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자연 하수와 생활 하수|분단처리키로

    서울의 하수도가 가정의 부엌·목욕탕·화장실 정화조를 통해 나오는 생활 하수와 임야·정원·도로 등에서 나오는 자연 하수를 따로 받아 처리하는 분류식 하수도 체계로 바뀐다. 서울시는

    중앙일보

    1978.11.11 00:00

  • 집단주택의 교육시설 부지

    대단위 단독주택 지역이나 「아파트」· 연립주택등 공동주택 단지에 대한 주택건설업자들의 부대수리시설 설치의무를 규정한 주택건설촉진법 시행규칙이 최근 개정됐다. 개정규칙으로 주택건설업

    중앙일보

    1978.10.25 00:00

  • 채소류값 더 낮출수 있다

    최근 일련의 생필품 가격인장 「러시」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졌던 것이 식품비중에서도 배추동의 소채류 값이었다. 소채류의 심한 가격등귀는 도시가계에 큰 부담을 주었을 뿐 아니라 다른 물

    중앙일보

    1978.10.11 00:00

  • 구실아파트|44동준공

    구실아파트건설공사(제3차)가 7일 준공됐다. 이 「아파트」는 서울시가 강남구 잠실토지구획정리지구5 「블록」대지 2만7천2백평에 44동 1천4백80가구분을 세운것으로 지난해10월15

    중앙일보

    1978.10.07 00:00

  • 「물질」만 있고 사랑은 메말라…"불안한 가정"이 늘고 있다|이효재 교수, 가족학회 발표회서 진단

    『수출 1백억「달러」·산업화』사의의 한국가족은 지금 어떤 상황에 놓여있는가. 전통적 봉건사회에서 근대화 민주가정으로 옮겨가는 과도기라고 흔히 지적돼 왔는데 과연 오늘 한국 가정의

    중앙일보

    1978.05.22 00:00

  • 여의도 꽃동네 조성|구청예산·헌수로만

    영등포구는 6일 주민들의 성금으로 조성하려던 여의도 새마을 꽃동네 만들기 사업을 대폭 수정, 구청예산과 주민헌수만으로 윤중제 주변 8㎞에 꽃나무단지를 조성키로 했다. 영등포구는 이

    중앙일보

    1978.05.06 00:00

  • 시흥일대 아파트 대상지 3·8㎢에 기준지가 고시지역 지정

    건설부는 주택공사의 서민「아파트」를 짓기 위해 경기도 시흥군 서면 철산리103의1, 광명리 158의 209, 하안리 651의1, 하안리 산∽의 1, 철산리 289의 2등을 연결하는

    중앙일보

    1978.04.21 00:00

  • 종로3가등 재개발 예정지구 필지별 용도를 세분화

    서울시는 앞으로 지정 될 도심재개발지구에 대해서는 종래와는 달리 필지분할과 동시에 싱가·사무실·택지등 필지별 용도를 세분화하여 지구당 1개소 정드의 「아파트」를 건립, 그 지구내

    중앙일보

    1978.02.15 00:00

  • 앞으로 짓는 모든아파트 건폐율 2%낮추기로

    서울시는 6일 앞으로 짓는 모든 「아파트」 의 건폐율을 낮추고 「아파트」 와 「아파트」간의 거리를 넓히는 한편 지하실 높이를 3m이상이 되도륵 했다. 또 단지안에 일정한 규모의 비

    중앙일보

    1978.02.06 00:00

  • (5)국민학교 반장선거

    『제가 당선된다면 우선 축구공 5개를 마련해 체력증진에 힘쓰는 것은 물론 가장 우수한 축구「팀」을 만들겠읍니다. 힘센 말이 마차를 잘 끌듯이 건강하고 활동적인 사람이 당선돼야 하겠

    중앙일보

    1978.02.02 00:00

  • 부문별 주요 정책 요지

    ▲양곡기금의 적자를 부분적으로 상살하기 위해 일반 재정 부문에서 지출을 최대한 억제. ▲은행 예금 1조2천억원, 주식·사채 5천억원 신탁보험 8천6백억원 등 범 국민적 저축 운동

    중앙일보

    1978.01.21 00:00

  • 「버스」타기가 너무 너무 힘든다

    본철 외출객이 늘고. 각급학교 개학에 따른 교통인구가 크게 증가했으나 증차와 노선조정등 교통대책이 제대로 서 있지 않아 「러쉬아워」에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2일 서울시

    중앙일보

    1976.04.02 00:00

  • 겨울 벗은 동심 뛰놀 곳이 없다

    겨우내 웅크렸던 어린이들이 마음껏 뛰놀고 싶어도 적당한 놀이터가 없다. 그나마 몇 군데 놀이터가 있기는 해도 집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고 놀이기구도 빈약한데다 겨우내 관리 소 홀

    중앙일보

    1975.03.22 00:00

  • 아파트 보일러 매연-주택가 환경 오염 심각

    시내 일부 아파트 단지에 세워진 난방용 「보일러」의 굴뚝에서 내뿜는 매연이 주택가의 대기를 크게 오염시키고 있다. 3일 시 환경 당국에 따르면 영동지구 A-D 차관 아파트 단지 (

    중앙일보

    1975.03.03 00:00

  • (21)올해의 관·민 투자 청사진|경상남도(하)|중공업 뒷바라지

    신라·가락의 그윽한 옛터였던 경남은 70년대에 접어들면서 공업화개발의 전진기지로 도약하고 있다. 대공들이 한가롭게 낚시나 하던 섬 주변은 물론 내륙의 산야까지 깎이고 헐려 국제규모

    중앙일보

    1975.02.08 00:00

  • 천9백81가구 입주할 수 있게|시, 올해 「아파트」등 2백24동 건립

    서울시는 4일 올해 주택건립계획을 확정, 단독주택 1백81동을 영동지구에 짓고 여의도에 「아파트」12동 (6백가가구), 대방동에 「아파트」 5동 (1백20가구) 읕 짓는 등 2백2

    중앙일보

    1973.04.04 00:00

  • 서울 일부지역의 물·공기오염도 국제허용기준 초과

    서울의 공해도 조사결과한강의 수질오염은 곳에 따라 국제허용기준치에 초과하고 있으며 대기오염도도 곳에 따라 기준을 초과하고 있으나 다소 둔화하고있음이 시 위생연구소, 토목시험소, 수

    중앙일보

    1973.01.31 00:00

  • 무허가 판잣집

    서울시의 올해 무허가판잣집 칠거대책은 광주단지주민난동사건으로 사실상 벽에 부닥치고 말았다. 중심지대 판잣집집단으로 이름난 청계천변의 무허가 판잣짐이 마장동까지는 철거되었지만 답십리

    중앙일보

    1971.12.23 00:00

  • (3)주택

    71년 서울시의 주택난 해결은 아파트건설과 광주 대단지 사업으로 나뉘어진다. 여기 투자되는 예산은 모두 72억7천2백만원. 시는 금년에 아파트 80동을 새로 짓고 20만 인구의 위

    중앙일보

    1971.01.07 00:00

  • 주택 관리관제 신설

    서울시는 2일 무허가 판잣집 단속 및 개량과 주택 행정의 일원화를 위해 주택 관리관제를 새로 만들고 주택관리관 산하에 주택행정과·주택개량과 2개과를 두고「아파트」건설 사업소와 광주

    중앙일보

    1970.10.02 00:00

  • 실효 잃어버린 시민「아파트」

    서울시가 지난 68년부터 시민「아파트」 4백 3동을 건립한 이래 처음 올해 들어 실시했던「아파트」입주자 실태조사는 예기치 못했던 어려운 문제점이 도사리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중

    중앙일보

    1970.08.03 00:00

  • (4) 도약하는 지역 사회

    경부 고속도로는 그 건설 효과가 단순히 서울과 부산을 1일 생활권으로 연결하는데 그치는 것이어서는 안된다. 연변 도시의 확산적 개발을 통해 1일 생활권의 범위를 최대한 광역화하는데

    중앙일보

    1970.07.21 00:00

  • 말뿐인 판자집정리

    70년까지 서울시내의 판자집을 모두 없애겠다는 서울시 판자집정리 3개년계획이 완전히 실패로 돌아가고있다. 5월말 현재 서울의 판자집은 12만8천5백60동으로 집계되었는데 이 숫자는

    중앙일보

    1970.06.05 00:00

  • (225)주택

    집은 소시민의 보금자리이며 조그마한 꿈이다. 예로부터 집을 짓는 일은 역사라 일컬어 어려운 일로 생각했으며 집을 한채지어 가지면 생활의 기반을 닦은 것으로 풀이 되고있다. 그만큼

    중앙일보

    1969.11.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