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훈민정음 해례본, 혜원 전신첩, 청자…조선의 혼 지킨 간송

    훈민정음 해례본, 혜원 전신첩, 청자…조선의 혼 지킨 간송

     ━  [근대 문화의 기록장 ‘종로 모던’] 문화재 수집가 전형필   간송 전형필이 지켜낸 국보 문화재들. 혜원 신윤복의 ‘단오풍정’. 단오날 여인네들의 시냇가 풍경이다. [사진

    중앙선데이

    2024.05.18 00:04

  • 文과 조깅하던 盧 한마디에…靑 미남불 110년 비밀 풀렸다

    文과 조깅하던 盧 한마디에…靑 미남불 110년 비밀 풀렸다 유료 전용

      ■ 더 헤리티지: 알면 더 보인다…‘볼수록 보물’을 만나다 「 진귀한 문화재일수록 구구절절 얽힌 사연이 많습니다. 그 의미와 멋을 오늘날의 시각에서 포착해 세대를 잇는 유산(헤

    중앙일보

    2023.09.13 15:10

  • “일단 빚부터 내요, 미쳤죠” 45세 ‘청자 덕후’의 가불 인생

    “일단 빚부터 내요, 미쳤죠” 45세 ‘청자 덕후’의 가불 인생 유료 전용

    청자를 만난 후 나의 시간은 설렘으로 채워져 있었다. 이 정도면 사랑 고백이다. 그런데 그 대상이 사람이 아니라 고려 청자다. 푸른 빛을 띠는 자기 말이다. 삼성 창업주 이병철(

    중앙일보

    2023.07.18 15:51

  • '갑툭튀' 아태협 북한 그림...관세청 '어디서 어떻게 왔나' 추적

    '갑툭튀' 아태협 북한 그림...관세청 '어디서 어떻게 왔나' 추적

    서울 서빙고역 인근 쌍방울그룹 본사 내에 있는 아태평화교류협회. 사진은 지난해 11월 촬영됐다. 내부에 북한 그림이 걸려있다. 채혜선 기자  쌍방울 그룹이 경기도의 대북교류 행사

    중앙일보

    2022.10.13 19:00

  • 벗 잃은 슬픔 그대로 담았다···이건희가 기증한 겸재의 걸작

    벗 잃은 슬픔 그대로 담았다···이건희가 기증한 겸재의 걸작

    국보 제 216호. 정선 필 인왕제색도(鄭敾 筆 仁王霽色圖). 조선 후기 화가인 겸재 정선(1676~1759)이 비온 뒤의 인왕산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크기는 가로 138.2㎝,

    중앙일보

    2021.04.28 15:42

  • [노트북을 열며] 손목 안 비틀고 문화재 축적하는 나라

    [노트북을 열며] 손목 안 비틀고 문화재 축적하는 나라

    강혜란 대중문화팀 차장 코로나19가 주춤해지면 내년 1월31일까지 계속되는 국립중앙박물관 ‘세한·평안’전에 가보시길. 길이 14m가 넘는 국보180호 세한도 두루마리가 ‘완전체’

    중앙일보

    2020.12.03 00:29

  • [박정호의 문화난장] 6·25 70돌, 문화재 수호신들

    [박정호의 문화난장] 6·25 70돌, 문화재 수호신들

    박정호 논설위원 코로나19로 꽁꽁 문이 닫힌 프로야구 경기장이 곧 열린다. 이르면 이번 주말, 아니면 다음 주부터 관중 입장이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야구팬에겐 단비 같은 소식이다

    중앙일보

    2020.07.02 00:19

  • 탕샤오이 의심하던 장제스 “변절하면 제거하라”

    탕샤오이 의심하던 장제스 “변절하면 제거하라”

    은퇴 후 골동품 수집과 낚시를 즐기며 유유자적하는 탕샤오이. 1923년 봄, 주하이(珠海)의 궁러위안(共樂園). [사진 김명호] 공짜나 뇌물은 말할 것도 없다. 적당히 즐기는 거

    중앙선데이

    2015.09.13 00:33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탕샤오이-일본군 접촉에 장제스 "제거 준비 서둘러라"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탕샤오이-일본군 접촉에 장제스 "제거 준비 서둘러라"

    공짜나 뇌물은 말할 것도 없다. 적당히 즐기는 거야 뭐랄 사람이 없지만, 술이건 도박이건 명품 수집이건 너무 밝히다 보면 허점이 보이기 마련이다. 망신은 기본이고, 비명횡사도 남

    중앙일보

    2015.09.12 13:56

  • 가난한 산모가 병원비 대신 준 옛 등잔, 3代 보물이 되다

    가난한 산모가 병원비 대신 준 옛 등잔, 3代 보물이 되다

    한국등잔박물관 김형구(68) 관장의 아버지 김동휘(91)씨는 수원의 산부인과 개업의였다. 지금이야 임신을 알아채고 30분이면 산부인과를 찾아간다지만, 60년 전 병원이란 시도 때

    중앙선데이

    2009.11.01 00:26

  • Special Knowledge 문화재 전시 100년, 명품 6점 뒷얘기

    Special Knowledge 문화재 전시 100년, 명품 6점 뒷얘기

    고미술계에는 ‘명물유주(名物有主)’라는 말이 내려온다. 흔히 일품(逸品)이나 명품(名品)으로 일컬어지는 문화재는 물건마다 주인이 따로 있다는 얘기다. 좋은 물건을 손에 넣은 자랑

    중앙일보

    2009.05.07 00:09

  • 최영도 변호사 토기 1,500여점 기증

    인권 변호사로도 활약하고 있는 최영도(崔永道.63.사진)변호사가 국립중앙박물관에 자신이 모아온 토기류 1천5백78점을 기증했다.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문화유산을 기증하는 문화가 성

    중앙일보

    2001.03.05 00:00

  • 간송 전형필

    1930년대 일본 도쿄(東京)에서 변호사일을 했던 존 개스비라는 영국인이 있었다.그는 동양 고미술품 수집가로 뛰어난 고려청자를 많이 소장하고 있었다.36년 2월26일 일본 청년장교

    중앙일보

    1996.11.04 00:00

  • 11월의 문화인물 선정 澗松선생 추모 특별전

    『실례되는 줄 아오나 모처럼 수장하신 귀한 물건을 저에게 넘기실 의향은 없으신지요.지불하신 값의 두배를 지불할 용의가 있습니다.』 쌀 1백섬만 있으면 자식들 공부시키고도 평생 편안

    중앙일보

    1996.11.02 00:00

  • 南農 추모전

    전남 진도(珍島) 운림산방(雲林山房)은 한국미술사에서 중요한자리를 차지한다.조선후기 남종화(南宗畵)의 대가(大家) 소치(小癡) 허유(許維)가 이 곳에서 말년을 보낸 때문이다.운림산

    중앙일보

    1996.04.04 00:00

  • 80년 환수 고미술품 감정가들 증언

    ◎“JP 난병풍 2차 출장 감정땐 없어”/1차땐 소장여부 기억안나… 수작은 별로 없어/이후락씨 의외로 적어… 군인들 “싸게 평가” 항의 80년 5월 신군부에 의해 행해진 부정축재자

    중앙일보

    1993.07.03 00:00

  • ″미술품 양도세 부과 연기해야〃 | 화랑-작가-평론가 연대, 국회 청원키로

    화랑·작가·평론가와 고미술상 등 범 미술계가 힘을 모아 미술품에 대한 양도세 부과 저지노력에 나섰다. 「서화 및 골동품에 대한 양도소득세」시행(내년 1월1일부터)이 1백일 남짓 남

    중앙일보

    1992.09.09 00:00

  • (4223)문화인찾기-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156)

    간송은 지금은 없어졌지만 인사동 중턱에다가 한남서림이라는 고서점을 집안사람을 시켜 경영하였다. 고서적을 팔고 사는 가게인데 이곳이 간송이 서화·골동을 사들이는 본거지였다. 거간들은

    중앙일보

    1985.02.01 00:00

  • 골동품·그림 안목 길러야 속지 않고 산다|전문가들이 본 시장실태와 매입요령

    골동품이나 그림을 하나쯤 장만하려할 때 부닥치는 가장 큰 고민은 혹시 가짜가 아닐지, 바가지를 쓰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안 사는 것이 가장 안전한 것이겠지만 소득이 늘어남에 따라

    중앙일보

    1983.01.11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3371)|제76화 화맥인맥 월전 장우성(90)|전각수집

    나는 예술원상을 받은 71년9월5일 삼선동에서 지금 살고 있는 서교동집(409의19)으로 이사했다. 딸애들이 모두 대학에 다니고 있어서 제각기 딴방을 써야할 나이도 되었지만 삼선동

    중앙일보

    1982.03.24 00:00

  • (3289)

    1933년 성당(김경희)의 서세인「상서회」에서 처음 만난 소전(손재형)과는 올여름 그가 세상을 떠날때까지 자별하게 지냈다. 나와 성격은 달랐지만 같은 길을 걸은탓에 남달리 친하게

    중앙일보

    1981.12.15 00:00

  • 전문 사설박물관「붐」|그 실태를 본다

    70년대에 들어「붐」을 이루기 시작한「사설박물관」은 이제 전국에 10여 개나 된다. 그러나 모처럼 뜻 있는 문화사업가들에 의해 설립된 이들 박물관의 대부분이 전혀 사회의 무관심 속

    중앙일보

    1976.08.25 00:00

  • (5)서화·골동품

    서화나 골동품수집도 훌륭한 투자대상이 된다. 본질적으로는 예술을 감상한다는 순수한 동기가 주가 되겠지만 가치저장 수단으로서도 큰 기능을 한다. 정서적 즐거움을 맛보면서 어느 시간이

    중앙일보

    1976.08.12 00:00

  • (885)골동품 비화 40년(26)|박병래(제자 박병래)

    전에도 말한바와 같이 나는 원래 도자기에 곁들여 서화를 모았기 때문에 그리 많지는 못하였다. 아마 1백점 내외가 아니었나 생각된다. 그런데 1·4후퇴 때에 이 서화도 도자기와 함

    중앙일보

    1973.10.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