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문학

    금년 한햇 동안의 우리 문학은 각 「장르」에 걸쳐 예년에 비해 두드러지게 활발한 움직임을 보았으면서도 특징 지을만한 하나의 일관된 흐름은 형성하지 못했다. 이것은 곧 열의와 의욕에

    중앙일보

    1972.12.14 00:00

  • 소 지식인들 논쟁 한창 『1940년8월』

    소련 정부가 「알렉산드르·솔제니친」의 신작 『1914년8월』에 대한 출판 및 판매금지조치를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용케 구해 읽은 소련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이 책에 대한 토론과

    중앙일보

    1972.12.09 00:00

  • 임어당 필생의 역저 한영사전 출간

    오랫동안 침묵만 지키고 있던 중국의 석학 임어당(77)이 「필생의 역저」를 내었다. 약10만 단어를 수록한 한영사전을 출간한 것이다. 1931년 「R·H·마튜」가 한영사전을 낸 이

    중앙일보

    1972.12.05 00:00

  • 우리말 「불교성전」출간-대한불교 조계종총무원

    한국불교 1천6백년을 맞아 처음으로 우리말「불교성전」이 간행되었다. 대한불교 조계종 총무원의 교화사업후원회(회장 김동익·전 동대 총장)가 68년부터 편찬에 착수했던 「불교성전」은

    중앙일보

    1972.12.02 00:00

  • 「옥스퍼드」영어사전 신 증보판 제1권 출간

    「옥스퍼드」영어사전(OED)의 신 증보판 제1권이 출간되었다.(원제는 A Supplement To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Edited By R. W

    중앙일보

    1972.11.24 00:00

  • 삼국유사 영역 출간

    한국사 연구뿐 아니라 동양사 연구의 가장 중요한 자료의 하나인 일연의『삼국유사』가 처음으로 영역 출판되었다. 『Samguk yusa』라는 제명에 「삼국시대의 전설과 역사」라는 부제

    중앙일보

    1972.11.01 00:00

  • 영·일어판 저서 셋 출간

    근년 들어 우리 학계에는 국내학자들의 저서 또는 논문을 영·일어 등 외국어로 번역 소개하는 작업이 활발해 지고 있다. 이 출판물들은 대부분 국내 출판사를 통해 외국어로 간행하는 경

    중앙일보

    1972.07.03 00:00

  • 동국정운 연구|최근 발견된 완질 6권을 보고

    종국대부설 한단고유문화연구소는 10일 이번에 국회 제1백42호로 지정된『동국정운』완질본 6권(원본)을 처음으로 학계에 공개하는 한편「간국정운연구에 대한 문제점」을 주제로 한 성원경

    중앙일보

    1972.06.14 00:00

  • 김병익·김주연·김치수·김현 공동평론집|『현대한국문학의 이론』|기존이론을 수정·정리|32편3부로 나눠|"전통의 계승……창조적 반역아"로 자처

    이른바 「동류의식을 가진 60년대 출신의 평론가군」으로 불리는 4명의 젊은 평론가들(김병익 김주연 김치수 김현)이 그들의 문학적 입장과 논리를 정리하는 공동평론집 『현대한국문학의

    중앙일보

    1972.03.02 00:00

  • 활기 띨 한국문학의 해외 진출

    유네스코 본부의 한국대표작 시리즈 발간 계획에 따라 이미 『한국시선집』(Anthology of Korea Poetry) 『한국시조선집』(The Bamboo Grove) 『용비어천가

    중앙일보

    1972.02.10 00:00

  • 장서각의 「한국 본 고서 목록」 5월말 출간|한국학 연구의 새 지침

    창경원 장서각에 소장된 4만2천 책의 한국판 고서들의 목록이 처음으로 정리되어 5월말 출판된다. 『문화재 관리국 장서각 소장 한국 본 고서 목록』이란 이름으로 출판될 이 도서 목록

    중앙일보

    1972.02.07 00:00

  • 조계종·태고종 두 곳서 출간 준비|「불교성전」나온다

    우리 나라 불교도들의 정신적 양식이 되고 생활의 지침이 될 불교성전이 72년 상반기에 출간을 목표로 두 곳에서 추진되고 있다. 한국불교의 양대 산맥인 대한 불교조계종과 한국불교태고

    중앙일보

    1971.12.29 00:00

  • 『일역 한국사신론』-이기백 저를 두 일인 번역

    이기백 교수의 『한국사신론』이 최근 두 일본인교수에 의해 일역, 한국과 일본에서 동시 출간됐다. 이로써 외국어로 번역된 본격적 한국의 역사서는 지난해에 영역된 한우근 저 『한국사』

    중앙일보

    1971.12.01 00:00

  • 「한국현대판화선집」제1집 출간|명동화랑에서 회원제 보급운동

    명동화랑은 판화보급운동의 첫 시도로서 최근「한국현대판화선집」제1집을 내놓았다. 23㎝ 30㎝의 일정 판형으로 한 제1집은 김상유·김종학·배융·윤명로의 네 작가 것을 1점씩으로 1「

    중앙일보

    1971.11.27 00:00

  • 시인집「시리즈」

    이제까지 우리 나라에서 시집을 낸다는 일이란 시인이 자기만족을 위해 자비출판을 하는 것이 고작이었다. 말하자면 시 독자의 부재현상인 셈이다. 따라서 시집출간으로 돈 구경하기란 하늘

    중앙일보

    1971.11.04 00:00

  • 신·구 악수의 2년 산고 『공동 번역 신약 성서』완성

    세계에서 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최상위의 「베스트·셀러」인 성서가 11일 부활절을 기해 「프로티스턴트」와 가톨릭 공동 번역으로 출판, 발매된다. 『공동 번역 신약 성서』는 69년1월

    중앙일보

    1971.04.09 00:00

  • 세계에 선보일 한국예술

    한국의 현대회화를 소개하는 최초의 영문판 화집이 5월 중 「유네스코」한국 위원회에 의해 출간된다. 45세 이상의 현역화가 21명을 선정, 그들의 작품을 원색으로 3점, 흑백으로 5

    중앙일보

    1971.02.03 00:00

  • 「잊혀진 역사」에의 비전 독립운동사 편찬

    한국사를 민족의 주체 사로 정립하려는 학계의 움직임에 따라 최근세사에 있어서 가장 흐려지고 왜곡된 부분인 1895년 을미 년에서 해방이 되던 l945년까지의 역사를 정리하는 움직임

    중앙일보

    1971.01.27 00:00

  • 『신채호 선생전집』명년 1월까지 출간

    민족사학의 수립자인 단재 신채호 선생의 저서 및 유고를 총망라한 『단재 신채호 선생전집』이 9월초부터 편찬작업에 들어가 71년1월까지 출간하게된다. 국판양장으로 간행되는 이 전집은

    중앙일보

    1970.09.30 00:00

  • 불멸의 문화자취‥‥역경

    불교와 기독교가 한국문화에 미친 영향은 거의 절대적이다. 그 가운데서도 경서를 통한 영향은 특기 할만하다. 종교서적의 산실인 불교의 동국 역경원, 기독교의 대한 성서공회와 대한기독

    중앙일보

    1970.08.04 00:00

  • 해외에 심은 한국문화 단심의 저술 5천 페이지-22권의 영문저서 낸 하태흥 옹

    한국문화의 해외소개가 숨은 70대의 한 노 문필가에 의해서 끈질기게 수행되고 있었다. 하태흥 옹(70)은 연세대 출판부가 내놓고있는 영문 한국문화 시리즈(10권 출간, 5권 탈고,

    중앙일보

    1970.07.15 00:00

  • 한국산업의 문젯점

    산은은 계속업무로 추진해온 우리나라 산업전반에 대한 실태조사 및 분석작업의 일환으로 이번에 출간된 『70년도 한국의 산업』은 금후의 지향으로서 이미 구축된 공업화기반을 바탕 삼은

    중앙일보

    1970.04.10 00:00

  • 현대화 바람 타는 성서, 영서 360년만에 신역 출판

    성서의 현대어 번역작업이 각국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이때 최근 영국에서 『새 영어 성서』가 출간되어 호평을 받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신 구교 합동으로 성서 번역사업이 활발

    중앙일보

    1970.04.02 00:00

  • 몽고어 연구에 16년 김방한교수|「징기스칸」일대기「황금사연구」연내출판

    몽고어는 한국어·만주어·「터키」어와 함께「알타이」어계에 속하며, 따라서 한국어의 계통적 연구를 위해 불가불 우리가 연구해야 할 언어가운데 하나다. 김방한교수(46·서울대문리대·언어

    중앙일보

    1970.03.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