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리어 단절 걱정되지만…” 변호사 아빠, 전업주부 되다 ⑰ 유료 전용
■ 「 전업주부 남성 20만 시대다. 2011년 14만7000명 수준이던 게 지난해 19만4000명까지 늘었다. 전제 전업주부의 3%에도 못 미치는 수치지만, 지난 10
-
육아휴직 중 해고당한 아빠 “결혼도 출산도 강력추천” 왜 ⑯ 유료 전용
■ 「 국내 육아휴직 제도는 1987년 도입됐다. 남성이 육아휴직을 쓸 수 있게 된 건 그 후로도 8년이 지난 1995년부터다. 하지만 2010년까지도 육아휴직을 쓴 아빠는
-
“빚 내서라도 3가지는 사라” 육아휴직 아빠의 필수 가전 ⑮ 유료 전용
■ 「 국내 육아휴직 제도는 1987년 도입됐다. 남성이 육아휴직을 쓸 수 있게 된 건 그 후로도 8년이 지난 1995년부터다. 하지만 2010년까지도 육아휴직을 쓴 아빠는
-
요즘 엄마·아빠는 □□□가 다르네 [1980년대생 양육자가 온다]
━ 1980년대생 양육자가 온다 hello! Parents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초산 연령은 32.3세. 밀레니얼 세대로 불리는 19
-
“의사 부부면 남편이 개원한다” 파트타임 여의사의 직격 ⑨ 유료 전용
■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1년 한국의 파트타임 근로자(25~54세)는 162만3000명. 이 중 66.2%(107만5000명)가 여성이다. 최근 10년
-
“남편이 하면 라떼파파고, 내가 하면 그냥 애엄마냐” ⑧ 유료 전용
■ 「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에 따르면 2021년 한국의 파트타임 근로자(25~54세)는 162만3000명, 이 중 66.2%(107만5000명)가 여성이다. 최근 10년
-
본인·남편·부모 다 희생했다…어느 ‘야망의 워킹맘’ 하루 ⑥ 유료 전용
■ 「 일하는 엄마가 그렇지 않은 엄마와 비등해졌다. 통계청 데이터뿐 아니라 hello! Parents가 만난 양육자 사이에서도 그 특징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일하지 않는 엄
-
“집 사려거든 결혼해라” 80년대생 양육자들의 결론 ③ 유료 전용
결혼도 출산도 하지 않는 시대, 80년대생 양육자들은 왜 결혼이라는 선택을 했을까? hello! Parents가 만난 11명의 80년대생 양육자는 대체로 “하지 않겠다고 생각해본
-
일하는 엄마, 가정적인 아빠…80년대생 양육자 11명 누구 ② 유료 전용
hello! Parents가 1980년대생 양육자를 들여다보는 방법으로 대규모 설문조사 대신 1:1 심층 인터뷰를 택했다. 대규모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을 세
-
80년대생 양육자가 온다…“난 부모와 달라” 11명의 고백 ① 유료 전용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초산 연령은 32.3세. 1988년생이 2년 전 양육자가 됐다. 밀레니얼 세대로 불리는 1980년대생들이 본격 양육자
-
"시대 변한 걸 알지만, 아이 공부 욕심은 못 놓겠어요" 교사 엄마의 고민 유료 전용
■ 「 중학교 1학년(13)과 초등학교 5학년(11) 두 딸을 키우고 있는 현직 교사입니다. 학창 시절 전 모범생이었어요. 공부도 제법 잘했고, 덕분에 교대에 진학할 수 있었
-
자해하며 자퇴한다는 아이, 사춘기 반항? 정신병일 수 있어요
☞아이는 소중합니다. 그런데 삶은 불확실하죠. 때문에 아이를 키운다는 건 누구에게나 조심스럽고 어려운 일일 겁니다. 여기에 코로나19라는 거대한 위협이 얹어졌습니다. 신의진 연세
-
“너무 예민해도, 너무 무덤덤해도 문제" 양육자 성향이 아이 우울증 부추긴다
☞아이는 소중합니다. 그런데 삶은 불확실하죠. 때문에 아이를 키운다는 건 누구에게나 조심스럽고 어려운 일일 겁니다. 여기에 코로나19라는 거대한 위협이 얹어졌습니다. 신의진 연세
-
[이은형의 슬기로운 조직생활] 왜 아빠휴직 의무화인가
이은형 국민대 국민인재개발원장·교수 “오 주임 말이야, 차기 과장감이라고들 했는데 사내 결혼하고 육아휴직 두 번 다녀오면서 만년 주임으로 주저앉았잖아.” 드라마 ‘기상청 사람
-
부모에겐 욕하면서 남친에겐 다 퍼줘요…19살 딸, 문제는 세살 때
☞아이는 소중합니다. 그런데 삶은 불확실하죠. 때문에 아이를 키운다는 건 누구에게나 조심스럽고 어려운 일일 겁니다. 여기에 코로나19라는 거대한 위협이 얹어졌습니다. 신의진 연세
-
"구구단 외우면 바보 된다, 그려라" 깨봉수학 만든 조봉한 대표
☞이 기사 깨봉수학을 만든 조봉한 대표의 인터뷰 전문을 발췌한 것입니다. 전문이 궁금하다면 밀레니얼 양육자를 위한 콘텐츠 서비스 hello! Parents로 오세요! 깨봉수학을
-
공부 관심 없는 아이, 친구따라 독서실 간대요…어쩌죠 선생님?
☞아이는 소중합니다. 그런데 삶은 불확실하죠. 때문에 아이를 키운다는 건 누구에게나 조심스럽고 어려운 일일 겁니다. 신의진 연세대 소아정신과 교수가 Hello! Parents와
-
문제없던 애, 대뜸 엄마에 주먹질…"ADHD 아닌 이 병 의심" [괜찮아, 부모상담소]
☞아이는 소중합니다. 그런데 삶은 불확실하죠. 때문에 아이를 키운다는 건 누구에게나 조심스럽고 어려운 일일 겁니다. 여기에 코로나19라는 거대한 위협이 얹어졌습니다. 신의진 연세
-
코로나, 9·11테러처럼 장애 남겼다 "아이들 30% PTSD 시달려"
☞정운선 교수 인터뷰 전문 중 일부를 발췌한 기사입니다. 중앙일보가 밀레니얼 양육자를 위해 만든 hello! Parents로 오시면 전체 기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아이들이 ADHD 검색 시작했다…'코로나 2년' 충격의 뇌폭동
“아이들이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를 검색하기 시작했습니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과 비교해 2년 사이 3배 이상이 늘었어요” 코로나19가 아이들에게 미친
-
"세 살 지능 평생 갈 수 있다" 신의진 교수가 경고한 이 행동
☞신의진 교수 인터뷰 전문 중 일부를 발췌한 기사입니다. 중앙일보가 밀레니얼 양육자를 위해 만든 hello! Parents로 오시면 전체 기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휴가 무제한, 고과·보고 없는 토스 “자유 주면 영웅이 나온다”
이 회사에는 없는 게 많다. 직급이 없고 인사 고과, 조직별 성과지표(KPI)도 없다. 근태 체크 없고 휴가는 무제한이며 승인 절차도 없다. 회사 정보 공유와 1억원 상당의 스톡
-
[밀레니얼 트렌드 사전] 바이미 신드롬
서정민 스타일팀장 지난해 말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가 발간한 『트렌드코리아 2020』의 10가지 키워드 중 하나가 ‘팬슈머’였다. 무언가를 열광적으로 좋아하는 사람을 뜻하는
-
[ONE SHOT] ‘랜선 집사’들의 선택…함께 하고 싶은 견종과 묘종은?
랜선 집사들의 선택... 함께 하고 싶은 견종과 묘종은?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전국 만 19~34세 반려동물 콘텐트 소비자 808명을 대상으로 반려동물 양육 및 콘텐트 소비 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