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분수대] 캠프 데이비드

    [분수대] 캠프 데이비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외교사에 길이 남을 정상회담의 상당수가 미국 대통령의 주말용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이뤄졌다. 2차대전 때 대독(對獨) 전선을 논의한 루스벨트-처칠 회담,

    중앙일보

    2008.03.17 00:20

  • 책으로 나온 레이건 '백악관 8년의 기록'

    책으로 나온 레이건 '백악관 8년의 기록'

    "나를 쏜 젊은이에 대해 증오심을 느꼈으나 그의 영혼을 위해 기도를 시작했다." '레이건의 일기(The Reagan Diaries)'(사진) 중에서.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

    중앙일보

    2007.05.03 04:58

  • CNN 래리 킹 라이브 - [지미 카터편]

    CNN 래리 킹 라이브 - [지미 카터편]

    번역: 김미정 지미카터 대통령 이번 시간에는 '팔레스타인 : 아파르트헤이트가 아닌 평화를'이라는 신간을 내놓은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얘기 나눈다. 우선은 이라크에서 현재

    중앙일보

    2007.02.23 10:25

  • 김정일 사치는 '아버지 콤플렉스' 탓

    김정일 사치는 '아버지 콤플렉스' 탓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겐 '아버지 콤플렉스'가 있다. 주민에겐 주체사상을 위해 희생하라고 강요하면서 자신은 궁전에 살며 사치를 하는 건 위대하게 보이려는 강박관념에서 비롯된

    중앙일보

    2006.12.12 04:37

  • 노 대통령과 7일 정상회담 … 이집트 무바라크 대통령 인터뷰

    노 대통령과 7일 정상회담 … 이집트 무바라크 대통령 인터뷰

    "나는 항상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기여할 준비가 돼 있다." 6일 노무현 대통령의 방문을 앞두고 있는 이집트의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은 본지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5일 이같

    중앙일보

    2006.03.05 19:33

  •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 "한반도 평화위해 기여할 준비 돼있다"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달성을 위해 기여할 준비가 항상 돼있다.” 6일 노무현 대통령의 방문을 앞두고 있는 이집트의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은 본지 카이로 특파원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중앙일보

    2006.03.05 15:56

  • 이스라엘·파키스탄 60년 만에 외무장관 회담

    이스라엘·파키스탄 60년 만에 외무장관 회담

    지난달 중순 시작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철수 이후 이스라엘과 이슬람 국가의 접촉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스라엘과의 외교 관계를 모색하는 이슬람 국가도 있고, 아랍권 국가의 정상이

    중앙일보

    2005.09.03 04:53

  • [81-90]

    1981년 2. 5 : 허담(외교부), 비동맹외상회의 참석차 뉴델리에 체류 중 성명 발표, 「세계비동맹운동이 제국주의자들의 침략 및 전쟁정책에 대항, 더욱 회원국들간의 단결을 시위

    중앙일보

    2004.10.25 13:30

  • 이스라엘-시리아 화해무드

    이스라엘-시리아 화해무드

    '아랍의 적' 이스라엘과 '초강경 아랍 국가' 시리아 사이의 평화협상이 4년 만에 재추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라크 전쟁 이후 중동 판도가 대전환을 맞이하고 있다는 전망도 나온

    중앙일보

    2004.01.14 20:27

  • [분수대] 배반의 리더십

    '배반의 리더십'은 반전과 감동의 리더십이다. 지지자들한테 돌팔매 맞을 각오를 해야 하기에 때론 비극적 리더십이기도 하다. 잘된 배반의 리더십은 공동체의 통합과 평화를 가져온다.

    중앙일보

    2003.03.17 18:11

  • 人權·봉사 앞장선 '미국의 양심'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결정된 지미 카터는 퇴임 후의 행적이 더욱 아름다운 대통령으로 꼽힌다. 크고 작은 분쟁이 단 하루도 끊이지 않고 있는 지구촌 구석구석을 누비면서 현직 대통령

    중앙일보

    2002.10.12 00:00

  • LA타임스 "레임덕 신드롬이 한국의 걸림돌"

    LA타임스 지난해 12월 27일 한국의 김대중 대통령이 레임덕 현상을 겪고 있으며, 정치.경제 개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특히 김대통령이 민주주주의는 믿고

    중앙일보

    2001.01.05 17:15

  • [시론] 북한 주적론 바뀌려면

    최근 국방부가 발간한 2000년도 국방백서가 북한을 주적(主敵)으로 규정한 데 대해 북한의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대화와 협력의 상대방을 주적으로 간주하는 것은 북남관계를 대결로 몰

    중앙일보

    2000.12.14 00:00

  • [뒤집어 본 정치] 노벨상 성공학

    레흐 바웬사 전 폴란드대통령은 14일 "김대중 대통령의 '평화를 위한 투쟁' 을 존경한다" 는 노벨평화상 수상 축하메시지를 보냈다. 옛 소련이 동유럽을 지배하던 시절 자유노조 운동

    중앙일보

    2000.10.16 00:00

  • [뉴스위크]"중동 풍경을 다시 그리자"

    메릴랜드주 남부 커톡틴 산맥에 자리잡은 캠프 데이비드는 구약성서에 나오는 선과 악의 최후의 결전장 아마겟돈과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녹음이 짙게 우거지고 한적하며 심지어 휴대폰도

    중앙일보

    2000.07.14 14:49

  • [워싱턴 윈도] 캠프 데이비드 22년후

    워싱턴에서 북서쪽으로 1백3㎞ 떨어진 미 대통령 별장 캠프 데이비드. 22년 전인 1978년 9월 카터 대통령의 중재로 이 곳에서 평화의 서약을 한 사람은 베긴 이스라엘 총리와 사

    중앙일보

    2000.07.12 00:00

  • [김영희대기자의 투데이] 먼 평화 가까운 평화

    레바논 남부와 맞닿은 이스라엘 북단의 국경마을 메툴라에서는 벌써 전쟁의 흔적이 사라졌다. 거기까지 진출한 맥도널드에서 장교 한두사람을 만난 정도다. 에후드 바라크 총리가 지난달 남

    중앙일보

    2000.06.28 00:00

  • [아사드 시리아대통령 주요 일지]

    ▶70년 11월 국방장관 재임중 쿠데타로 누르 알딘 알아타시 대통령 체제 전복 ▶71년 3월 대통령 즉위 ▶73년 10월 시리아.이집트, 67년 이스라엘에 빼앗긴 시나이 반도와 골

    중앙일보

    2000.06.12 00:00

  • 아사드 시리아대통령 사망… 중동 찬바람

    하페즈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평화협상을 통한 중동평화구도의 완성과 내부 권력기반 정비를 통한 권력 세습이란 숙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사망했다. 아사드의 사망은 중동

    중앙일보

    2000.06.12 00:00

  • [고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은 집권이후 30년 가까이 시리아를 철권통치하면서 이스라엘과의 타협을 거부한 중동의 매파 지도자였다. 1970년 무혈 쿠데타로 집권해 71년부터 99년까지

    중앙일보

    2000.06.12 00:00

  • [역사를 바꾼 정상회담] 下. 빛나는 조연들

    정상회담에는 빛나는 조연들도 있었다. 그들은 중재자나 밀사를 자처, 주연인 정상들이 국제무대에 화려하게 등장하도록 연출하며 역사를 움직였다. 지미 카터 미 대통령은 1978년 9월

    중앙일보

    2000.06.01 00:00

  • [역사를 바꾼 정상회담] 上. 평화를 이끈 결단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정치는 격동과 반전의 연속이었다. 그리고 그 고비마다엔 정상회담이 있었다. 인종과 종교, 이데올로기와 민족갈등이 빚어낸 비극과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역사의

    중앙일보

    2000.05.30 00:00

  • [20세기 정상회담 성공 비결]

    정상회담은 크게 세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가장 흔한 유형은 '서명형' . 외교 실무자들이 현안을 협의하고 정상들은 여기서 도출된 합의를 추인만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정상회담은 이

    중앙일보

    2000.05.30 00:00

  • [세계의 주요 정상회담 일지]

    ▶1955.9 아데나워-후르시초프 (서독.소련 국교수립) ▶1957.11 마오쩌둥-흐루시초프(중.소 관계 악화) ▶1961.6 케네디-흐루시초프(동서문제 합의) ▶1970.3 브란

    중앙일보

    2000.05.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