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약재 「황련」 등은 훌륭한 혈압강하제

    한방이나 민간에서 생약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황련·택사·오가피 등이 혈압강하제로서 비교적 뛰어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가톨릭」의대 약리학 교실의 조규철·이상복 교수 「팀」은 13

    중앙일보

    1978.04.13 00:00

  • 대엽풍란|채취꾼에 의해 멸종된것으로 알려진 것 서울의 「아마추어」원예가가 자생이식

    채취꾼들에 의해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우리나라산 대엽풍란(대엽풍란·사진) 이한「아마추어」원예가에의해 자생지인제주도에서 다시 자랄수있을 것같다. 자연보존협회(회장 이덕봉)의 협조로

    중앙일보

    1978.03.16 00:00

  • (3)달리아

    「달리아」는 꽃의 모양이 다양하고 화려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대중적인 꽃이다. 원산지는 멕시코. 멕시코는 열대지방이지만 멕시코에서의 「달리아」는 해발1천5배그 고지에서

    중앙일보

    1977.07.18 00:00

  • 「아름다운 나라」가꾸기 위한「캠페인」(7)한라산|망발 부채질하는 보호

    어리목의 새벽길은 구상나무의 내음. 그렇게 싱싱하고 향긋할 수가 없다. 코끝이 싸할 정도다. 짙은 안개 때문에 시야는 10m밖이 차단됐으나 수목의 내음을 통해 어디쯤 왔는지 짐작케

    중앙일보

    1977.06.08 00:00

  • "한라산을 보호하자" 「케이블·카」계획에 각계반발|관광객 유치 위해 오락장도|세계적 식물 자원보고|자연파괴 촉진을 우려

    세계적인 식물자원의 보고인 한라산에 「케이블카」의 설치를 둘러싸고 이를 추진중인 제주도와 자연보호단체·학계의 의견이 대립돼 있다. 제주도는 18일 문화공보부로부터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중앙일보

    1977.05.20 00:00

  • 가능해질 인공 번식|제주의 한란

    천연기념물 1백91호인 한란(한란)의 인공 재배시험이 중등학교 실업과, 연구사업으로 남제주군 중문 중학교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난(난)은 오래전부터. 지식층 사람들이 즐겨왔고 공

    중앙일보

    1976.12.22 00:00

  • 산삼

    산삼 한 뿌리가 3천만원에 팔렸다는 화제기사가 있었다. 『설마…』싶지만 장담을 하는 장본인이 있고 보면 믿을 수밖에 없다. 화제의 산삼은 강원도 설악산에서 발견된 길이 1m50cm

    중앙일보

    1976.12.07 00:00

  • (19)파초일엽

    파초일엽은 직사광선을 피해 울창한 숲 속의 고목이나 바위에 붙어 살뿐 땅에서는 자생하지 않는다. 이 식물은 상록 다년초 식물로 고사리 과에 속하며 학명은 Asplenium anli

    중앙일보

    1976.10.09 00:00

  • 자취 감춘 독도의 바다 포유류-자연보존협회 학술조사 결산

    독도에는 어떤 생물이 얼마나 살고 있을까? 과연 바다사자는 있는 것일까? 이러한 의문을 풀기 위해 한국자연보존협회(회장 이덕봉)의 학술조사단(단장 원병오)이 지난 27일부터 2일

    중앙일보

    1976.09.02 00:00

  • 「파브르」정신

    『곤충기』로 유명한「파브르」는 원래 시인이었다. 출세나 사치스런 도시생활과는 담을 쌓고 지냈다. 그의 고향인 남불의 한 한촌에서 향토 시나 쓰며 젊은 시절을 보낸 것이다. 그는 책

    중앙일보

    1976.08.13 00:00

  • (8)

    찬서리가 하얗게 깔리는 초겨욜. 깊은 산속 낙엽 더미위에 한마리 학이 내려앉은듯 목을 길게 뽑고 꽃을 피우는것이 한란이다. 난파에 속하는 한란은 일본구주·호만등지와 우리나라 제주도

    중앙일보

    1976.07.28 00:00

  • (6)미선나무

    미선나무는 수만 가지의 식물가운데 한국에서만 자생하는 유일한 식물. 1917년 일본인 나까이(중정맹문진·동경대교수)씨가 충북 진천군 초평면 용소리에서 1그루를 발견, 학계에 보고함

    중앙일보

    1976.07.21 00:00

  • 4 백산차

    1620년 1백2명의 청교도들이「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자유의 땅「아메리카」로 건너갔다. 역사적인 「아메리카」 대륙에의 첫이민이었다. 신대륙에 발을 디딘 이들에게는 본국인 영국에서보

    중앙일보

    1976.07.14 00:00

  • (14)약초재배(3)|

    국내외 수요가 하루가 다르게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대표적 약용작물 중의 하나는 오미자. 국내생산이 뒤따르지 못해 없어서 못 팔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수출가격도 지난 71년

    중앙일보

    1975.06.20 00:00

  • 천연기념물 제주도 후박나무

    【제주】남제주군 안덕면 사계리 산방산 암벽 식물지대의 후박나무 등 난대성 상록수가 한약재를 구하러 다니는 사람들에 의해 마구 껍질이 벗겨져 2천 여 그루가 죽어가고 있다. 천연기념

    중앙일보

    1974.03.19 00:00

  • (370)제주 문주란

    짙은 꽃 냄새가 해풍에 은은히 풍긴다. 사방을 둘러봐도 문주란 향기뿐 인적마저 끊긴 조그만 모래 섬-제주도 북제주군 구좌면 하도리 난석서 속칭 토끼섬. 이곳은 8월의 뙤약볕아래

    중앙일보

    1973.08.18 00:00

  • 관악산에 수목원을 조성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은 관악산농대 연습 림 6백여 경보에 국내외 희귀 수종 등 10만여 수종을 가꿔 국내 첫 수목원을 설치, 국제식물분류학회에 등록키로 했다. 20일 서울농대 관악수

    중앙일보

    1973.03.22 00:00

  • 민통선 부근 세 곳을 천연보호구로

    문공부 문화재관리국은 5일 지난 20여년간의 출입이 제한되었던 민통선 인접지역에 3개의 천연보호구역과 2개의 천연기념물지역지경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한국자연보존연구회(회장 강영선

    중앙일보

    1972.12.06 00:00

  • 각광받는 미래식량…클로렐러

    클로렐러(chlorella=조·우리말로는 말이라고 하는 은화식물)는 미래의 식량으로서 식물산업 분야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클로렐러가 처음 발견된 것은 1890년 화란의 바이링 이

    중앙일보

    1972.05.04 00:00

  • 울릉도 갖가지 특산직물 전시

    동해 심해선 밖에 떨어져있는 울릉도의 갖가지 식물이 화분에 담겨 서울에서 선보이고 있다. 울릉군이 25일∼30일 국립공보관에 마련한 관광사진 및 분재전시회는 육지에서 1백 40km

    중앙일보

    1971.06.26 00:00

  • 『특종』에 들뜬 사수도|동식물 조사단 놀라운 수확

    제주도 가까운 남해의 외딴 섬인 추자군도의 동식물 조사단은 우리나라에서 아직 채집된 일없는 식물2종과 자취를 감춘것으로 알았던 2종의 새의 무리를 찾아냈다. 문화재관리국이 파견한

    중앙일보

    1969.08.16 00:00

  • 「세계최장」속의 성과|동굴협회 만장굴 조사보고서

    한국동굴협회와 중앙일보의 제주지역용암동굴조사단(단장 강영선박사)은 지난11월26일부터 12월6일까지에 걸친 11일간의 조사끝에 북제주군 구좌면 금령리의 만장굴이 세계최강의용암동굴임

    중앙일보

    1968.12.12 00:00

  • 뚝새풀씨로 제빵 가능

    【전주】 농촌어디서나 손쉽게 볼 수 있는 뚝새풀씨 (화븐과식물·1년생) 로 제면· 제빵이 가능, 춘궁기의 대응식품으로 활용 할 수 있을뿐더러 된장도 담글 수 있다고 주장하는 규수

    중앙일보

    1966.05.19 00:00

  • 화-진기의 보고 열리는 신비-보|대이골 종유골 학술 조사|현지서 장홍근 기자 촬영

    우리 나라 생물학 분야에서 특히 동굴 생물 분야는 거의 공백 지대로 남아 있었다. 세계적으로 알려진 일본이나 불란서 같은 나라에 못지 않은 대석회암 지층과 변화 많은 동굴을 두고

    중앙일보

    1966.01.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