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팔당호 골재채취(환경오염 위험수위:3)

    ◎바닥 침전물 확산 오염가중 우려/3년 파면 원상회복에 최소 6년/공사하더라도 펌프식이 이상적 1천5백만 수도권인구의 유일한 식수원인 팔당호에서 골재채취는 과연 계속돼도 좋은가.

    중앙일보

    1990.06.26 00:00

  • 환경오염 전국이 병든다/「죽음의 산성비」 안전지대 전무

    ◎발암물질 내뿜는 배기가스/대기오염 기준치 없어 “혼선” 지구환경에 대한 오염과 파괴가 나날이 가속되고 있다. UNEP(유엔환경계획)도 지구환경오염을 핵전쟁과 함께 인류생존의 최대

    중앙일보

    1990.06.12 00:00

  • “마음놓고 마실 물ㆍ공기가 아쉽다”(환경오염 위험수위:1)

    ◎프롤로그/1급수 상수원 전국 한곳도 없어/차량 배기가스 대기오염의 주범/한사람 버리는 쓰레기 미의 2배 「단 하나뿐인 지구를 살리자」­. 1972년 스톡홀름에서 열린 인간환경회의

    중앙일보

    1990.06.12 00:00

  • 구의·보광동 수원지 원수서|합성세제 검출

    서울시 수도물의 원수에서 면역성감퇴등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수 있는 합성세제성분이 허용치이내 이기는 하지만 계속 검출되고 마시는 정수에서도 미량의 발암물질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중앙일보

    1990.06.01 00:00

  • “PE랩에 발암물질”허위발표/여교수에 유죄판결

    ◎징역10월에 집유2년 특정제품이 인체에 유해하다고 발표한 대학교수가 법원에 의해 발표내용이 허위라는 사실이 밝혀져 처음으로 유죄판결을 받았다. 서울지법 동부지원 장상익판사는 16

    중앙일보

    1990.05.17 00:00

  • 건강장수의 샘 ③

    오래 살려고 하는 인간의 염원에 반해 우리의 생명을 노리는 가장 무서운 질환은 뭐니뭐니해도 암이다. 『인류의 공적, 암은 과연 어떻게 발생하는가』하는 의문을 풀기위해 많은 의학자들

    중앙일보

    1990.04.08 00:00

  • 국회 상임위 질의ㆍ답변

    ◎전세값 막 올리는 주인 처벌책은/목동땅 왜 주택은에 싸게 팔았나 ○9일 질의 ▷행정위◁ ▲박실의원(평민)=서울시의 체납지방세액 7백20억원(작년말)중 5천만원 이상이 25명으로

    중앙일보

    1990.03.09 00:00

  • (8)뿌리내리는 소비자보호·공해추방

    70년대의 유신시대에 이어 80년대는 6·29선언이 나오기까지 정치억압의 시대였다. 이같은 시대적 상황에서 질식할 것 같았던 국민들은 시민운동의 차원에서 벌어졌던 소비자보호 및 공

    중앙일보

    1989.12.13 00:00

  • 대도시가 죽어가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공기가 겨울철에 접어들면서 더욱 혼탁해져 아황산가스와 먼지 등으로 뒤범벅이 된 대기 속에서 마음놓고 숨쉴 수도 없다. 게다가 최근 대기 속에 인체에 치명적인

    중앙일보

    1989.11.27 00:00

  • "미산 냉동 감자 발암 물질 검출"

    정부는 스낵 코너와 경양식집 등에서 판매되는 튀김 감자의 원료인 미국산 냉동감자에서 독성물질이 검출돼 조사에 나섰다. 18일 농림 수산부에 따르면 지난 10일 일본의 동경 도립 위

    중앙일보

    1989.11.18 00:00

  • 검찰-업계 유무해 공방

    공업용 우지 파동이 유·무해론 공방으로 가열되고있다. 수사당국인 검찰과 식품행정부서인 보사부의 견해가 다르고 관계 전문가들의 주장도 엇갈리고 있다. 현재까지의 상황을 정리하면 검찰

    중앙일보

    1989.11.09 00:00

  • 수도 물에도 발암 물질

    가정에 공급되는 수도 물에서 발암물질인 THM(트리할로메탄) 이 최고 52PPB, 전국 평균 22PPB가 검출됐다. 보사부가 7월부터 9월까지 전국 51개 정수장에서 가정으로 공급

    중앙일보

    1989.10.31 00:00

  • 위해 농약 수입금지 서둘러야|86년 27종서 올 45종으로 늘어 시민의 모임 조사

    자몽에서 발암성농약 알라의 검출여부가 논란이 된데 이어 국내농약 10여종의 원료로 쓰이는 EBDC가 알라보다 발암성이 45배 이상 높은 물질로 알려지면서 농약피해에 대한 국민의 관

    중앙일보

    1989.09.18 00:00

  • "발암물질 허위유포〃「시민의 모임」고발 청과수입업자협

    한국청과수입업자 협의회(회장 김명수)는 4일 미국산과일 자몽의 발암물질 검출여부 논란과 관련,「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대표 조영황)을 허위사실유포 및 업무방해혐의로 서

    중앙일보

    1989.09.05 00:00

  • "크린랩에 발암물질" 허위 발표 검찰, 한대교수 기소

    서울지검 동부지청은 28일 주크린랩 (대표 전병활)의 제품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됐다고 발표한 한양대 식품영양학과 고영수 교수(54·여·서울북아현동 123의66)를 업무방해혐의로 불구

    중앙일보

    1989.08.28 00:00

  • 발암물질 검출 옥수수 미, 대일 선적 취소

    【워싱턴AP=연합】미국 정부는 최근 몇 개월 사이에 일본·사우디아라비아 및 스페인 등지로 가게 돼있던 미국산 옥수수 선적분에서 발암물질인 아플라톡신이 검출됨에 따라 선적을 취소했다

    중앙일보

    1989.08.24 00:00

  • 영등포등 3개수원지「액화염소」과다 사용

    민간인들로 구성된 서울시 상수도 수질감시위원회는 17일 한강하류의 물을 일부 원수로 사용하고 있는 노량진·선유·영등포등 3개수원지 수도물의 수질을 검사한 결과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

    중앙일보

    1989.08.18 00:00

  • 수도물 발암물질 WHO 허용치 넘어섰다

    인체에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고 발암물질 뿐만아니라 중금속까지 포함된 수도물을 전국민이 이제까지 그대로 마셔온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있다..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소장 정용교수·

    중앙일보

    1989.08.11 00:00

  • 식수비상 정수기·생수 불티

    수도물에서 세균·유독물질·증금속은 물론 심지어 발암물질까지 검출됐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드러나면서 식수비상이 걸렸다. 생수 생산업체, 정수기 제조·판매업체는 밀려드는 주문으로 때아닌

    중앙일보

    1989.08.10 00:00

  • 교차로

    제조 때의 가열분해성분에 발암물질 자몽으로 불붙은 「알라」(화학명 다미노자이드) 파동은 사과주스로 이어지면서 시험분석결과를 둘러싸고 정부당국과 소비자단체간의 갈등이 점점 심화되고

    중앙일보

    1989.08.03 00:00

  • 국산 사과 주스서도 발암물질 알라 검출

    미국산 수입 자몽의 발암농약 다미노자이드(알라)검출 시비에 이어 국산 및 미국산 사과주스에서도 발암물질인 알라가 검출돼 인체 유해여부 논란을 빚게 됐다. 국립보건원(원장 이성우)은

    중앙일보

    1989.08.01 00:00

  • 자몽 찾는 사람이 없어

    발암물질 검출시비가 일고있는 자몽 (그레이프 프루트) 은 소비자들의 수요가 끊겨 출하물량도 거의 없는 상태.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거래도 없기 때문에 가격형성도 안되어 있다.

    중앙일보

    1989.07.15 00:00

  • 양담배 소비 작년의 10 배

    올 5월까지 우리 나라의 소비재수입은 외제담배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1천%나 늘고 4백ι이상 대형고급냉장고가 4백55%, 과실칵테일이 4백54% 증가하는 등사치·향락성 고가소

    중앙일보

    1989.07.15 00:00

  • 「자몽」 유해규명 성의 없다

    정부는 미국산과일 그레이프 프루트(자몽)의 농약잔류여부 검사를 국립 보건원 에서 실시한 결과, 문제의 발암성물질 다미노자이드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일본 농약시

    중앙일보

    1989.07.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