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인공태양’ 핵융합장치 핵심 부품 생산, 세계 초전도선재 선도 기업으로 떠올라

    ‘인공태양’ 핵융합장치 핵심 부품 생산, 세계 초전도선재 선도 기업으로 떠올라

    KAT KAT㈜(한상덕 대표∙사진)는 고려제강이 100% 출자해 설립된 초전도체 개발 기업이다. KAT는 2040년대 상용 핵융합발전소 건설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과 이를 통해 대용

    온라인 중앙일보

    2011.04.27 17:17

  • [Wide Shot] 대덕 시험용 핵융합로 ‘KSTAR’ 가동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전 사고를 계기로 원전 대체 발전 수단으로 꼽히는 핵융합 발전이 주목받고 있다.  핵융합 발전은 핵 분열 방식인 원전과 달리 방사성물질 대신 바닷물에서 뽑

    중앙일보

    2011.04.02 14:29

  • [Wide Shot] 대덕 시험용 핵융합로 ‘KSTAR’ 가동

    [Wide Shot] 대덕 시험용 핵융합로 ‘KSTAR’ 가동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전 사고를 계기로 원전 대체 발전 수단으로 꼽히는 핵융합 발전이 주목받고 있다.  핵융합 발전은 핵 분열 방식인 원전과 달리 방사성물질 대신 바닷물에서 뽑

    중앙일보

    2011.04.02 00:24

  • 3년 뒤 태양風이 몰아쳐 지구 ‘大정전’ 주의 바랍니다

    3년 뒤 태양風이 몰아쳐 지구 ‘大정전’ 주의 바랍니다

    아이슬란드 에이야프얄라요쿨 화산 상공에 오로라가 나타났다. 오로라는 태양에서방출된 플라스마가 극지방 대기 상층부에서 공기분자와 반응해 일어나는 방전현상이다. 오로라 아래쪽에 여전히

    중앙일보

    2010.09.16 11:00

  • “북한 기술로 핵융합 불가능 … 위협용”

    “북한 기술로 핵융합 불가능 … 위협용”

    북한이 12일 “핵융합 반응에 성공했다”고 주장하고 나서 구체적 사실 관계와 발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핵융합 성공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조선의 첨단과

    중앙일보

    2010.05.13 01:17

  • 재미 한국인 기업 “저온 핵융합 성공”

    재미 한국인 기업 “저온 핵융합 성공”

    저온 핵융합 실험이 성공했을 때 나타나는 중성자의 흔적. 과학자들은 저온 핵융합 실험에서 중성자의 흔적이 발견되면 실험이 성공했다고 본다. [자료=미국화학회]태양에선 핵융합이 일어

    중앙일보

    2009.03.28 01:09

  • "미국 앞서 인공태양 만들자" 중국 뜨거운 야심

    중국의 고전 '산해경(山海經)'에는 ‘과보추일’ 전설이 나온다. 거인족 출신의 과보란 인물이 서쪽으로 저무는 태양을 붙들어 두기 위해 뒤쫓다 황허(黃河) 물을 다 마시고도 부족해

    중앙일보

    2007.06.20 14:43

  • "120만 과학기술 인력이 최대 자산"

    "120만 과학기술 인력이 최대 자산"

    안후이성 허페이의 중국과학원 산하 플라스마 물리연구소에서 연구원들이 ‘초전도 토카막 핵융합장치(EAST)’를 점검하고 있다. 중국은 이를 이용해 2050년까지 인공 태양을 개발할

    중앙일보

    2007.05.29 04:34

  • [박석재의천문학이야기] 북한 핵실험과 별

    우주는 92가지 원소로 구성된다. 가장 가벼운 원소는 수소이고 가장 무거운 92번째 원소는 우라늄이다. 수소처럼 가벼운 원소의 원자핵들은 모여서 커지고 우라늄처럼 무거운 원소의

    중앙일보

    2006.10.13 20:45

  • 우주생성 비밀 국내에서 풀릴까

    우주 생성의 비밀을 밝힐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는 중성미자 검출기가 국내에도 건설된다. 과학기술부는 올해부터 4년간 90억원을 들여 원자력발전소 근처에 중성미자 검출기를 건설

    중앙일보

    2006.03.08 05:01

  • [과학으로 세상보기] 우주 전체가 하나의 몸이다

    항성이 영어로 뭐냐고 물어보면 의외로 많은 사람이 머뭇거린다. 우리 말로는 별이고 영어로 스타(star)라고 하면 모두 웃는다. 어쨌건 항성이란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다. 지구의

    중앙일보

    2003.09.04 18:45

  • 북한 핵전문가 누가 있는가

    북한 경원하 박사가 미국으로 망명했다고 호주의 한 주간지가 보도함에 따라 북한의 핵 전문가들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에서 핵무기 개발을 주도한 핵 전문가는 도상록(都相綠)·한인

    중앙일보

    2003.04.24 15:43

  • [과학으로 세상보기] 석유가 액체로 저장된 까닭

    이라크 전쟁에는 대량살상무기 테러 지원국 제거라는 명분과 석유 확보라는 실리가 뒤얽힌 것을 부인하기 어렵다. 석유하면 부시 대통령의 고향 텍사스의 목장 주인 록 허드슨과 유전으로

    중앙일보

    2003.04.01 18:11

  • [과학과 미래] 0.000000000000001초에 도전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 남자 쇼트트랙 1천m 결승. 3위로 달리던 김동성 선수가 마지막 바퀴에서 2위로 치고 나왔다. 앞을 막고 있는 것은 중국의 리자준. 도저히 뒤집을 수

    중앙일보

    2003.03.12 15:47

  • 대덕단지 핵융합 연구 메카로

    2005년이면 대덕 연구단지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세계 각국의 과학자들로 북적거릴 전망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핵융합 발전 연구시설이 들어서 연구원이 세계 과학자들의 공동연구센

    중앙일보

    2002.01.28 10:31

  • 대덕단지 핵융합 연구 메카로 탈바꿈

    2005년이면 대덕 연구단지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세계 각국의 과학자들로 북적거릴 전망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핵융합 발전 연구시설이 들어서 연구원이 세계 과학자들의 공동연구센

    중앙일보

    2002.01.28 00:00

  • [헬로 2000] 무공해·무한 에너지 핵융합발전

    석유는 대기오염과 지구 온난화 현상 등 부작용이 크다. 그래도 요즘처럼 국제유가가 춤을 추면 산유국이 아닌 우리나라는 피곤해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석유가 곧 고갈될

    중앙일보

    2000.03.21 09:37

  • [헬로 2000] 무공해·무한 에너지 핵융합발전

    석유는 대기오염과 지구 온난화 현상 등 부작용이 크다. 그래도 요즘처럼 국제유가가 춤을 추면 산유국이 아닌 우리나라는 피곤해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석유가 곧 고갈될

    중앙일보

    2000.03.21 00:00

  • [분수대] 햇볕의 본질

    태양이 태양계의 주인이고 지구는 그 둘레를 도는 조그마한 행성일 뿐이라는 사실이 지금은 상식이 돼 있다. 태양의 직경이 지구의 1백9배, 질량이 33만배 가량이라는 사실을 정확하게

    중앙일보

    1999.06.25 00:00

  • [미래로 가는 신과학] 신개념 에너지 개발…물 전기분해로 에너지 확보

    인류가 지금까지 이룩한 물질과학기술문명의 토대는 물질의 파괴과정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조절하는 통제기술의 개발로 일관돼 왔다. 현재의 에너지원인 나무.석탄.석유.전기.핵등은 파괴되면

    중앙일보

    1998.02.02 00:00

  • 기초과학지원연구소, 핵융합로 내년 제작 착수

    단일 연구설비로는 국내 최대 규모인 핵융합연구장치 개발이 본격화 되고 있다. 기초과학지원연구소 핵융합연구개발사업단은 내달 8~10일 '토카막 주장치 기본설계 검증' 회의를 열어 핵

    중앙일보

    1997.11.27 00:00

  • 러시아.중국 원자력이용 협정

    [모스크바 AP=연합]러시아와 중국은 원자력 에너지와 관련한상호 협력을 포함,양국 합작으로 중국에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는것을 골자로 하는 협정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빅토르 미하일로프

    중앙일보

    1996.01.08 00:00

  • 金대통령이 밝힌 科技선진국 청사진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은 23일 재미동포 과학기술인 초청 리셉션에서 21세기 과학기술 선진국을 향한 우리의 정책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핵융합 연구개발계획=핵융합이란 수소폭탄

    중앙일보

    1995.07.25 00:00

  • 11.플라즈마 물리연구소 어떤 곳인가

    프린스턴대학 플라즈마물리연구소(PPPL)는 美國 정부의 수소폭탄 연구와 함께 탄생됐다.지난 51년 美 행정부는 수소폭탄 제조를 위한 이른바「마테호른 프로젝트」를 출범시키면서 PPP

    중앙일보

    1994.07.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