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즐거운 기분으로 균형 있는 식사를 나이·체격·운동에 따라 섭취량조절

    우리 몸속에는 「소우주」로 일컬어지는 세포가 약60조개 있다. 이 무수히 많은 세포로 이뤄진 인체의 건강을 기본적으로 뒷받침해주는 것은 역시 영양이다. 먹는 것을 「식보」라해서 건

    중앙일보

    1990.06.10 00:00

  • 당뇨병 식이요법|무조건 줄여 먹기보다 표준체중 유지를

    당뇨병의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당뇨법의 원인·종류 및 그 특징과 합병증을 이해해야 한다. 당뇨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해 일생동안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게

    중앙일보

    1989.11.16 00:00

  • 재미 의학자 「이상구씨의 건강법」논란

    건강메커니즘을 쉽고 간단하게 물어주는 재미 의학자 이상구씨의 건강법이 TV·카세트 등으로 소개되면서 건강에 관심이 많은 중산층에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엔도르핀·T임파구등으로 인체

    중앙일보

    1989.01.23 00:00

  • 건강을 위한 식생활|충분한 수면· 휴식 취하라

    서늘한 바람이 부는 가을이 문턱에 다가왔다. 이런 계절이 생활하는데는 좋지만 병원에서는 뇌졸중의 계절로 이에 대한 비상이 걸리게 된다. 뇌졸중은 고혈압이 원인이다. 고혈압은 본태

    중앙일보

    1987.09.09 00:00

  • (5)신장질환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은 소화과정을 거쳐 영양소로 변화된후 신체 각부분에서 열량원으로 사용되는데 이 대사과정에서 생겨난 불필요한 물질들이 혈액 속으로 방츨된다. 신장은 혈액속의 이러

    중앙일보

    1987.08.05 00:00

  • 술과 비만증 (1)|허갑범

    비만증은 섭취한 식사중에서 소모되고 남는 열량이 중성지방으로 전환되어 인체의 여러부분, 특히 피하조직과 복강에 축적되는 현상으로 그 자체도 문제지만 고혈압·당뇨병·동맥경화증(심장병

    중앙일보

    1987.03.13 00:00

  • 육류·수산물·과일소비 급격히는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식생활패턴에 두드러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쌀과 보리등의 곡물소비가 줄고 쇠고기등 육류와 수산물· 과일소비가 계속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분식장려로 70년

    중앙일보

    1986.02.17 00:00

  • 따라서 건강하면서도 장수를 누릴 수 있는 묘방은 없을까하는 「건강장수관리학」이 최근 관심거리가 되고있다. 대한 의학헙회 (회장 문태준) 는 오는8일부터 13일까지 서울 힐튼호텔에

    중앙일보

    1984.10.06 00:00

  • 칼로리와 염분등 줄이면 인간수명 연장할수 있다

    ■…1백살할아버지가장가를가고 80세할머니가 아기를 남으며 1백40년을 살수있다. 미캘리포니아주 UCLA교수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노인병 전문가인「로이·윌포드」 박사는 칼로리섭취를 줄

    중앙일보

    1983.11.03 00:00

  • 열량섭취량은 큰 부족 없는 한국인 식사|단백질·칼슘·철분 등 부족|주진순박사 식품과학 워크숍 논문

    한국인의 열량섭취량은 큰 부족 없이 유지되고 있으나 양질의 단백질이나 지방·비타민B·칼슘·철분 등은 부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5일 서울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식

    중앙일보

    1983.10.05 00:00

  • 미국인의 식생활채식위주로 변모

    ○…미국인들의 식생활패턴이 바뀌고 있다. 평균적인 음식물 섭취량은 늘었으나 쇠고기·달걀·낙농품의섭취량이 줄어든 반면 야채·과일·곡물소비량이 크게 늘고있다. 미국농무성이 조사한 83

    중앙일보

    1983.08.10 00:00

  • (324) 자연건강식| 자연식은 유아 때부터(14)

    「즐겨 드는 음식을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는 말이 있고 「당신이 매일 무엇을 들고 있는가를 말해 보십시오. 당신이 얼마나 오래 살수 있겠는가를 예언할 수 있습니다」라는 말도

    중앙일보

    1983.03.02 00:00

  • "「건뇌식」으로 문제아 고칠 수 있다"

    현대 어린이들의 식생활에는 여러가지 문제가 많다. 이 가운데 당분섭취의 과다, 인스턴트·가공식품의 과식, 육류의 과식, 생선류의 섭취기피, 야채·해조의 부족 등이 큰 결점으로 꼽히

    중앙일보

    1982.06.24 00:00

  • (181)영양|전세열 한강성심병원 임상영양연실장

    2년전 일이다. 논문발표를 위해 학회에 참석하는 필자를 앉혀놓고 자상하게 참고말씀을 주시던 A소장의 부음이 불과 3시간 뒤 학회에 참석한 필자에게 전해졌다. 아침만 해도 그렇게 쾌

    중앙일보

    1981.08.26 00:00

  • (2)반찬 싱겁게 해서 많이 먹자

    차례 ①혼식의 생활화 ②부식의 이용 ③경제적인 식단 ④조리방식의 개선 ⑤가공식품 개발 생활 수준이 나아지고 영양 상식이 보급된 도시에선 비교적 주식인 밥을 덜먹고 부식에 치중하는

    중앙일보

    1980.10.03 00:00

  • "지나친 절식은 건강해친다"

    비만증은 건강에 나쁘지만 체중을 줄이기위해 지나치게 음식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은 건강에 더 해롭다. 한 미국여론조사 기관은『「스트레스」시대에서의 가족건강』에 관해 1천2백54가구를

    중앙일보

    1979.06.13 00:00

  • (4)-「콜레스테롤」이 많은 식품10가지

    중년이 되면 누구나 자신의 건강지표가 되는 숫자에 밝아야 한다. 두말할 나위도 없이 건강관리의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 「까짓거」이라고 일축해 버리는 사람들이 적지않다. 이것저것 생

    중앙일보

    1979.02.15 00:00

  • 동맥경화의 원인과 예방

    흔히들 동맥경화라고 일률적으로 말하지만 구미인과 우리나라 사람에게 흔한 동맥경화는 성인·형태·성격·병증이 서로 많이 다르다. 구미인에게는 「아테로마」성 동맥경화가 대부분이다. 우리

    중앙일보

    1979.02.01 00:00

  • 빈혈병일 때

    병원을 찾아오는 외래환자 가운데 80∼90%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빈혈증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들의 반수이상은 자각증세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무심하게 지내거나 다른 병으로 오인하는

    중앙일보

    1978.10.09 00:00

  • 무설탕 분유로 자란 아기 모유로 자란 아기와 비슷|서울대의대 고광욱 박사 임상실험

    엄마 젖 대신 분유를 먹고 자라는 아기들이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현재 시판되고있는 조제분유들이 과연 우리나라 아기들에게 적합한지 어떤지를 의학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서울

    중앙일보

    1978.06.15 00:00

  • (27)육류 섭취량과 암은 비례

    어떤 음식을 즐겨 먹는가. 또 식생활 습관이 어떤가에 따라 암의 발생양식이 달라진다는 사실은 새삼스럽지 않다. 암이란 글자를 자세히 살펴보자. 입(구)이 3개나 있다. 먹는 문제와

    중앙일보

    1978.04.27 00:00

  • 높은 혈압… 높은 위험

    『높은 혈압, 높은 위험 혈압을 살피자』- 7일 세계 보건의 날을 맞아 WHO(세계보건기구)가 내건 「슬로건」이다. 고혈압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하다. 잘 사는 나라만의 문제가

    중앙일보

    1978.04.06 00:00

  • 고르지 못한 영양섭취

    국민생활에 있어 고르지 못한 영양섭취의 문제는 오늘날 빈 부국을 가릴 것 없이 전 세계적 고민거리의 하나라 할 수 있다. 한쪽에선 하루의 활동을 지탱할만한 최소한의 열량 섭취마저

    중앙일보

    1977.08.05 00:00

  • (하)고혈압|최신 치료법들

    이성호 박사(서울 의대) 아직 원인요법은 없다. 그러나 대증요법 이기는 하지만 조기에 발견해서 꾸준히 계속하게 되면 건강한 혈압을 유지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일생 동안 치료를 받

    중앙일보

    1976.10.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