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해외 석학 칼럼] '동'으로의 회귀

    역사학자인 안드레 군더 프랑크는 1998년의 저서 『리오리엔트』(ReORIENT.동양으로 되돌아간다는 뜻)에서 역사 속의 아시아 경제를 이렇게 말했다. "세계경제를 객관적으로 검증

    중앙일보

    2001.01.14 00:00

  • [석학대담] 다나카 아키히코 도쿄대 교수

    냉전 종식 후 세계체제에 관한 학설은 다양하다. 미국이 질서를 주도하는 일극 체제로 보는 시각이 있는가 하면 일극.다극체제의 혼합형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 군사력.경제력을 중심으로

    중앙일보

    2001.01.06 00:00

  • 美 정당 '이념종말' 현상…사안별로 여야 '합종연횡'

    내년 대통령 선거를 앞둔 미국 정가에 이른바 '이념의 종말'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보수색깔이 강했던 공화당과 진보색채를 띠어 왔던 민주당의 정책과 주장이 갈수록 뒤엉

    중앙일보

    1999.07.15 00:00

  •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국제회의 지상중계]

    26일 열린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국제회의' 에는 세계적인 석학들이 참여, 정치구조와 경제발전이 어떻게 연관될 수 있는지를 놓고 토론을 벌였다. 이날 '민주주의와 사회정의' 라는

    중앙일보

    1999.02.27 00:00

  • [세계석학.정치지도자에게 듣는다]프랜시스 후쿠야마

    [만난사람 = 유종일 KDI 국제대학원 교수] - 교수님께서는 95년 펴낸 '트러스트 (신뢰)' 라는 책에서 한국이 비교적 신뢰가 낮은 사회라 규정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가

    중앙일보

    1999.02.25 00:00

  • [세계석학.정치지도자에게 듣는다]후쿠야마 교수는

    프랜시스 후쿠야마 교수는 지난 89년 '역사의 종언' 이라는 한 편의 작은 논문에서 '이데올로기의 대립은 끝났다' 고 주장, 전세계 지성인들의 격렬한 찬반 논쟁을 불러일으킨 바 있

    중앙일보

    1999.02.25 00:00

  • [사고]세계 석학.정치지도자 연속 인터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천년을 준비하는 '밀레니엄 연중기획'을 펼치는 중앙일보가 KBS와 공동 기획으로 세계의 주요 정치지도자와 석학을 대상으로 한 5회 연속 '밀레니엄 인터뷰'를 마

    중앙일보

    1999.02.20 00:00

  • ['아시아적 가치'란 무엇인가]

    '아시아적 가치' 는 학문적으로 엄밀하게 합의된 개념이 아니다. 학자마다 정의가 다르고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처럼 그 존재에 대해 회의적인 경우도 많다. 반면 현실적 쟁점으론 분명

    중앙일보

    1998.09.07 00:00

  • [김영희 대기자의 투데이]'아시아적 가치'논쟁 허와 실

    아시아 금융위기를 일으킨 유력한 형이상학적인 '용의자' 로 아시아적 가치가 지목되고 있는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다. 70년대와 80년대 내내 아시아 경제가 높이 뜰 때는 아시아경제의

    중앙일보

    1998.05.13 00:00

  • [김성호 세상보기]버킹엄궁 앞의 사진사

    "아시아와 유럽 스물다섯 나라에서 오신 대통령과 총리 여러분, 빡빡한 아시아.유럽정상회의 (ASEM) 일정 때문에 얼마나 고생 많으셨습니까? 이제 엘리자베스 2세 여왕 폐하가 베푸

    중앙일보

    1998.04.10 00:00

  • [중앙시평]신뢰와 국가발전

    최근 우리 주변에서 가장 자주 접하게 되는 단어의 하나가 바로 '신뢰 (信賴)' 다.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외환.금융위기가 국제사회에서 우리 기업과 금융기관, 그리고 우리 정부의

    중앙일보

    1998.01.27 00:00

  • [오늘의 중앙일보]1월 20일

    후쿠야마 한국診斷 8면 저명한 사회비평가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한국의 위기가 '하늘이 내린 축복' 이 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평시라면 불가능한 변화를 쉽게 해주기 때문이란다. 독

    중앙일보

    1998.01.20 00:00

  • '트러스트' 저자 후쿠야마 교수에게 듣는다

    경제위기에 대한 국제통화기금 (IMF) 의 처방은 우리의 기존 문화.정서.사회제도와 부닥치는 점이 많다. IMF의 권고는 중요한 경제변수 몇 개에 손을 대라는 정도가 아니라 정부.

    중앙일보

    1998.01.20 00:00

  • [책속으로]위기의 경제 '응급처방전' 줄줄이 출간

    온 나라가 경제난국으로 깊은 시름에 잠겨있다. 경고음 하나 듣지 못하고 무방비 상태로 엄청난 일을 당했으니 가히 '경제6.25' 라 할 만하다. 하지만 지금은 누구를 탓하기보다 와

    중앙일보

    1997.12.19 00:00

  • 아시아계,미국 官界서 홀대…LA타임스 보도

    "유럽출신은 우대받고 아시아계는 냉대받는다. " 미 로스앤젤레스타임스가 21일 미국으로 건너온 이민자들은 출신지에 따라 권력상층부 진입에 차별받는다고 보도한 내용의 골자다. 즉 유

    중앙일보

    1997.10.23 00:00

  • '문명의 충돌'

    냉전의 종식 이후 국제관계의 질서 재편성 방향에 관해 쏟아져 나온 여러 전망들 가운데 가장 큰 논란을 불러 일으킨 것이 아마 새무얼 헌팅턴의 문명충돌론일 것이다. 미국 하버드대 정

    중앙일보

    1997.07.20 00:00

  • 미국 조지메이슨大 후쿠야마교수 주장 논란

    “한국 사회에서는 실리콘밸리에서와 같이 소프트웨어 산업이 일어나는 네트워크가 형성되기 어렵다. 한국은'신뢰가 낮은 사회'(low trust society)이기 때문이다.” 미국 조

    중앙일보

    1997.05.07 00:00

  • 中.東아시아 시대는 오는가

    일본의 저명한 경영컨설턴트인 오마에 겐이치는.국가의 종말'(한.언 刊)에서 근대국가를 죽음을 기다리는 공룡에 비유한다.다국적기업.거대자본이 국경을 넘나들면서 경제주체가 국가에서 지

    중앙일보

    1997.01.21 00:00

  • 서로가 인정하는 사회

    책 한권을 써서 갑자기 유명해진 사람이 있다.미국의 프랜시스후쿠야마란 역사학자다.그는 『역사의 종언(The End of History)』이란 제목의 책 한권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

    중앙일보

    1996.11.11 00:00

  • "트러스트" 프랜시스 후쿠야마 著

    『역사의 종말』 후편격으로 21세기 자본주의 질서에서 살아남기 위해 한 국가가 어떤 원칙을 갖춰야 하는가를 논한 책.각국의 경제와 사회문화의 상관관계를 집중적으로 해부한 저자는 『

    중앙일보

    1996.11.05 00:00

  • 연결財務諸表와 持株회사

    지난 22일 정부.여당 고위 관계자들이 공정거래법개정안을 놓고 회의를 가졌다.거기에서 미뤄놓은 안건 가운데 하나로 연결재무제표가 있다.결론부터 말하자.연결재무제표 작성 의무는 이번

    중앙일보

    1996.10.31 00:00

  • "권력과 지성인" 에드워드 사이드 著

    지성인의 첫째가는 기능은 그가 속한 사회의 제반 현상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여론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데 있다. 크게는 국경과 민족,작게는 직종간 벽의 개념이 바뀌어가며 세계화.

    중앙일보

    1996.10.05 00:00

  • 북한은 붕괴하는가-시기별로 살펴본 북한붕괴論

    90년 동독이 붕괴되면서 제기되기 시작한 북한붕괴론은 옛소련의 붕괴,김일성(金日成)사망,계속되는 식량난등 북한을 둘러싼 국내외 정세의 악화로 더욱 확산돼 왔다.그러나 북한이 붕괴할

    중앙일보

    1996.09.22 00:00

  • 삼성경제硏 창림10돌 심포지엄-일본 후쿠야마 강연요지

    『역사의 종언』의 저자 프랜시스 후쿠야마박사가 28일 삼성경제연구소 창립 10주년기념 국제심포지엄에 참석하기위해 처음 방한했다. 후쿠야마박사는 심포지엄및 기자회견을 통해 『역사의

    중앙일보

    1996.06.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