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41세 철학자 ‘속성 프로골퍼’ 도전기

    41세 철학자 ‘속성 프로골퍼’ 도전기

    서울대 철학과. 그 어렵다는 서울대에 그것도 철학과라면 다시 한번 쳐다 본다.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사전 정의만큼이나 철학을 하는

    중앙일보

    2008.03.24 09:35

  • [이책과주말을] 채플린 영화로 풀어본 현대철학의 딜레마

    [이책과주말을] 채플린 영화로 풀어본 현대철학의 딜레마

    찰리의 철학 공장 박승억 지음, 프로네시스, 196쪽, 9000원 경고. 제목만으로 책을 판단하지 마시라. 첫째, 책은 팀 버튼 영화 ‘찰리와 초콜릿공장’과 하등 관계가 없다. 둘

    중앙일보

    2008.02.29 18:50

  • 철학·문학·영화, 경계를 가로지르는 저술가

    철학·문학·영화, 경계를 가로지르는 저술가

    1. ‘방송사고’로 맺은 인연한 2년 전에, 팔자에도 없이 매주 방송국을 들락날락한 적이 있다. 8개월 동안 텔레비전의 책 소개 프로 진행자를 맡았던 것인데, 그때나 지금이나 나

    중앙선데이

    2007.09.02 04:23

  • 周易의 신비 깨고 3천년 동양정신 풀다

    周易의 신비 깨고 3천년 동양정신 풀다

    사진 신동연 기자  “문용직 박사가 제 그릇에 걸맞은 주제를 잡았구먼.” 그를 아는 이들이 한마디씩 했다. 한국기원 전문기사 5단이자 정치학 박사인 문용직(48)씨가 쓴 『주역의

    중앙선데이

    2007.04.27 13:38

  • "성경은 계시 … 철학적 접근 말라"

    "성경은 계시 … 철학적 접근 말라"

    "도올 김용옥 교수의 '요한복음 해석'은 그 자체가 도전 행위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이하 한기총) 대표회장인 이용규(사진) 목사는 20일 기자간담회에서 EBS 외국어학습 인터넷(

    중앙일보

    2007.02.21 05:00

  • 조용헌의 고수高手기행

    조용헌의 고수高手기행

    문·사·철의 고수 강호동양학자 조용헌 저자 조용헌은 불교, 유교, 도교, 풍수, 사주, 보학에 능한 강호동양학자다. 강호동양학은 강단동양학과 다르다. 강단동양학은 어려운 데 비해

    중앙일보

    2006.03.29 10:14

  • '좌향좌 사회'비판, 소설로

    '좌향좌 사회'비판, 소설로

    중진 소설가 홍상화(64.사진)씨가 사회의 좌경화 현상을 본격적으로 비판한 중편 소설을 발표했다. 이 소설이 주목되는 이유는 소위 '좌파 사상' 뿐만 아니라 조정래씨의 대하소설 '

    중앙일보

    2005.09.03 05:18

  • [이 책과 주말을!] 칼을 차고 다닌 칸트, 왜 결투는 안 했을까

    [이 책과 주말을!] 칼을 차고 다닌 칸트, 왜 결투는 안 했을까

    유쾌한 철학자들 프레데릭 파제스 지음, 최경란 옮김 열대림, 272쪽, 1만2000원 원제는 '철학자는 다섯 시에 퇴근한다(외출한다)'쯤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철학자의 삶에서 그들

    중앙일보

    2005.03.11 16:43

  • [신간] '나는 학생이다' 外

    ***학생을 자처하는 시대의 스승 나는 학생이다 원제 我的人生哲學, 왕멍(王蒙) 지음 임국웅 옮김, 424쪽, 9800원 왕멍(王蒙). 2000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가오싱젠을 제

    중앙일보

    2004.10.23 09:51

  • [화제의 신간을 찾아서] '세상에 나쁜 벌레는 없다'

    세상에 나쁜 벌레는 없다/제 The Voice of the Infinite in the Small 조앤 엘리자베스 록 지음, 조응주 옮김 민들레, 376쪽, 1만2000원 가장 혐

    중앙일보

    2004.06.05 09:07

  • [화제의 신간을 찾아서] ‘나’를 무너뜨려야 마음공부

    [화제의 신간을 찾아서] ‘나’를 무너뜨려야 마음공부

    ▶ 웰빙 바람 덕분일까. 요즘 명상이 유행이다. 그러나 개인의 안녕을 위한 명상에는 깨달음이 없다. 진정한 마음 공부란 자아를 없애는 과정이다. 그 곳에 참된 진리가 있다. 너무나

    중앙일보

    2004.05.07 16:07

  • [인문/지성] 절대왕정 무너뜨린 거리의 철학 禁書

    1970~80년대의 많은 대학생은 금서(禁書)로 세상을 이해했다. 상아탑의 교재로는 우리 사회의 모순을 직시하기 힘들었던 것이다. 당시의 목록을 돌아보면 '아! 옛날이여'가 절로

    중앙일보

    2003.12.19 17:54

  • 고전에서 길어올린 '나의 철학'

    사랑의 번민에 싸여 있던 젊은이가 철학가가 되어 돌아왔다. 남녀의 만남과 헤어짐을 그린 소설 『로맨스』 의 작가로 출발한 드 보통의 작품 연보를 보면 그렇다. 1969년생인 드

    중앙일보

    2002.06.08 00:00

  • "영화란 양념 치면 어떤 학문도 맛깔 난대요"

    '모든 강의는 영화로 통한다? '. 1990년대 이후 영화는 한국 대중문화의 꽃이다. 젊은 층은 일견 지나치다 싶을 만큼 영화에 몰두하고 있다. 영화이야기는 일상의 빈 시간을 때

    중앙일보

    2002.04.18 00:00

  • 철학으로 비춘 애니 : 『이것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다』 공동저자 고병권

    제목을 조금 패러디해 신간 『이것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다』(문학과경계사, 1만3천원)의 성격을 말하자면 한마디로 "이 책은 애니메이션 비평서가 아니다". 물론 이 부정어법 역시 제

    중앙일보

    2002.04.06 00:00

  • 게릴라가 꿈꾸는 '또 다른 세상'

    마치 달빛에 홀린 피에로마냥 넋을 놓고 읽었다. 7백63쪽의 책을 말이다. 커버를 덮곤 생각에 잠긴다. 도대체 이 책을 무어라 불러야 하나? 정치경제학 비판서·시집·철학서·반군

    중앙일보

    2002.03.23 00:00

  • 自我 밖으로 지적 탈주 : 11권째 철학서 출간 이진경 박사

    안과 밖은 다른 것과 같은 것을 구분하는 경계다. 이 경계가 완고하게 대립하는 '극단의 시대'에 그것은 적과 아군의 전선이었으며, 협소한 '사유'에 갇혀 있던 철학에선 자아와 세

    중앙일보

    2002.03.18 00:00

  • 주역해의(周易解義) 남동원 지음,나남출판,전3권 1·2권 2만5천원,3권 2만원

    변화(易)의 이치를 담고 있는 주역은 인간과 국가의 길흉화복(吉凶禍福) 그리고 우주만물의 생성과 소멸을 포괄하는 동아시아적 사유의 기초가 되는 책이다. 리더십·정치·윤리뿐 아니라

    중앙일보

    2002.02.02 00:00

  • [행복한 책읽기] '나르시스의 꿈'

    '왠지 암호해독같으면서도 신통한 건질 것은 없는 책, 일상을 사는 사람들의 관심과는 거리가 있는 머리 아픈 얘기'. 기왕의 철학서에 대해 혹시 이런 이미지를 갖고 계시다면 일단 지

    중앙일보

    2002.01.26 00:00

  • "나밖에 모르는 서양정신을 내던져라" '나르시스의 꿈'

    '왠지 암호해독같으면서도 신통한 건질 것은 없는 책, 일상을 사는 사람들의 관심과는 거리가 있는 머리 아픈 얘기'. 기왕의 철학서에 대해 혹시 이런 이미지를 갖고 계시다면 일단 지

    중앙일보

    2002.01.25 17:32

  • [3백자 서평] 펄 벅 여사의 재미있는 성경읽기

    성서 이야기/펄 S 벅 지음/이종길 옮김/길산/1만8천원 미국에서 태어난 지 수개월 만에 선교사인 부모님을 따라 중국으로 건너가 자란 작가 펄 S 벅이 어린 시절 즐겨 읽었던 『성

    중앙일보

    2001.12.29 08:16

  • [3백자 서평] 펄 벅 여사의 재미있는 성경읽기

    성서 이야기/펄 S 벅 지음/이종길 옮김/길산/1만8천원 미국에서 태어난 지 수개월 만에 선교사인 부모님을 따라 중국으로 건너가 자란 작가 펄 S 벅이 어린 시절 즐겨 읽었던 『성

    중앙일보

    2001.12.29 00:00

  • 소광희 교수 '시간의 철학적 성찰' 내놔

    늦은 밤 사위가 조용해질 때 죽음 이후를 생각해 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그 시간의 무한함과 인간의 유한성에 전율을 느낄 때,우리 모두는 철학자가 되기 시작한다. 생성소멸과정 자

    중앙일보

    2001.11.15 07:57

  • 소광희 교수 '시간의 철학적 성찰' 내놔

    늦은 밤 사위가 조용해질 때 죽음 이후를 생각해 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그 시간의 무한함과 인간의 유한성에 전율을 느낄 때,우리 모두는 철학자가 되기 시작한다. 생성과 소멸의

    중앙일보

    2001.11.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