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부익부 빈익빈, 교수 연봉차이 17배

    비즈니스맨·악덕 CEO로…정체성 혼란 교수 경력 22년째인 S대 L교수는 최근 일체의 사회적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풍조가 교수의 권위마저 실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적 측

    중앙일보

    2007.04.14 13:51

  • [양재찬의 인간순례 - 정상에 선 사람들 25] 열정으로 물리적 나이 넘어선다

    열정으로 물리적 나이 넘어선다우리 나이 일흔셋, 돼지띠 할아버지가 2007년 황금돼지 해에 대박을 터뜨렸다. 연기 생활 51년째인 배우 이순재, ‘야동 순재’·‘악플 순재’· '

    중앙일보

    2007.04.13 15:15

  • 김민 교수,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심사위원에

    김민 교수,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심사위원에

    바이올리니스트 김민(65.서울대 교수.사진)씨가 세계적 권위의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심사위원으로 위촉됐다. 김 교수는 "2009년 5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중앙일보

    2007.04.13 04:30

  • 강한 여자 … '알파 걸' 전성시대

    강한 여자 … '알파 걸' 전성시대

    "여자라서 안 된다는 생각요? 전혀 해본 적 없어요." 성균관대 응원단장 이청휘(21.유학동양학부 3년)양. 1977년 응원단 창단 이후 30년 만의 첫 여성 응원단장이다. 복학

    중앙일보

    2007.04.13 04:24

  • 인터넷중독, 행동장애·정신병 등 합병증 심각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인터넷 중독이 단순히 인터넷의 활성화로 인한 폐해 이상으로 정신병적으로도 심한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앙일보

    2007.04.11 07:55

  • [월요인터뷰] "인도주의는 북한 부드럽게 변화시키는 힘"

    [월요인터뷰] "인도주의는 북한 부드럽게 변화시키는 힘"

    한완상 총재는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1961년 북한 유학생 남편과 생이별한 레나테 홍 할머니의 상봉문제와 남북관계, 북핵 문제, 대입 제도 문제 등 폭넓은 주제에 대해 자신의 생

    중앙일보

    2007.04.08 20:13

  • IBT 토플 접수 '하늘의 ★ 따기'

    IBT 토플 접수 '하늘의 ★ 따기'

    외국어고를 준비중인 강모(16·중3)양은 4월 중순 필리핀에서 토플 시험을 치른다. 응시생 수가 워낙 많아 국내에선 원하는 날짜에 시험을 치를 수 없어 해외로 나가는 것이다. 강

    중앙일보

    2007.04.02 11:41

  • 미 줄리아드서 'U턴'한 연습벌레

    미 줄리아드서 'U턴'한 연습벌레

    "한국에 들어오면서부터 꼭 입상하고 싶었던 콩쿠르에서 1위를 해 너무 기뻐요. 개성이 강해 듣기만해도 연주자의 경험과 생각이 느껴지는 러시아의 로스트로포비치 같은 첼리스트가 되고

    중앙일보

    2007.03.31 05:10

  • 멋이 나야 잘 팔려 … 아파트 디자인 경쟁

    대림산업이 마영범 디자이너와 손잡고 선보인 인테리어가 적용된 아파트 36평형 거실. 무겁지도 그렇다고 가볍지도 않은 색의 조화가 돋보인다. 그동안 아파트 브랜드 강화해 치중했던 주

    중앙일보

    2007.03.28 16:36

  • 제1회 포스코청암상 수상자

    제1회 포스코청암상 수상자

    27일 ‘제1회 포스코 청암상’ 시상식이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과학상), 강석준 논산 대건고 교장(교육상), 박태준 포스코

    중앙일보

    2007.03.28 04:40

  • [사설] 인간 체세포 연구, 다시 달려가야 한다

    국가생명윤리위원회가 인간 체세포 복제 연구를 제한적으로 허용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고 있던 우리 연구가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와 관련된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1년여 중단

    중앙일보

    2007.03.26 00:26

  • 체세포 복제 연구 다시 허용된다

    체세포 복제 연구 다시 허용된다

    인간 체세포 복제 연구를 이르면 하반기부터 재개할 수 있게 됐다. 국가생명윤리위원회는 23일 체세포 복제연구를 제한적으로 허용한다고 밝혔다.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논문 조작 사

    중앙일보

    2007.03.24 05:12

  • 50년 친구, 딴 길 가나… 박희태 의원, 이명박 캠프 합류할 듯

    4월에 출범할 이명박 전 서울시장 측 경선대책위원회의 좌장으로 국회부의장을 지낸 박희태(69.5선.경남 남해 하동) 의원이 거론되고 있다. 이 전 시장의 한 측근은 "이 전 시장

    중앙일보

    2007.03.23 04:57

  • [중앙시평] 세계적 종합연구대학을 만들자

    한국은 앞으로 어떤 형태의 세계 일류 대학을 만들어야 하는가? 세계 석학들에게 이를 물어봤다. 미국 대학교육의 대가 데이비드 워드 위스콘신대 총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종합연구대학

    중앙일보

    2007.03.22 20:34

  • "민사고는 세계 최고 수준"

    강원도 횡성 민족사관고등학교(민사고)가 미국 대학 교양과목 학점인정제도(AP)에 맞춰 운영하는 7개 과목이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 고등학교 중 최고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미국

    중앙일보

    2007.03.22 04:59

  • 商人물결로 해가 지지 않는다

    “이우에 없으면 세상에 없다.” 중국 사람들이 남방의 작은 도시 이우를 가리켜 하는 말이다. 액세서리ㆍ완구 등 세계 시장에서 팔리는 잡화류의 30%가 이곳 이우를 거쳐 수출된다.

    중앙일보

    2007.03.20 13:18

  • 하이닉스반도체 회생 500일 秘史

    외환위기 10년을 이야기할 때 ‘하이닉스 반도체’를 빼놓을 수 없다. 하이닉스의 태생부터 매각 진통, 이후 일어난 회생 기적은 모두 외환위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99년 현대전

    중앙일보

    2007.03.14 16:32

  • 교수 '때 되면 승진' 관행 없앤다

    내부 평가를 통해 대부분의 부교수가 무난히 정교수로 승진했던 서울대의 관행이 없어질 전망이다. 서울대 장기발전위원회는 13일 교수 승진과 정년 심사를 엄격히 하는 내용의 장기 발전

    중앙일보

    2007.03.14 04:42

  • 그대 몸짓에 세계가 반했네

    때로 내 이름보다 ‘누구 아들, 누구 동생’이 먹힐 때가 있다. 그 ‘누구’가 낯선 상대와 연결 고리를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일단 연결 고리가 생기면 대화는 쉬워진다. 일본에서

    중앙일보

    2007.02.28 13:53

  • [흥미기획] "영어로 된 표현 많이 읽어라"

    영어권력시대, 그 정점에 토익이 있다. 대학 졸업 여부는 물론 취업과 승진이 토익 점수에 따라 좌우된다. 토익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왕도는 없는 것일까? 각 분야에서 토익 만점을

    중앙일보

    2007.02.28 11:48

  • "현대차 문제는 국가경제의 문제"

    27일 오후 서울 장충동 분도빌딩 5층 세미나실. '이대로 가면 현대자동차는 망한다'는 큼지막한 플래카드가 걸려 있었다. '미국에서 현대차 재고량이 10만 대가 넘어섰다'는 본지

    중앙일보

    2007.02.27 18:53

  • [이슈추적] 민주화 산물 '총장직선제 20년' 명분 좋지만 실리는 …

    [이슈추적] 민주화 산물 '총장직선제 20년' 명분 좋지만 실리는 …

    논문 표절 문제로 고려대 이필상 총장이 15일 사표를 제출하자 고려중앙학원 현승종 이사장은 "차기 총장은 재단이 직접 지명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1988년 직선제를 도입했다가

    중앙일보

    2007.02.17 04:53

  • 정인봉 돌출행동 왜?

    정인봉 돌출행동 왜?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도덕성 의혹을 제기한 정인봉 전 의원이 15일 한나라당 국민승리위원회에 제출할 이른바 ‘이명박 문건’보따리를 들고 사무실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오종택 기자

    중앙일보

    2007.02.16 04:34

  • "과학고 1등 학원 기록 계속될 것"

    "과학고 1등 학원 기록 계속될 것"

    "글로벌 시대의 국가발전을 위해선 우수한 과학도를 많이 배출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국토도 작고 자원도 없는데 두뇌인력을 국가 경쟁력으로 삼아야죠." 하광호(58) 장학학원

    중앙일보

    2007.02.13 1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