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박의원 상병, 수류탄 끌어안고 숨졌다" 주장

    18일 발생한 GP 총기난사 사건 현장에서 숨진 박의원(22)상병이 수류탄을 끌어안다시피 한 채 숨져 사상자가 적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군 헬기편으로 사고현장을 둘러본 희생자 유족

    중앙일보

    2005.06.21 08:20

  • [최전방 GP 총기사고] "왜 왔느냐" 윤 국방 등 유족에 떼밀려

    [최전방 GP 총기사고] "왜 왔느냐" 윤 국방 등 유족에 떼밀려

    총기 난사 희생 장병 8명의 합동분향소가 마련된 경기도 성남 국군수도병원에는 20일 1000여 명이 넘는 조문 행렬이 이어졌다. 전방부대 총기사고 합동분향소에 안치된 희생 장병 8

    중앙일보

    2005.06.21 05:49

  • "자식 군대 보내놓고 잠잘 수 있겠나"

    "자식 군대 보내놓고 잠잘 수 있겠나"

    ▶ 고 김인창 상병이 지난해 12월 자신의 싸이월드 미니 홈페이지에 올린 사진. ‘멋진 우리 소대원들, 태풍!’이라는 설명이 달린 사진은 사고가 난 철책부대의 내무반에서 촬영된 것

    중앙일보

    2005.06.20 05:25

  • [희생 장병 안치된 병원 표정] "허벅지에만 총상 … 후송 늦어 숨져"

    [희생 장병 안치된 병원 표정] "허벅지에만 총상 … 후송 늦어 숨져"

    ▶ 고 이건욱 상병의 홈피 사진, 휴가 중 한 식당에서.▶ 고 박의원 상병의 홈피 사진, 자신의 누나와 함께.▶ “용기 있는 멋진 남자가 되어서 돌아오겠습니다”라는 제목 전방 부대

    중앙일보

    2005.06.20 05:25

  • 군 기강이 난사 당했다

    군 기강이 난사 당했다

    최전방 철책부대 소초(GP) 내무반에서 선임병의 언어폭력 등에 불만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 사병이 내무반에 수류탄을 던지고 소총을 발사해 소초장 김종명(26.학군 41기) 중위와

    중앙일보

    2005.06.20 05:05

  • 숨진 박의원 상병 미니홈피, 네티즌 1만명 추모 발길

    숨진 박의원 상병 미니홈피, 네티즌 1만명 추모 발길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중부전선 총기난사 사고로 19일 새벽 숨진 박의원 상병의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수놓은 글들이다. ▶ 숨진 박의원 상병의 군번줄 "현역 현재 군 복무중인 군

    중앙일보

    2005.06.19 16:10

  • 국정원 과거사 조사대상 7대사건이란?

    ◇김대중 납치사건= 1973년 8월 8일 일본 도쿄(東京)에서 한국 야당지도자 김대중이 납치된 사건. 1972년 신병치료차 일본에 체류중이던 김대중은 유신체제가 선포되자 귀국을 포

    중앙일보

    2005.02.03 11:17

  • 두 쌍의 '미군과 이라크 여인' 금지된 결혼으로 고통

    두쌍의 '금지된' 결혼이 이라크 사막의 공기를 우울하게 물들이고 있다. 플로리다 주 방위군 소속의 션 블랙웰(27)병장과 브레트 대건(37)상병은 지난 4월 이라크의 바그다드에 배

    중앙일보

    2003.10.05 19:03

  • [국민의 힘-유권자운동 2차질의] 유흥수 의원

    "우리지역 국회의원 바로 알기" 부산 수영구 유흥수 의원님께 묻습니다! 2003. 7. 14 생활정치네트워크 국민의힘 정치개혁위원회 의원님 안녕하십니까? "생활정치네트워크 국민의

    중앙일보

    2003.07.11 20:20

  • 병사 10% 성추행 경험 내무반 性범죄 '워치콘'

    군(軍)내 성폭행 및 성추행이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고참병의 성추행을 견디지 못한 일등병이 투신 자살을 하는가 하면, 성폭행을 당한 수치심 때문에 정신질환을 앓는 경우도 발견되

    중앙일보

    2003.07.11 18:17

  • 선진국 사례

    미국과 유럽 각국은 정치자금을 '민주주의 체제의 유지비용'으로 받아들인다. 그 대신 모금과 지출에 있어 투명성과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종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놓고 있다. ◇

    중앙일보

    2002.07.29 00:00

  • 청문회 스타 된 뒤 "민중정치 길 찾겠다"

    민주당 대통령 후보 노무현이 정계에 입문 한 지는 14년이 됐지만 국회의원으로 있던 기간은 5년10개월이다. 총선 때마다 그가 출마했던 점을 감안하면 '비효율의 정치'를 한 셈이

    중앙일보

    2002.05.01 00:00

  • [부음]李完淳씨 外

    ▶李完淳씨 (옥천군 의원) 별세 = 8일 오전7시10분 충북옥천군동이면평산리 자택서, 발인 11일 오전9시, 0475 - 32 - 3130▶鄭泓植씨 (중외메디칼 영업상무) 별세 =

    중앙일보

    1997.08.09 00:00

  • 방위병 해변서 變死體-가족들 가혹행위 주장

    [西歸浦=梁聖哲기자]폭행사건으로 경찰에 연행돼 조사를 받던 방위병이 사건 당일로부터 10일이 지난뒤 파출소인근 해안가에서변시체로 발견돼 경찰의 가혹행위 여부를 둘러싼 의혹이 제기되

    중앙일보

    1995.03.15 00:00

  • 군 연쇄사고 국민 불안 질타-국방委

    국회 국방위는 19일 이양호(李養鎬)국방장관을 출석시킨 가운데 새해들어 첫번째 전체회의를 열었다. 의원들은 이날 질의에서 지난해에 이어 올들어 잇따라 터지고 있는 군내 사고문제를

    중앙일보

    1995.01.19 00:00

  • 서울商大의 밤 千祥炳시인 미망인 빛내자賞

    ○…서울대상대동창회(회장 張禮準 前상공부장관)주최 「서울대 상대의 밤」행사가 29일 밤 대한상공회의소 상의클럽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洪在馨부총리겸 재정경제원장관과 朴在潤 통상산

    중앙일보

    1994.12.30 00:00

  • 국민의혹사건 국조권 발동하라

    ▲남전희의원 (민정) =광주사태는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노태우 대통령당선자도 노력하겠지만 현직 대통령이 직접 나서는 것이 더 마무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총리의 견해는. 총리

    중앙일보

    1988.01.20 00:00

  • 실록 80년 서울의 봄(21)새 질서 예고…한남동의 총성-12·12의 서울 표정

    12·12사태가 대통령선거의 뜨거운 쟁점의 하나가 되었다. 12· 12사태의 당사자인 정승화 전육군참모총장의 민주당 입당이 7년11개월전의 어느 한밤으로 우리의 기억을 되돌려 놓고

    중앙일보

    1987.11.13 00:00

  • (224)파병실무회의

    정부는 당초 제2의 월남파병안을 그해 (64년) 12월29일부터 시작되는 제46회 임시국회에서 전격적으로 동의를 얻고 1월중에 파병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크리스머스와 일요일

    중앙일보

    1983.07.23 00:00

  • 민족의 증언 목차|4월3일로 총 310회 연재

    ▲가장 길었던 3일(37회) ①=전선과 경무대표정 ②=토요일의 심야 파티 ③=육본의 대책 ④=심야의 비상각의 ⑤∼⑦=국회의 수도사수결의 ⑧=정훈국과 KBS ⑨=대통령의 전화방송 ⑩

    중앙일보

    1972.04.03 00:00

  • 술먹고 군인넷 난동

    【춘천】2일 하오 10시15분쯤 하천군 주문율면 주문 6리에서 인근 주둔 육군 모부대. 김인기상병(24) 등 4명의 군인이 술을 마시고 난동을 부리다 김상병이「카빈」4발을 난사,

    중앙일보

    1971.01.23 00:00

  • 주 월 사병 수당 미군수준 요구

    정부는 주 월 한국군의 수당 삭감을 미 측이 제의해 오면 장교와 사병을 통틀어 미군수당의 수준으로 재조정 할 것을 요구할 방침이다. 정래혁 국방부장관은 24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중앙일보

    1970.08.25 00:00

  • 얼룩진 세태

    해방 22년의 전반이 통일을 위한 시도였다면 그 하반은 「분단」이란 기정 사실 위에서 대내적인 충실로 「승공」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내면적 정치투쟁의 과정이었다 할 수 있다. 또

    중앙일보

    1967.08.15 00:00

  • 윤이상씨 등 22명 기소

    「동백림을 거점으로 한 북괴의 대남 공작단 사건」을 수사해 온 서울지검 공안부 이종원 부장검사는 29일 상오 제3차 수사결과로 음악가 윤이상(50·서울 성북구 성북동 128의13)

    중앙일보

    1967.07.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