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63) 손근찬(국립의료원·소아과)①|백일해 환자는 반드시 결핵검사를

    보사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요즘 백일해유행주의보를 내리고 백일해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고있다. 이 병은「백일기침」이 또는「당나귀 기침」이라고도 불리는 백일해균에 의해서 오는 급성호흡

    중앙일보

    1980.05.15 00:00

  • (7) 대기오염

    공장 굴뚝에서 나온 시커먼 연기가 하늘을 뒤덮는다. 매캐한 아황산 「가스」에 눈을 뜨지 못한다. 공장폐수에 벼와 과실이 말라죽는다. 근로자들이 마시는 식수에도 6가「크롬」이 섞였다

    중앙일보

    1979.12.28 00:00

  • 전국이 "꽁꽁"

    12일 갑자기 닥쳐온 첫 추위가 13일에는 평균 4∼5도씩 더 떨어져 남부지방이 올 들어 첫 빙점하로 떨어지는 등 제주와 남해안 일부지역을 제외한 전국이 영하로 떨어졌다. 서울의

    중앙일보

    1979.11.13 00:00

  • 벌써부터 「바가지」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다는 소서(소서)이자 휴일인 8일 섭씨30도를 넘는 불볕더위가 전국을 휩쓸어 광주 32도 5분, 진주 32도 2분, 서울 30도 8분까지 수은주가 치솟는 등

    중앙일보

    1979.07.09 00:00

  • 휴일 무더위…강릉33도 기록

    휴일인 17일 강릉의 33도를 최고로 포항(31도5분)·대구(31도2분)·전주(30도4분)·청주 (30도3분)등이 30도를 넘는 본격적인 무더위를 보였으며 서울 27도, 부산26도

    중앙일보

    1979.06.18 00:00

  • 뒤늦은 동장군 심술

    겨울의 마지막인 2월을 그냥 보내기가 아쉬운 듯 28일 아침 대관령의 영하 10도6분을 최저로 춘천 영하 6도5분, 서울 영하 4도9분, 부산 영하 2도6분 등 제주 (0도6분)를

    중앙일보

    1979.02.28 00:00

  • 지구인들 80년대로 뛴다

    「필리핀」수도 「마닐라」의 동남쪽 65km지점, 「라구나」의 「로스·반요스」에 이르면 통칭「이리」(IRRI)라 불리는 국제미작연구소(International Rice Researc

    중앙일보

    1979.02.22 00:00

  • 천금의 유산 「호남 문화」가 한자리에…|6일 문을 연 또 하나의 문화명소 국립 광주 박물관

    숱한 시인·묵객을 배출한 남도 서정의 본산 광주에 또 하나의 문화 명소가 모습을 드러냈다. 6일 문을 연 국립 광주 박물관-. 광주 시내를 한눈에 굽어보며 진산 무등산을 왼쪽으로

    중앙일보

    1978.12.06 00:00

  • 원료·기자재가 수입 주류|1, 2차 수입 개방 이후|수입 인증 발급 실적-총 5억2천만불

    지난 5월1일 단행된 1차 (1백33개 품목) 및 9월18일의 제2차 (2백99개 품목) 수입 개방 조치 이후 9월말까지 개방 품목의 수입 인증 발급 실적은 총 5억2천3백만「달러

    중앙일보

    1978.11.02 00:00

  • 바싹 마른 날씨… 호흡기 질환 많은 때-실내 습도 60%를 유지하자

    가뭄이 한창이다. 바싹 마른 공기는 코와 목 점막을 자극시켜 기도 감염·편도선염·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고 먼지·꽃가루 등이 평소 배 이상으로 날려 피부병·안 질환 등 갖

    중앙일보

    1978.05.24 00:00

  • 동양인도 「마라톤」 2시간10분벽 뚫었다

    지난5일 거행된 일본의 제27회「마이니찌」(매일)「마라톤」 대회에서 25세의 안경잡이「소오·시게루」(종무)선수가 2시간9분5초6이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수립함으로써 일본체육계는 온통

    중앙일보

    1978.02.08 00:00

  • 이상난동 보리가 웃자란다

    12월 들어 계속되고 있는 이상난동으로 전국 농촌에서는 보리가 평균 4∼5cm나 웃자라 본격적인 겨울철에 접어들었을 때 동해의 우려가 있고 일부지방에서는 높은 습도로 인해 황화현상

    중앙일보

    1977.12.13 00:00

  • 밤낮 기온차 심해 감기환자 부쩍늘어

    환절기를 맞아 밤낮의 기온차가 심해지자 최근 감기환자가 부쩍 늘고 있다. 이번 감기는 목이 붓고 아프며 기침과 높온열이 나고 어린이들에게 잘 걸린다는게 특징. 21일 서울시내 각

    중앙일보

    1977.11.21 00:00

  • 가을 가뭄

    우리 나라의 초겨울은 감기로부터 시작된다. 국화가 시들고 서리가 내릴 무렵이면 사람들은 오한을 느끼고, 목소리마저 달라진다. 가을이 물러가며 건네준 선물이다. 이 무렵의 습도는 거

    중앙일보

    1977.10.20 00:00

  • (21)「베어쓰는 재미」보다「가꾸는 정성」을 먼저 익혔다|나무의 나라 캐나다

    『이놈의 땅은 나무를 모조리 잘라버리기 전엔 아무런 쓸모가 없는 땅이로구먼』-. 불과 2백여년전「캐나다」를 누비고 다니던 탐험가들에게 가장 큰 골칫거리는 울창한 숲과 삼림이었다.

    중앙일보

    1977.08.24 00:00

  • (3) 적도대의 「가봉」서 온 「발랑탱·오밤」대사

    한국의 더위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지독하다고 했다. 아주선 처음으로 서울에 상주대사관을 두고있는 「가봉」의 「발랑탱·오밤」대사의 말이다. 상하의 「아프리카」- 그것도 적도대의 「

    중앙일보

    1977.07.19 00:00

  • 섭씨 30도선

    「그리스」는 2개월 반에 걸친 실험을 끝내고, 지난 16일부터 다시 예부 터 지켜 오던 「시에스터」(오수시간)제를 다시 실시키로 했다. 여름에는 상점들은 예전처럼 8시부터 2시 반

    중앙일보

    1977.06.27 00:00

  • 주기적인 비, 높아진 기온, 심한 일교차|날씨가 이상해졌다

    날씨가 이상하다. 2∼3일 주기로 흐리면 한차례 비가 오고 다시 개면 수은주가 치솟았다가 비가 오고 서늘해지는 가운데 밤과 낮의 기온의 차가 심해지고 비가 골고루 내리는 등 최근

    중앙일보

    1977.05.26 00:00

  • 「연탄중독 위험일」을 상보하자

    연탄「가스」중독의 위험을 지표로 사용해서 예보할 수 있는 암보지수계산식이 고안돼「가스」중독사고를 줄일 수 있는 길이 틔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소의 박원열박사 ( 고범공정연구실장 )「

    중앙일보

    1976.12.30 00:00

  • 건강관리

    평균기온 섭씨25도, 평균습도 95%이상-. 햇볕이 났을 때보다 기온은 낮으면서도 장마철의 눅눅한 더위는 더욱 견디기 어렵다. 더구나 끈적끈적한 무더위 속에서는 갖가지 병을 일으키

    중앙일보

    1976.07.12 00:00

  • 주생활

    우선 지붕을 살펴 깨지거나 금이 간 것은 미리 갈아낸다. 집안의 배수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으면 대단치 않은 장마에도 집에 물이 찬다. 부엌의 하수구와 마당의 하수구를 일일이 점검

    중앙일보

    1976.07.12 00:00

  • 6월 무더위 맹위

    28일 서울지방을 비롯, 대관령 이서지방에 낮 최고 30도를 넘는 무더위가 위세를 떨쳤다. 이날 서울은 하오3시15분 34도8분을 기록, 예년보다 7도6분이나 높았고 청주 34도2

    중앙일보

    1976.06.29 00:00

  • 봄빛이 손짓하는 4월…|바빠질 농가일손

    봄빛이 터질 듯 무르익어 겨우내 움츠렸던 살갗을 보드랍게 감싸돈다. 식목일과 청명(5일)곡우(20일)가 든 4월은 아무래도 농촌의 일손이 눈코뜰사이없이 돌아가는 황금의 달이 될 듯

    중앙일보

    1976.04.01 00:00

  • 안개가 몰고 온 「예기치 못한 소동」

    새해 초부터 안개로 인한 예기치 못한 정전사고로「아파트」주민들은 난방「보일러」를 가동시키는 전력이 들어오지 않아 추위에 떨었으며 특히 영동지구 「아파트」의 경우는 전력으로 끌어올리

    중앙일보

    1976.01.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