을 안겨주기 힘들어서일까. 대표적인 예가 멀티테라피다. 멀티

    중앙일보

    2005.01.28 09:15

  • [week& 건강] 예술로 치료하는 '멀티테라피' 뜬다

    [week& 건강] 예술로 치료하는 '멀티테라피' 뜬다

    *** 이런 질병엔 이런 그림이 좋아요▶ 두통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초록색과 비위(脾胃)의 기능을 강화해 주는 노란색을 사용해 강한 붓 터치로 그린 것이다. 오장육부의 균형을 도와

    중앙일보

    2005.01.27 15:33

  • 전국 첫 시각 장애인 전용 식물원

    시각장애인 전용 식물원이 장애인의 날인 오는 20일 대구대에서 문을 연다. 국내 첫 시도다. 경산캠퍼스 점자도서관 앞에 부지 850평 규모로 조성되는 시각장애인 전용 식물원은 모과

    중앙일보

    2004.04.13 20:52

  • [앗 이런 과학] 마약 찾아내는 예민한 개코

    [앗 이런 과학] 마약 찾아내는 예민한 개코

    요즘 인터넷이나 TV를 보면 애완견에 대한 내용과 프로그램이 쏟아지고 있다. 현재 국내의 애완견수는 200만~300만으로 추정되고 있다. 애완견 관련 시장도 1조원을 넘어섰다.

    중앙일보

    2004.03.03 16:44

  • 심신 건강 보살펴 드리는 게 가장 큰 선물

    심신 건강 보살펴 드리는 게 가장 큰 선물

    민족의 명절 설이다. 온 가족이 모여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는 날이다. 하지만 차례 못지 않게 부모님을 찾아뵙고 인사드리면서 평소 못다한 효도를 하는 의미도 크다. 연로하신 부모님들

    중앙일보

    2004.01.20 23:20

  • 심신 건강 보살펴 드리는 게 가장 큰 선물

    심신 건강 보살펴 드리는 게 가장 큰 선물

    민족의 명절 설이다. 온 가족이 모여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는 날이다. 하지만 차례 못지 않게 부모님을 찾아뵙고 인사드리면서 평소 못다한 효도를 하는 의미도 크다. 연로하신 부모님들

    중앙일보

    2004.01.19 15:29

  • "당뇨 노인 67% 치료 안해"

    "우리나라 60세 이상 노인 가운데 적게는 52만명, 많게는 1백8만명(남성 44만명, 여성 64만명)이 당뇨병 환자다. 이중 72만명(67%) 가량은 적절한 치료나 관리를 받지

    중앙일보

    2003.05.27 17:11

  • "당뇨 노인 67% 치료 안해"

    "우리나라 60세 이상 노인 가운데 적게는 52만명, 많게는 1백8만명(남성 44만명, 여성 64만명)이 당뇨병 환자다. 이중 72만명(67%) 가량은 적절한 치료나 관리를 받지

    중앙일보

    2003.05.26 14:07

  • 말단 工員서 사장·교수로 '굳센 女心'

    산업용 테이프를 생산하는 경남 양산시 상북면 상삼리 화인테크놀리지의 서영옥(徐瑛玉·47·사진)대표는 말단 공원에서 시작해 10여개국에 제품을 수출하는 어엿한 기업의 대표이자 박사

    중앙일보

    2002.11.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