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가스·레인지」책임보험도입

    한국린나이(주)는「가스·레인지」전제품에 사고때 사용자에게 최고 5천만원까지의 보상금이 지급되는「생산자책임보험제도」를 도입, 보험가입「카드」부착 시판개시.

    중앙일보

    1979.06.09 00:00

  • 대신증권 패소판결

    서울고법 제8민사부(재판장 이병후 부장판사)는 10일 『증권회사의 영업부장은 고객의 대리인이 아니라 증권회사의 대리인이다』고 밝히고 조기현씨(서울중구신당동366의9)등 2명이 대신

    중앙일보

    1979.01.11 00:00

  • 불량「가스·레인지」

    불량「가스·레인지」를 대량으로 만들어 시판해온「가스」기구제조업자들이 검찰에 적발 구속됐다. 이번에 구속된 업자들은 모두가 국내, 시장점유율 1, 2위 다투는 유사「메이커」들이라는

    중앙일보

    1978.11.21 00:00

  • LP가스 집단공급 아파트 74곳중 71곳이 안전불합격(서울시, 일제검사결과 밝혀져)

    LP「가스」집단공급시설을 한 서울시내 「아파트」의 대부분이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거나 안전관리가 허술해 신반포 2단지 주공 「아파트」나 현대 「아파트」와 같은 「가스」폭발사고의

    중앙일보

    1978.10.18 00:00

  • 운전사들조차"차 몰기가 겁난다"

    운전사들조차 차 몰기가 두렵다고 말한다. 그만큼 차량정비가 불량, 안전운행이 위협받고 있다는 얘기다. 특히 대중 교통의 대표적 수단인 시내「버스」의 경우 무리한 운행과 이에 따르는

    중앙일보

    1978.07.25 00:00

  • 연탄재 벽돌

    연탄재로 만든 벽돌·「블록」·구들장 등이 양산체제를 갖추어 마침내 오는 20일께부터 하루 5만장씩 생산될 것이라고 한다. 지금까지 연탄재는 서울에서만도 연간 2백 66만여t씩(76

    중앙일보

    1977.12.12 00:00

  • 시내「버스」에 반입된 초산

    대형사고의 「러시」속에 21일에는 또 시내「버스」안에서 승객이 반입한 초산이 쏟아져 8명이 중화상을 입은 사고가 부산에서 발생했다. 도시시민들이 발처럼 이용하는 시내「버스」에서까지

    중앙일보

    1977.11.23 00:00

  • 부정·유해식품 업자에 최고 사형|정부·여당 식품위생관계법 대폭 강화방침

    정부-여당은 부정 및 유기식품의 제조와 판매를 근절하기 위해 범법자에게 최고 사형까지 처벌할 수 있도록 식품위생관계법의 벌칙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학교 급식 빵에 의한 중독사건

    중앙일보

    1977.09.21 00:00

  • 신원보증제도

    행정조직 및 기업관리의 합리화는 낡은 고정관념의 지배에서 벗어나 끊임없이 새롭고 능률적인 제도를 받아들이려는 조직 자체의 수용태세가 갖추어져있을 때만 가능하다. 그런데도 우리사회의

    중앙일보

    1977.07.21 00:00

  • 부가세와 의료보험제의 시행

    부가가치세제와 의료보험제의 대개 7월1일을 기해 드디어 시행단계에 들어섰다. 두제도에 대한 국민들의 수용감각은 같지 않지만 두가지 모두 불안한 출범이란 점은 마찬가지다. 그동안 반

    중앙일보

    1977.07.01 00:00

  • 한글사전 낱말보다 풀이말이 더 어렵다

    우리 나라의 각종 국어사전들은 쉬운 단어를 더 어렵게 풀이하는 등 사전본래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음이 한 언어학자의 조사결과 밝혀졌다. 김성대씨(독어학·고대대학원 박사과정)는

    중앙일보

    1977.03.23 00:00

  • 군거「빌딩」의 화마

    서울의 이름 깨나 있는 일본 음식집이나 고급 전문 음식점에 가본 적이 있는 이는 누구나 그 무수한 밀실 같은 방과 좁고 음침한 계단, 그리고 그사이의 구절 양장같은 복도에 어리둥절

    중앙일보

    1977.03.07 00:00

  • 부실전기공사와 불량기구

    전기는 오늘날 우리생활 주변에서 한시도 없어서는 안될 문명의 이기다. 그러나 자칫 잘못 다루면 인명과 재산을 빼앗아 가는 무서운 재난의 원인이 된다. 10여 년 전만 해도 일반가정

    중앙일보

    1977.02.08 00:00

  • 악덕 피용자에 의한 선의의 제3자 보호서|「기업의 보호」우선으로 기울어지는 경향

    이 판례는 대법원이 민법상 사용주 배상 책임 문제에 있어「선의의 제3자 보호」보다는「악덕 피용자(직원)의 불법행위로부터의 기업의 보호」쪽을 택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며 판례를 바꾸

    중앙일보

    1976.11.24 00:00

  • 같은 회사 상대 동일한 내용의 배상소송에 대법원서 상반된 판결

    동일한 회사를 피고로 하고 사건의 성격이 똑같은 10건의 사건에서 대법원이 공식적으로 판례 변경 절차에 따르지 않고 상반된 두개의 판례를 내놓아 혼선을 빚고 있다. 대법원 민사2부

    중앙일보

    1976.11.24 00:00

  • 의료구호와 의료보험

    저소득층에 대해 의료혜택을 넓혀주는 시책을 둘러싸고 아직도 관계부처간의 견해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있는 것 같다. 우려되는 것은 이런 견해 차이가 단순한 기술적 문제 때문이 아니라

    중앙일보

    1976.09.17 00:00

  • 화물수송비와 도로 통행료

    고속도로통행료가 10월부터 다시 크게 인상케 되었다. 이번 인상은 도로공사의 올해와 내년의 부족자금 38억 원을 보전하기 위해 불가피하다는 것이 건설부의 설명이다. 주요 고속도로가

    중앙일보

    1975.09.30 00:00

  • 피사용자범법, 사용자도 함께 처벌

    김치열검찰총장은 10일 현행 1백53개의 행정단속법이 피사용자가 업무와 관련해 범죄를 저질렀을 경우 사용자도 함께 처벌토록 하는 양벌규정을 두고 있으나 실제로 각급 수사기관에서 이

    중앙일보

    1975.07.10 00:00

  • 국회질문·답변요지

    ▲최용수 의원(유정) 질문=임금·세금·금융·사회보장 등 면에서 발전적이고 종합적인 소득분배 정책이 절실히 요망되는데 정부의 정책방향을 밝히라. 저임금 문제는 사회불안의 요인이 되며

    중앙일보

    1975.07.03 00:00

  • 타인 이름으로 취직…파면사유 되나

    【문】얼마 전 어느 사업장에서 해고된 근로여성입니다. 취업당시, 만18세가 안되었던 저는 취업을 위해 부득이 만18세가 넘었던 친구의 이름을 빌어 취직을 했고 그 뒤 5년간 아무

    중앙일보

    1975.06.18 00:00

  • 사업장에 건의함 설치

    노동청은 근로자의 권익을 옹호하고 집단노사분규를 예방하기 위해 사업장마다 노사협의회를 구성하고 특히 2백명 이상의 사업장에는 근로자의 애로점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책임 하

    중앙일보

    1974.09.23 00:00

  • 추상적 내용의 신원보증인 무한책임 질 수 없다

    무한 책임을 약속하는 신원보증의 보증인은 피보증인이 일으킨 손해배상이외의 범위까지 책임질 수 없으며 회사의 업무운영제도상의 결함으로 부득이 지출한 섭외비 등은 판상할 책임이 없다는

    중앙일보

    1974.07.05 00:00

  • "교통사고 피해자·운전사 합의했더라도 고용주에 배상 책임있다"

    교통사고의 피해자가 가해운전사와 민사상합의를 한뒤 다시 그 고용주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를 했을경우 고용주도 손해를 배상해즐 책임이 있다는 판결이 내려졌다. 서울민사시법 합의11부(

    중앙일보

    1974.06.13 00:00

  • 건의-출옥하면 면허취소 2중 처사 가혹하다 .윤과 운전사

    전국50만 운전사와 교통당국자에게 드립니다. 자동차 교통사고의 발생은 피해자의 신체상 피해와 함께 가해자인 운전사에게는 행정상 형사상 책임이, 또 사용자측에게는 민사상 행정상의 처

    중앙일보

    1974.01.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