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휴전선 답사길에 오르며…] 유홍준 교수

    휴전선 1백55마일, 남북 4㎞ 비무장 지대는 나의 답사길을 언제나 막아왔다. 전 국토가 박물관이라는 믿음아래 조선팔도를 남북으로 누비며 '문화유산' 이라는 이름이 붙은 곳이라면

    중앙일보

    2000.05.05 00:00

  • [문화 타임캡슐 1000년 1000~1899]

    앞으로 천년 뒤인 2999년 우리 후손들은 지금 우리의 모습을 어떻게 평가할까. 중앙일보는 천년 뒤 우리 후손에게 보여주고 싶은 지난 천년간의 문화, 문화재를 지상 타임갭슐에 담기

    중앙일보

    1999.12.31 00:00

  • [행복한 책읽기] '겸재를 따라가는 금강산여행'

    '겸재를 따라가는 금강산 여행'은 겸재 정선의 그림이 안내해주는 길을 따라가는 마음의 여행으로 우리를 초대한다. 책 저자의 말을 빌리면 그 여행은 "겸재가 서울에서 출발하여 사생답

    중앙일보

    1999.10.28 00:00

  •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29. 나는 이렇게 본다

    '최완수 학교' 의 연구자들은 우리 문화에 대한 애정을 학문적 수준으로 고양시키기 위해 가헌 (嘉軒) 최완수 선생의 지도를 받으며 공부하는 간송미술관의 식구들이다. 그래서 간송 선

    중앙일보

    1999.09.14 00:00

  •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29. 간송과 간송미술관

    간송미술관 (관장 전영우) 은 일제 시대 사재를 털어 문화재의 해외반출을 막았던 선각자 간송 (澗松) 전형필 (全鎣弼.1906~62) 의 뜻을 기리는 곳이다. 38년 간송이 수집한

    중앙일보

    1999.09.14 00:00

  •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29. 최완수 학교

    서울광화문에서 삼청터널을 지나 성북초등학교 쪽으로 내려가다보면 왼편으로 '간송미술관' 이라는 안내판을 볼 수 있다. 입구를 들어서면 잘 가꿔진 정원과 돌로 된 사자 한쌍이 손님을

    중앙일보

    1999.09.14 00:00

  • [중앙시평] 퇴색하는 금강산 '명분'

    요즘 우리 사회에는 금강산에 대한 열병과도 같은 징후들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에 한 두 사설미술관이 금강산전 (展) 을 연 이래 현재 국립박물관과 또 다른 미술관이 금강산을 주제

    중앙일보

    1999.08.02 00:00

  • 일민미술관 7일부터 '몽유금강전'

    그 경치가 너무도 황홀해 꿈 속을 거니는 듯 하다는 산, 금강산. 예로부터 이 명산은 예술가들에게 무한한 영감을 불러 일으키며 일생에 꼭 한번 형상화하고 싶은 소재로 꼽혀왔다. 7

    중앙일보

    1999.07.05 00:00

  • 겸재-단원 두 대가 비교…간송미술관 '금강산 그림전'

    1711년 당시 36세의 젊은 화가 겸재 (謙齋) 정선 (鄭敾) 은 첫 금강산 유람길에 오른다. 외금강.내금강.만물상을 거쳐 해금강에 이르기까지 금강산 구비구비 여정을 담은 그의

    중앙일보

    1999.05.24 00:00

  • [전시] 오선예展

    최근 미술계에 '진경산수' 에 대한 탐구가 부쩍 잦아지고 있다. '우리 그림' 에 대한 고민의 발로일 터. 한성대 회화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오선예씨는 진경산수란 "실경을 접한 인

    중앙일보

    1999.05.07 00:00

  • 조선후기 명필 창암 이삼만 글씨 공개

    "한평생 벼루 열개를 밑창 내고 천자루의 붓을 몽그라 뜨리다. " 병석에서도 하루 일천자씩 써내려간 조선 후기의 전설적 명필 창암 이삼만 (蒼巖 李三晩.1770~1847) 의 글씨

    중앙일보

    1999.05.01 00:00

  • [전시리뷰] 민정기展

    캔버스에 유화물감으로 우리 산수를 그리는 사람, 산수풍경을 그리되 한국적 전통이 어디에 있을까 고민하는 화가…. 민정기 (50) 씨는 80년대초 민중미술인그룹 '현실과 발언' 활동

    중앙일보

    1999.04.30 00:00

  • 경주 아트선재미술관 '산.수.풍.경' 展

    진경 (眞景) 하면 우리는 자연스레 겸재 정선을 떠올린다. 그는 관념적으로 존재하는 이상 속의 자연을 그리던 18세기 당시 화풍에서 과감히 벗어나 '참된 경치' 를 그리려 했던 사

    중앙일보

    1999.04.19 00:00

  • [여행쪽지]고산古宅 명소 보길도까지 페리호 운항

    ▶해남 = 대흥사.녹우당.등이 답사여행지로 손꼽힌다. 서산대사.초의선사로 유명한 대흥사는 조선 중기이후 한국 불교의 법맥을 잇는 명찰. 고산 윤선도의 고택인 녹우당에서는 서울 양반

    중앙일보

    1999.01.13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21.조선미술박물관의 겸재

    얼마 전에 열린 한 문화재 관계 세미나장에서 제자뻘 되는 후배가 정감의 표시로 가볍게 던진 인사말이 내게는 약간 당황스러웠다, "선생님은 역시 겸재 (謙齋) 를 별로 높이 보지 않

    중앙일보

    1999.01.09 00:00

  • [북한문화유산 답사기]20.조선미술박물관의 단원그림

    평양의 조선미술박물관 회화 수장품 중에는 예외적이라 할 정도로 이인상 (李麟祥).이인문 (李寅文).김홍도 (金弘道) 의 작품이 여러 점 있었다. 이인상은 '소나무 아래서' 라는 대

    중앙일보

    1998.12.26 00:00

  • [시가 있는 아침]이덕무 '사계 시 (四季詩)'중

    하얀 이슬 산들바람 가을을 보내주자 발 밖의 물과 하늘 창망한 가을일레 앞산에 잎새 지고 매미소리 멀어져 막대 끌고 나와보니 곳마다 가을일레 - 이덕무 (李德懋.1741~1793)

    중앙일보

    1998.10.31 00:00

  • [북한문화답사기]제2부10.정양사와 겸재의 '금강전도'

    우리가 표훈사에 당도했을 때 능파루에는 젊은 여자 둘과 여군 한명이 일행이 아니라는 듯 자리를 따로 잡고 앉아 우리 쪽에 사뭇 눈길을 주고 있는 것이 보였다. 그런 걸 놓칠 내가

    중앙일보

    1998.10.17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2부-1.금강예찬

    지난 2월부터 7월까지 본지에 '유홍준의 북한문화유산 답사기' 를 연재했던 유홍준 (兪弘濬) 교수가 중앙일보 통일문화연구소 제3차 방북조사단원으로 다시 북한을 다녀와 오늘부터 매주

    중앙일보

    1998.08.15 00:00

  • [출판]'너그러움과 해학' 정양모 지음

    조선 중기에 만들어진 백자달항아리. 입과 몸체와 굽이 혼연한 조화를 이루며 마치 자연이 잉태해놓은 것과 같은 신기 (神技)가 느껴진다. 그런데 이 자연스러움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중앙일보

    1998.08.06 00:00

  • [조선후기국보전]명품 뒷얘기 알고 보면 '감동두배'

    76살의 겸재 (謙齋) 정선 (鄭敾, 1676~1759) 은 비가 개인 어느날 청운동 집을 나섰다. 그해 친한 친구인 사천 (사川) 이병연 (李秉淵.1671~1751) 을 앞서 보

    중앙일보

    1998.07.29 00:00

  • [뉴스퀴즈]금세기 최고의 영문소설은?

    1.아일랜드 작가 제임스 조이스의 작품이 미국 '모던 라이브러리' 에 의해 금세기 최고의 영문소설로 뽑혔다. 무의식 (無意識) 의 흐름을 다룬 그 작품의 이름은? (21 - 07)

    중앙일보

    1998.07.28 00:00

  • [분수대]眞景시대로의 복귀

    17~18세기 조선조 숙종시대로부터 정조시대에 이르는 1백25년간은 우리문화의 절정기였다. 사상분야에서 중화 (中華) 인 명나라가 오랑캐인 청나라에 망하자 "이제 조선이 중화가 돼

    중앙일보

    1998.07.17 00:00

  • [화제의 책]'조선시대 화론 연구'

    □ 조선시대 화론 연구 (유홍준 지음) 화론 (畵論) 은 단어 그대로 회화에 관한 이론. 시의 의미와 형식을 분석한 시론이 있다면 화론은 그림의 밑바탕을 꿰뚫는 정신을 밝히는 작업

    중앙일보

    1998.07.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