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인문학과 사귀려는 공학도를 위한 추천서 15]

    시대가 가파르게 움직일수록 인문학은 더욱 뒤처져 보인다. 해서 '인문학의 위기' 가 공공연히 회자된다. 하지만 인문학이 현대사회의 빠른 질주를 가능케 한 원동력이었다는 사실을 우리

    중앙일보

    1999.12.09 00:00

  • 90년대 최고의 책은 '혼불' … 교보문고 90년대의 책 100선

    90년대 최고의 애독서는 故 최명희 작가의 '혼불'과 유홍준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교보문고는 1일 교육계와 언론계, 출판계 등 각 분야의 전문가 100명으로부터 복수추천을

    중앙일보

    1999.12.02 18:16

  • 간송미술관 '조선후기 영모화'展

    "그림을 아는 사람은 설명하고 그림을 좋아하는 사람은 그저 바라보며 그림을 즐기는 사람은 그려지는 대상을 일상 생활에서도 유심히 바라보게 된다" 는 말이 있다. 이 말을 거꾸로 뒤

    중앙일보

    1999.10.18 09:21

  • 간송미술관 '조선후기 영모화'展

    "그림을 아는 사람은 설명하고 그림을 좋아하는 사람은 그저 바라보며 그림을 즐기는 사람은 그려지는 대상을 일상 생활에서도 유심히 바라보게 된다" 는 말이 있다. 이 말을 거꾸로 뒤

    중앙일보

    1999.10.18 00:00

  •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29. 최완수 학교

    서울광화문에서 삼청터널을 지나 성북초등학교 쪽으로 내려가다보면 왼편으로 '간송미술관' 이라는 안내판을 볼 수 있다. 입구를 들어서면 잘 가꿔진 정원과 돌로 된 사자 한쌍이 손님을

    중앙일보

    1999.09.14 00:00

  •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29. 나는 이렇게 본다

    '최완수 학교' 의 연구자들은 우리 문화에 대한 애정을 학문적 수준으로 고양시키기 위해 가헌 (嘉軒) 최완수 선생의 지도를 받으며 공부하는 간송미술관의 식구들이다. 그래서 간송 선

    중앙일보

    1999.09.14 00:00

  • EBS '세상보기' 각계전문가 강연 호평

    TV가 요란해서, 혹은 화려해서 브라운관이 부담스럽다면 EBS '세상보기' (월~금 저녁 7시20분.밤 10시40분 재방송) 를 권하고 싶다. 다만 오락 프로나 트렌디 드라마의 가

    중앙일보

    1999.07.15 00:00

  • [채널톱] 실사구시 문화역량-'EBS세상보기'

    □…EBS 세상보기 (EBS 저녁7시20분.밤 10시40분 재방송) = '실사구시의 시대 - 추사 김정희' .간송미술관 최완수 학예실장이 들려주는 우리 문화 바로 보기 시간. 조선

    중앙일보

    1999.06.28 00:00

  • 겸재-단원 두 대가 비교…간송미술관 '금강산 그림전'

    1711년 당시 36세의 젊은 화가 겸재 (謙齋) 정선 (鄭敾) 은 첫 금강산 유람길에 오른다. 외금강.내금강.만물상을 거쳐 해금강에 이르기까지 금강산 구비구비 여정을 담은 그의

    중앙일보

    1999.05.24 00:00

  • 최완수씨 한국문화 특강 EBS '세상보기' 큰 호응

    선비와 TV.아귀가 맞지않는 항목처럼 보인다. 미술사학자 최완수 (57.간송미술관 학예실장) 씨도 그렇게 생각해왔다. 그의 말을 빌리면 "대중 앞에 맨 얼굴을 드러내는 것도 싫었지

    중앙일보

    1999.05.10 00:00

  • [책동네]실록에 기록안된 역사의 진실 外

    *** 실록에 기록안된 역사의 진실 최완수 간송미술관 연구실장이 실록에 기록되지 않은 역사의 진실을 쓴 '조선왕조 충의열전' 을 냈다. 역사가의 눈으로 실록의 행간을 읽어낸다. *

    중앙일보

    1999.01.12 00:00

  • [전시]간송미술관 '진경산수화전'

    스페인 작가 고야의 평전을 쓴 일본 소설가 홋타 요시에 (堀田善衛) 는 고야 시대의 유럽 부르봉 왕가를 다국적 기업에 비유했다. 여기저기 왕족과 정략결혼해 현지사장을 내보내듯 유럽

    중앙일보

    1998.05.19 00:00

  • [한국화가 이태승]잊혀진 '고려 불화' 맥 잇는다

    요즘 용인 호암미술관에는 고려불화 6점이 대거 전시 중이다. 특별전 '아미타전' 때문이지만 호암미술관 김재열 부관장도 '이례적인 일' 이라고 말한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고려불화를

    중앙일보

    1998.04.28 00:00

  • [책속으로]'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최완수 外著

    진경 (眞景) 시대를 아는지. 귀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겸재 (謙齋) 정선 (鄭敾) 의 진경산수화는 들어보았을 것이다. 한국 회화사상 가장 위대한 대화가의 한사람으로 칭송받는 겸재

    중앙일보

    1998.03.27 00:00

  • EBS '스페셜' 스승과 함께하는 학문 공동체

    '난초를 키우는 곳에 들어가면 그윽한 난향이 몸에 배인다. ' 하루 24시간을 함께 숙식하는 내제자 (內弟子) 들이 스승을 모시고 공부하는 학문 공동체, 사숙 (私塾) .이 곳의

    중앙일보

    1998.02.20 00:00

  • 유홍준 문화유산답사회 탁본 전시회 개최…암각화서 신동엽 詩碑까지

    1816년 아직 더위가 채가시지 않은 늦여름. 구슬땀을 씻으며 추사 김정희 (金正喜.1786~1856) 는 북한산 비봉 (碑峯)에 올랐다. 추사보다 5년 먼저 문과 급제했으며 역시

    중앙일보

    1998.02.03 00:00

  • 제2의 겸재 한국화가 장지성,정선그림 임모로 주목받아

    겸재 (謙齋) 정선 (鄭敾 1676~1759) 의 그림은 도끼로 팬 장작의 단면처럼 거친 결이 보이는 부벽준 (斧劈준) 과 점을 툭툭 찍은 미점 (米点) 묘법이 절묘하게 결합된데

    중앙일보

    1997.12.09 00:00

  • 장승업, 시대를 잘못만난 천재화가…간송미술관서 100주기 기념전

    말갈기는 세필로 가늘게, 그리고 굵은 등걸은 짙은 먹을 듬뿍 찍어 휙하니 그려놓은 그림은 전혀 손색이 없다. 그런데 목불식정 (目不識丁) 의 무학에 어깨너머로 배운 그림솜씨란 말을

    중앙일보

    1997.10.28 00:00

  • 한석봉 - 한석봉체의 뿌리와 영향 (2)

    석봉이 맨처음 글씨를 배운 스승은 지조있는 선비였던 영계(瀯溪) 신희남(愼喜男)이었다.그에게 배운 글씨는 조선초기 유행했던 송설체(松雪體).원나라 학자였던 조맹부(趙孟부)가 완성한

    중앙일보

    1997.06.03 00:00

  • 간송박물관 중국근대회화전

    봄이 되면 한국에는 동쪽에서 바람이 불어온다.중국대륙의 황사를 머금고 황해를 건너오는 동풍이다.중국에서 동쪽으로 불어온 바람은 황사의 계절풍만이 아니다.동아시아 역사지도 위에서는

    중앙일보

    1997.05.20 00:00

  • 간송미술관 최완수 학예실장

    유가(儒家)에서는 문(文).사(史).철(哲)에 두루 능통하며서화(書畵).풍류까지 겸비한 사람을 「통유(通儒)」라 했다.반면 특정 분야에 빠져있는 사람을 「궁유(窮儒)」라 했다.바야

    중앙일보

    1996.06.02 00:00

  • 간송미술관 '진경시대 미술' 전시

    조선조의 문화 역량이 당대 세계 최고 수준이었음을 입증하는 진경시대(眞景時代)의 다양한 미술품을 한눈에 돌아볼 수 있는 종합전시회가 서울 성북동에 있는 간송미술관에서 열린다. 개관

    중앙일보

    1996.05.19 00:00

  • 예술의 전당 위창 오세창展

    옛 서예작품 가운데는 잘 써내려간 글씨 사이로 오래된 기와조각 탁본을 찍어놓은 색다른 작품이 간혹 있다.이런 작품은 조선시대 서예사의 끄트머리에 주로 등장한다. 탁본배치로 악센트를

    중앙일보

    1996.03.17 00:00

  • 경허.만해.성철등 스님47人 유묵전

    경허(鏡虛).용성(龍城).만공(滿空).한암(漢岩).만해(卍海).경봉(鏡峰).효봉(曉峰).동산(東山).탄허(呑虛).구산(九山).성철(性徹)스님 등 한국 불교사에 우뚝 솟은 선사 47

    중앙일보

    1996.02.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