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국화」개인전 연 배정례 여사

    숙당 배정례 여사는 새 작품 22점을 갖고 17일∼21일 명동 화랑에서 개인전을 열고있다. 동경의 일본미술학교를 졸업, 제18회 선전 동양화. 부문에 입선했던 배 여사는 2∼3년간

    중앙일보

    1972.05.20 00:00

  • 「한국 근대미술 60년전」, 6월 개최|문공부 주최로 3백 점을 선정

    한국의 근대미술을 수집, 총 정리하는 「한국근대미술 60년전」이 오는 6월24일∼7월23일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다. 문공부 주최 국립현대 미술관 주관의 이 미술전은 1900년 이

    중앙일보

    1972.05.05 00:00

  • 『뮌헨·올림픽』에 한국 심을 오페라『심청전』공연 채비 한창

    금년 제20회 「뮌헨·올림픽」제전에서 문화「올림픽」의 첫 장을 장식하게될 우리의 고전『심청전』이 「오페라」화하여 8월1일 「뮌헨」시 국립극장에서의 초연을 앞두고 현재 작곡가 윤이상

    중앙일보

    1972.02.08 00:00

  • 초가 지붕

    시골 초가의 지붕이 벗겨지고 그 대신 「시멘트」기와나 양철 지붕이 씌워진다. 한국에 처음 나온 서양 선교사가 기차를 타고 가다가 초가집을 보고 저것이 무엇이냐 물으니 「돼지우리」라

    중앙일보

    1971.11.08 00:00

  • 제도개혁 2년만의 20회 국전|개선 안된 국전운영

    문공부가 여는 우리 나라 최대의 미술행사인 국전은 제도개혁을 한지 2년만에 새로운 난점에 부딪쳐 있다.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데 따른 잡음을 없애기 위해 따로 국전운영위원회를 신설해

    중앙일보

    1971.10.04 00:00

  • 대통령상에 조각「가을의 여심」20회국전 김수현씨 작 동명여고

    금년 제20회 국전에서 최고의 대통령상에 조각 구상부문의 김수현(30·서울 동명여고 교사) 작『가을의 여심』이 차지했다. 문화공보부는 2일 국회의장 상에 조각 비구상의 심문섭(30

    중앙일보

    1971.10.02 00:00

  • (249)-제자는 필자|제17화 양화초기(13)

    선전은 1944년까지 23회를 계속했다. 그동안 이에 맞서서 고군분투한 미술단체는 서화협회이다. 서화협회는 한국의 많은 서화가들이 일제아래서 결속하여 회보도 간행하고, 1921년

    중앙일보

    1971.09.04 00:00

  • (246)-제자는 필자|제17화 양화초기(10)

    선전 초기엔 「총독부 전람회」라 해서 일반적으로 경원했다. 호칭도 「선전」이라 하지 않고 으례 그렇게 불렀다. 거기에 출품하는 것을 일제에 아부하는 것으로 여겨 치사한 일이거니

    중앙일보

    1971.09.01 00:00

  • (245)|양화초기(9)|이종우

    우리 나라에서 서양화가 그런 대로 정착하기까지에는 선전이 중요한 역할을 한 셈이다. 공식 명칭은 조선 미술 전람회. 총독부가 표방하는 문화 정책의 한 방편으로 정치와 사상성이 덜

    중앙일보

    1971.08.31 00:00

  • (242)|양화초기(6)이종우

    양화초기에는 풍경화보다도 인물이 많았다. 학교에서도 인물만 그리는 경향이고 그런 교육을 거친 양화 가들은 자연 인물화를 주로 제작하기 마련이다. 서양화의 본고장인 유럽에서 풍경화

    중앙일보

    1971.08.27 00:00

  • |양화초기(4)|이종우

    50여 년 전 고희동 씨와 함께 우리 나라의 서양화를 개척했고 그 명성이 자자했던 화가는 평양출신의 김관호 화백이다. 그가 1916년 3월 동경미술학교를 졸업할 때 나는 중학생에

    중앙일보

    1971.08.25 00:00

  • (239)양화초기(3)

    첫도화교실 유학까지 가서 서양화를 배워왔지만 졸업후의 직장은 고등보통학교 도화선생이 되는 길밖에 없었다. 양화에 대한 호기심은 크더라도 막상 사회가그것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고,

    중앙일보

    1971.08.24 00:00

  • (238)

    춘곡 고희동씨는 동경미술학교 서양학과의 선배이다. 내가 그를 직접 대하게 된 것은 졸업하고 귀국한 1923년 중앙학교서였지만 동경유학시절에도 종종 소식을 들었다. 내가 동경에 있

    중앙일보

    1971.08.23 00:00

  • (237)|양화초기(1)|이종우

    서양화가 이종우씨는 금년 73세의 노화 백으로 1898년 황해도 봉산의 부호 가정에서 태어나 평양 고보를 거쳐 동경미술학교에서 서양화를 수학하였다. 그는 1925년 미술공부를 위해

    중앙일보

    1971.08.21 00:00

  • 뛰어난 조형력…정규 유작전

    정규씨는 많은 작품을 남기지는 않았다. 양화가이지만 동란 후에는 도자기에 몰두하였고 말년엔 오히려 판화가로 호칭되었다. 일본제국 미술학교 서양학과 출신인 그는 55년이래 이대·홍대

    중앙일보

    1971.07.27 00:00

  • 한국 성씨와 현행 민법|단국대 이광신 교수 연구 논문에서

    『한민족은 「그리스」적 예술성과 「로마」적 법률성을 아울러 갖춘 민족이다. 석굴암 조형 미술에 나타난 개성, 음악에 나타난 민족 「멜러디」의 창조성, 그리고 음식에 나타난 과학적

    중앙일보

    1971.07.05 00:00

  • 역사교육의 새 방향 모색

    제14회 전국 역사학 대회가 6월25일∼26일 단국 대학에서 역사교육연구회·역사학회·한국사학회·동양사학회·한국서양사학회·한국미술사학회·한국경제사학회 등 7개 단체의 공동주최로 열

    중앙일보

    1971.06.28 00:00

  • 기존의 동양화 개념을 전면거부

    30대 중심의 동양화가 그룹인 한국화회 제5회전은 기존 개념의 동양화를 전면적으로 거부하는 혁신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1일∼7일 신세계화랑에서 19명의 회원이 참가해 열고 있는

    중앙일보

    1971.06.05 00:00

  • 영문 『한국현대화집』발간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1일 우리 나라의 대표적 현대회화를 집약하는 『한국현대화집』(Modern Korean Painting)을 내놓았다. 유네스코 창설 25주년과 한위의 영문판 잡지

    중앙일보

    1971.06.02 00:00

  • 중견들이 불참한 소장만의 야전…한국 미술 대상전

    한국 미술 대상전의 이번 제2회는 대상 작을 못 얻어 4개 분야 4점의 작품에 최우수상을 수여했다. 동양화에 장상의의 『상』, 서양화에 정문현의 『5월』, 판화에 최혜영의 『환 I

    중앙일보

    1971.05.20 00:00

  • 여성계 소식

    수도여자사범대학 회화학과, 응용미술학과에서는 제10회 전국남녀 중고등학교학생 미술실기대회를 다음과 같이 연다. ▲일시=7일 (여중고) 8일 (남중고) 상오11시∼하오3시30분) ▲

    중앙일보

    1971.05.03 00:00

  • (134)양식 복장(1)이승만

    외국인의 내한 서양화가 이승만씨는 오히려 삽화가로 더 알려진 노 화백이다. 1903년 서울 통인 동의 일찍 개화한 가정에서 태어나 교동 소학교·휘문 중학을 거쳐 일본의 천단화 학교

    중앙일보

    1971.04.17 00:00

  • 「캄」골동품 도굴 성행

    진기한 조각, 청동 불상 등 캄보디아의 국보급 고미술품들이 지금 한창 활기를 띠고 영미등의 골동품 상가에서 거래되고 있다. 홍콩의 고 미술품 거래상들의 말에 의하면 대부분의 이러한

    중앙일보

    1971.04.01 00:00

  • (107) | 황성 기독 청년회 (4)|오리 전택부

    1904년 김종상씨는 YMCA 초대 체육 간사의 명예를 차지하게 되었다. 들어가 본즉 광속에는 곤봉이 주르르 걸려 있고 한쪽 구석에는 아령도 있었다. 이것은 YMCA 건물을 지을

    중앙일보

    1971.03.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