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불건전한 출판물-교위규제

    정부는 청소년에게 해로운 환경을 정비·정화하기위해 방송「프로그램」과 출판물등 대중매체에 대한 심의·규제기능을 강화하는등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미성년자

    중앙일보

    1980.07.03 00:00

  • 과학지식·문예량 좀 더 늘려야

    오늘날 한국에서 발행되고 있는 어린이잡지(월간)는 10여종.그중 대부분이 전체분량의 약 30% 또는 그 이상을 크게 교육적인 의미가 없는 내용의 만화를 게재하고 있음이 이화여대 신

    중앙일보

    1980.03.31 00:00

  • 『새벗』 12월호 복간

    어린이들의 꿈과 슬기를 키워줄 월간교양지 『새벗』이 12월호(11월10일 발행예정)로 복간된다. 『새벗』 지는 1952년1월에 참간돼 어린이들의 사랑을 받아오다 지난 72년6월호(

    중앙일보

    1978.11.03 00:00

  • 불량만화

    어린이 정서생활과 사회교육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각종 만화의 불량성에 대한 우려와 비판이 각계에서 점고되고 있다. 최근 유신 정우회가 주최한『아동을 위한 건전 만화대책』이란「세

    중앙일보

    1978.06.06 00:00

  • 이 아이들은 장차 어찌될까?|이덕오(경북 안동 길산 국민교 교장)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많은 어린이들이 우선 나면서부터 축복을 받지 못했다. 귀찮은 식구가 또 하나 불어났다는 부모들이 얼마나 많을까. 허영에 들뜬 도시의 어머니들에 의해 어린이들은

    중앙일보

    1978.05.04 00:00

  • 아주10개국 아동도서 300여종 비교 전시회|29일까지 유네스코 한위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10개국의 어린이 책 3백여 종이 비교 전시되고 있다. 「유네스코」한위 국제 회의장에서 29일까지 열리고 있는 「아시아」지역 아동도서저자·편집인 「워크숍」참

    중앙일보

    1978.04.27 00:00

  • "「도널드·덕」은 부르좌적"

    「월트·디즈니」의 동물 만화 주인공의 하나인 오리 「도널드·덕」(사진)이『지나치게 「부르좌」적』이라는 이유로 「핀란드」의 「헬싱키」청소년 평의회에 의해 배포 금지를 당했다. 평의회

    중앙일보

    1978.01.20 00:00

  • 고소당한 표절|만화「요괴」시비

    「소년중앙」 에 연재됐던 인기 아동만화 「요괴인간」의 작가 김우찬씨(본명 김혜경)가 「착한요괴」란 이름으로 자신의「요괴인간」을 그대로 복사, 단행본을 출간·판매한 소학관(서울서대문

    중앙일보

    1976.04.16 00:00

  • 신년호 여성·아동 잡지|별첨부록·특집내용을 살펴본다|아동잡지

    지난 11월중순께부터 선을 보이기 시작한 신년호 소년잡지들은 어린이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한껏 불러 일으키고 있다. 부록 만해도 적은 경우가 다섯가지, 많으면 일곱가지(소년중앙의 경

    중앙일보

    1975.12.05 00:00

  • 만화는 곧 어린이 교재-만화 윤리「세미나」…조연현씨 발표

    만화가 어린이들의 생활에 끼치는 영향은 다른 어떤 매체보다도 크며 최근엔 어른을 상대로한 성인 만화가 제작돼 그 퇴폐와 비윤리성이 문제되기도 한다. 5일 한국도서잡지윤리위원회 주최

    중앙일보

    1975.09.06 00:00

  • "라디오·TV의 어린이 「프로」 비교육적 요소 많다"

    「라디오」·TV의 어린이대상 「프로」가 그들의 성장에 보탬이 되지 못하고 위태롭게 방치되어 오락적인 형태로 비교육적이고 부정적인 요인들이 은밀히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앙일보

    1975.08.23 00:00

  • 미 국민교서 만화책을 부교재로

    「뽀빠이」·「스누피」 등을 주인공으로 하는 만화책이 최근 미국의 많은 국민학교에서 부교재로 쓰이고 있다. 이들 교육용 만화책을 출판하는 곳은 「뉴요크」의 「킹·피처」사·「찰튼」 출

    중앙일보

    1973.12.14 00:00

  • 어린이들에 어떤 책을 읽힐까

    어린 시절에 읽는 책처럼 깊은 추억을 남기는 것도 드물다. 겨울방학으로 매일 매일의 학교공부에서 벗어난 어린이들에게 가장 좋은 방학공부는「책읽기」이다. 이번 겨울 어린이들에게 아름

    중앙일보

    1973.12.05 00:00

  • 어린이 정서를 올바로 이끄는 건전한 만화

    어린이들이 즐겨 읽는 만파는 어린이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늘 문제가 된다. 다음은 지난 29일∼30일까지 교련주최로 열린 제16회 전국교육연구대회에서 발표된 치수들의

    중앙일보

    1972.11.30 00:00

  • 어린이 신문의 내용과 구독 경향|이대 신문학과 조사에서

    어린이 신문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은 일반 「매스컴」이 어른에게 미치는 영향에 비해 더욱 깊고 중요하다. 어린이 신문은 아동들에게 독서 습관을 높여줄 뿐 아니라 「뉴스」에 접하고

    중앙일보

    1972.03.20 00:00

  • (1001) 불량 만화| 민호식

    열두살짜리 6학년 학생이 공상 만화를 보고 이를 재현하다가 영영 목숨을 잃고만 끔찍한 사건이 사회를 놀라게 했다. 이 기사를 읽는 이마다 혀를 내차며 안타까워함은 너무도 당연한 일

    중앙일보

    1972.02.05 00:00

  • 프랑스 아동 도서 전

    프랑스의 어린이도서전시회가 「프랑스」대사관 후원으로 어린이회관 15층 도서실에서 열리고 있다. 일반도서 80종과 잡지·만화 50여종이 전시되어 있는데 기간은 1월16일까지.

    중앙일보

    1971.12.30 00:00

  • 『학구 지역사회 환경이 아동생활에 주는 영향』|김수천(부산 성동국민교)

    우리 생활주변의 갖가지 시청각 자료들은 어린이 교육에 활용되기보다는 성인들의 오락용이나 사치품으로서 교육을 저해하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부산 성동국민교 학구 내에만 만화가게의 수가

    중앙일보

    1971.11.04 00:00

  • 구심력 없는 독서운동|17회 독서주간 맞아 되새겨본 실태

    제17회 「독서주간」이 오는24일부터 30일까지 1주일간 전국적으로 실시된다. 이기간에는 도서 전시회·잡지전시회·기념강연회·전국도서관무료개방·표어제정·다독자 표창·모범장서가표창 등

    중앙일보

    1971.09.10 00:00

  • (338)불량만화

    몇 십년이 지나간 지금도 가끔 어렸을때 읽은 재미있던 만화의 기억이 떠오를 때가 있다. 용기있고 웃음이 있는 정의에 불타는 만화의 주인공이 풍기는 「유머」가 어린마음을 사로잡았던

    중앙일보

    1969.01.30 00:00

  • 문화계의 새과제(3)|출판윤리위

    출판계를 정화할 방안은 과연 마련될까. 출판윤리위원회가 뜻하는 성과는 과연 기대할수 있을까. 출판 문화의 발전을 위하는 기구가 오히려 출판계를 묶어매는 올가미는 올가미는 되h지 않

    중앙일보

    1969.01.18 00:00

  • 입시철폐…제길을 가려면|「아카데미·하우스」토론회에서

    「교육혁명으로 불리어진문교부의 7·15중학입시폐지선언이았자 「크리스천·아카데미」는 사회각계의「대화의모임」을 갖고 문교부개혁안에대한 합리적인운영방안을 분석검토했다. 16·17일이틀동

    중앙일보

    1968.07.18 00:00

  • 병드는"새싹" 좋은 책을 읽히자|여성단체협의회 좌담회

    과외공부와 함께 불량 만화 속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자녀들에 대해서 어머니들은 구체적인 관심을 모으기 시작했다. 한국 여성단체협의회는 이 문제를 비판하고「좋은책 읽히기」를 토의하는

    중앙일보

    1968.02.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