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강원도에 대설

    【춘천·장성·속초·강전】5일 하오 늦 게부터 강원도전역에 평균 10㎝가량의 눈이 내려 영동산악지방엔 교통·통신이 두절됐고 장성지방엔 10개 마을이 고립됐다. 5일 상오부터 강원도전

    중앙일보

    1975.03.06 00:00

  • 충청북도|농업투자·농지확대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이 전국 20여 지역에서 추진되고 있지만 충북에는 단 한건도 없다. 대소사업을 막론하고 중앙지원사업이 거의 없는 상태다. 『잎담배와 뽕나무의 마을』 충북은 점

    중앙일보

    1975.01.27 00:00

  • (407)마음과 손을 합쳐 황무지를 옥토로|각고 4년…가난을 씻은 「자립에의 의지」

    언덕 배기의 뙈기밭에 감자·콩·옥수수를 경작하며 대대로 살아오던 태백산맥 골짜기의 강원도 정선군 북 면 장열리 마을이 올해는 황금색 들판에서 벼를 거둬들이게 됐다. 국도 변의 2

    중앙일보

    1974.10.05 00:00

  • 유려한 계곡 곡달산

    본격적인 산행을 마친 후 유려한 계곡에서 오후 한때를 보낼 수 있는 곡달산도 여름 「시즌」에 한번쯤 오를 수 있는 곳이다.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위치하고 있는 곡달산은 해발6백1

    중앙일보

    1974.07.17 00:00

  • 가르쳐 주고 돈 버는「레슨」산업「붐」|일서 신조어까지 등장

    『놀게 해주고』 돈을 받는「레저」산업에 이어 『가르쳐 주고』 돈벌이하는 산업이「붐」을 이루고 있다. 일컬어「레슨」산업. 「웹스터」사전에도 나오지 않는 일본인들의 신조어다. 한데 이

    중앙일보

    1974.07.15 00:00

  • 장성지방에 폭설

    【장성】태백산을 중심으로 한 장성 산악지방에 내린 폭설로 5일 하오 5시부터 삼척군 황지읍에서 정선·영월·울진 등 시외로 빠지는 교통과 하장면·도해읍 및 신리 그리고 원덕면 풍곡리

    중앙일보

    1974.02.06 00:00

  • 호남·남해 고속도로

    전주∼순천∼부산간을 잇는 호남·남해 고속도로가 14일 개통됨으로써 하나의 새로운 미래가 우리 앞에 제시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다섯 번째로 뚫린 이 고속도로는 전주∼순천간 1백8

    중앙일보

    1973.11.14 00:00

  • 하천주변 농토24만ha에 한·수해를 없앤다|내무부가 마련한 「치수10년」의 청사진

    치산녹화 10년 계획에 이어 치수 10년 계획의 청사진이 펼쳐졌다. 내무부가 마련한 지방하천정비 10년 계획은 오는81년까지 방방곡곡을 흐르는 1만7천2백39km의 소하천을 다듬

    중앙일보

    1973.10.23 00:00

  • "화랑 정신 발상지「가슬갑」은 경북 청도군 삼계리에 해당"|아동문학가 이종기씨 추정

    신라의 고승 원광법사가 화랑의 세속오계를 처음으로 주었다는「가슬갑」이란 땅이 현재의 경북 청도군 운문면 삼계리에 해당된다고 아동 문학가 이종기씨가 주장했다. 최근 이곳 산간 오지를

    중앙일보

    1973.09.06 00:00

  • 용암 같은 기름 불 새벽마을 덮쳐|경부선 영동역 열차 탈선사고

    불 기름이 흡사 용암처럼 쏟아지며 새벽잠에 깊이든 역전 마을을 덮쳤다. 12일 상오 4시43분 경부선 영동역 유조 열차 털선 사고로 새벽녘의 영동일대엔 『펑, 평』하며 난데없는 폭

    중앙일보

    1973.08.13 00:00

  • 낙엽체취 전면금지

    내무부는 21일 그 동안 시행이 보류됐던「제1차 치산·녹화10년 계획」을 수정, 발표했다. 지난 3월28일 국무회의의 결정에 따라 수정, 보완작업에 나서 87일만에 다시 발표된 이

    중앙일보

    1973.06.21 00:00

  • 수정 치산녹화계획 그 내용|산림의 중앙통제시책서 탈피

    내부가 발표한 수정보완된 제1차 치산녹화 10년 계획은 ▲농촌연료대책의 계수조청 ▲낙엽채취의 전면금지 ▲입산증명제 및 신고제철회 ▲밤나무보호지역 성정계획 삭제 등 4가지 점이 당초

    중앙일보

    1973.06.21 00:00

  • 응급대책 없는「급성 연료 난」|새 산림 법 발효...단속 본격화된 농·어촌의 실태

    농어촌이 극심한 땔감홍역을 치르고있다. 19일부터 발효, 시행된 개정산림 법에 따라 낙엽채취가 금지되고 단속이 심해지면서 땔감을 산에 기대오던 대부분의 농촌주민들은 하루아침에 땔감

    중앙일보

    1973.03.20 00:00

  • 치산녹화 관련시책

    치산녹화10개년 계획의 확정에 따라 내무부는 16일 제1차 관계기간 책임관회의를 열었다. 계획내용이 갖는 문제의 중대성에 비추어 치수녹화 책임관들에게 시달된 지침은 그 하나 하나가

    중앙일보

    1973.03.17 00:00

  • (9)마을사람 만났더니 도둑놈취급

    그러나 막상 솔잎을 먹자해도 소나무가 없었다. 그 산을 두루 보니 자중 떡깔과 속새와 가시덩굴뿐 솔잎을 얻어볼 도리가 없었다. 날이 어두운 후 동북을 향해갔다. 산 마을이 나직하고

    중앙일보

    1973.03.15 00:00

  • (상)국토녹화 그 10년의 계획의 청사진

    국토녹화를 위한 10년계획의 청사진이 펼쳐졌다. 내무부가 발표한 제 1차「치산 녹화 10년계획」은 전제조림대상 임야 2백63만7천ha 가운데 약 40%에 이르는 1백8만4천ha에

    중앙일보

    1973.03.14 00:00

  • 치산·녹화 10개년 계획

    올해부터 82년까지 2백63만7천ha의 전체 조림 대상 임야 가운데 1백8만4천ha에 대해 21억 그루의 각종 수목을 심기로 한 내무부의 치산 녹화 10개년 계획은 우리 나라 조림

    중앙일보

    1973.03.12 00:00

  • 곳곳서 교통두절 산간마을 고립…어선출항금지

    【강릉·속초·장죽】지난 10일부터 연 3일째 영동일대에 내린 눈은 13일 정오 현재 진부령에 최고 1m30cm까지 쌓여 철도를 제외한 이 지역의 모든 해륙교통과 통신이 끊기고 있다

    중앙일보

    1973.01.25 00:00

  • (10)|그 보존을 위한 「시리즈」|합천 옹기

    경남 합천읍에서 거창 방면으로 약 50릿 길. 꼬불꼬불한 산골 신작로를 따라가노라면 예부터 전통적으로 이름난 옹기 굽는 산간 마을이 있다. 경남 합천군 봉산면 권빈 마을. 지금부터

    중앙일보

    1972.12.13 00:00

  • 프랑스 3대 문학상 수상작가 결정|「콩쿠르」상|「장·카리에르」

    한편 『「마외」마을의 천』으로 「콩쿠르」상을 수상한 「카리에르」는 음악평론가· TV영화감독으로, 『「아메리카」의 밤』으로 「르노도」상을 수상한 「프랑크」는 영국태생의 연극연출가·사

    중앙일보

    1972.12.01 00:00

  • 명산·특산의 고장(1)|고산 곶감

    풍요한 수확을 거두는 계절-. 한해동안 땀 흘려 가꾼 산과 들에서 싱그럽고도 풍성한 보람을 거둔다. 가을의 이름난 명산지뿐만 아니라 요 몇해 사이 새로운 특산단지로 성장한 수확의

    중앙일보

    1972.11.06 00:00

  • 어린이의 8.4%가 문제아|연세대 부설 허약아 연구소 조사

    우리 나라 어린이의 8.4%가「문제아」라는 첫 추정 보고가 나왔다. 연세대 부설 허약 아동 연구소(소장 윤덕광)는 문교부의 연구비로 71년8월부터 금년8월까지 1년 동안 사회·경제

    중앙일보

    1972.10.21 00:00

  • (끝)강계

    내가 지금도 1년 내내 감기 한번 앓지 않고 얼굴에 잔티 하나 없는 피부를 가진 것도 생각하면 우연은 아닌 듯 싶다. 세상에 태어날 때부터 대자연과 인연을 맺은 듯 한낮(낮 12시

    중앙일보

    1972.08.12 00:00

  • (334)-Y부대(3)유격전(3)

    공작대원들의 거점확보가 끝난 후 투입된 전투대원들은 51년9월초부터 각부대별로 본격적인 작전을 전개했다. 정규 괴뢰군부대와의 전투는 물론 중요한 군사시설들을 기습 파괴하고 부락을

    중앙일보

    1972.06.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