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당근·미역·다시마는 아토피 잡는 ‘먹거리 의사’

    ‘의사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그리스 의학자 히포크라테스는 “음식으로 고치지 못하는 병은 약으로도 고칠 수 없다”고 했다. 우리가 먹는 음식은 건강에 약이 될 수도 있지만 독이 될

    중앙일보

    2009.08.09 01:45

  • 중앙아시아,아세안과 잇단 교류, 유인촌 문화부 장관

    중앙아시아,아세안과 잇단 교류, 유인촌 문화부 장관

    문화는 소통이다. 물이 가야 배가 온다. ‘배’가 다니면 마음도 열린다. 마음이 통해야 친구가 된다. 유인촌(58)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그 사실을 잘 아는 듯했다. “얼마 전

    중앙선데이

    2009.06.06 21:07

  • 대출까지 받아 기부 … “많이 주면 또 얻더라고요”

    대출까지 받아 기부 … “많이 주면 또 얻더라고요”

    고영씨가 ‘러브(love)’의 ‘L’자를 손으로 만들어 보이고 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외국계 컨설팅 회사에서 컨설턴트로 일하는 고영(33) 씨는 마이너스 통장(잔액을 다 쓰면

    중앙일보

    2009.01.02 03:04

  • [배명복시시각각] 카레이스키 디아스포라

    개도국에 대한 무상 원조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활동을 취재하기 위해 몽골을 거쳐 우즈베키스탄에 왔다. 틈을 내 수도 타슈켄트 인근에 있는 ‘김병화 박물

    중앙일보

    2008.04.23 20:53

  • [내생각은…] 고려인 동포들에 한글학교 지어주자

    고려인 동포를 기억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오히려 어디 사는 누군지도 모른다는 편이 옳다. 그러나 그들은 잊혀진 한민족의 뿌리다. 1937년 옛 소련이 일본의 극동지역 내 간첩행위

    중앙일보

    2007.05.29 05:03

  • 옛 발해 '한국의 식량창고' 된다

    4억 평! 연해주에 서울시 크기만 한 이 땅을 한국인이 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가? 지금도 적잖은 농산물이 생산되지만 이제 겨우 시작일 뿐이다. 경작이 본격화되면 ‘한국의 식

    중앙일보

    2006.11.07 11:32

  • 이바센초프 러시아 대사 "아내가 담근 김치 매일 먹어요"

    이바센초프 러시아 대사 "아내가 담근 김치 매일 먹어요"

    "김치를 매일 먹습니다." 7월 1일 서울에 부임한 글레프 이바센초프(60.사진) 주한 러시아 대사의 식탁에는 배추 김치와 오이 소박이가 번갈아 오른다. 미얀마 대사(1997~2

    중앙일보

    2005.10.20 06:00

  • [고선지 루트 1만km] 1. 유민의 길, 생존의 길 - 인천서 선양까지

    [고선지 루트 1만km] 1. 유민의 길, 생존의 길 - 인천서 선양까지

    ▶ 고구려 때 축조돼 당나라의 침입을 막아 왔던 백암산성. 그 앞으로 태자하가 흐르고 광활한 평원이 끝없이 펼쳐져 있다. 고사계 일가가 당나라로 끌려가기 전까지만 해도 고구려 영토

    중앙일보

    2005.08.30 04:38

  • [해외 한민족을 찾아서] 上. "67년 전엔 갈대밭뿐 … 토굴서 살아"

    [해외 한민족을 찾아서] 上. "67년 전엔 갈대밭뿐 … 토굴서 살아"

    ▶ 겨레문화창의단이 4일 타슈켄트 인근 김병화 콜호즈 청년회관에서 개최한 공연 행사에서 고려인들로 구성된 가무단이 부채춤을 추고 있다. 타슈켄트=겨레문화창의단 제공 "러시아 극동에

    중앙일보

    2005.08.17 05:16

  • [내 생각은…] 연해주 한인 거주지 용어 신중해야

    한국과 러시아의 협력이 차츰 무르익는 가운데 러시아 연해주 지역이 언론의 새로운 관심사로 등장하고 있다. 지난 15일 서울에선 이 같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는 작은 행사가 열렸다.

    중앙일보

    2005.03.21 21:01

  • [영화 한편 보고 가세나] 19. 무시당한 제작자

    [영화 한편 보고 가세나] 19. 무시당한 제작자

    ▶ 1989년 모스크바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은 강수연씨와 기념 촬영을 했다. 왼쪽부터 필자, 임권택 감독, 강씨, 김동호 영화진흥공사 사장(현 부산영화제 집행위원장). 내가

    중앙일보

    2005.01.05 18:25

  • 카자흐스탄 고려일보 CD에 담아

    "고려일보는 고려인들의 생활상과 독립운동사를 알아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80년의 역사를 이어가고 있는 한글신문 고려일보. 이 신문의 1938~200

    중앙일보

    2003.11.23 17:35

  • ['계림유사' 국제학술대회] 고려시대 어휘 되살린다

    ['계림유사' 국제학술대회] 고려시대 어휘 되살린다

    양치질이란 말은 어떻게 생겼을까. 고려때 칫솔은 버들가지로 만들었다 하여 '양지(楊枝)'라고 했다고 한다. 때문에 칫솔질은 '양지질→양주질→양추질→양치질'로 발전하게 되었다는 것이

    중앙일보

    2003.10.16 17:53

  • [사람 사람] "나눔과 자비는 내 삶의 모든 것"

    "인생을 최후까지 활화산처럼 살다 가고 싶어요." 세계 52개국의 가난하고 병든 이들을 도운 박청수(朴淸秀.66) 원불교 강남교당 교무. 교무직 정년(68세)을 얼마 남겨놓지 않은

    중앙일보

    2003.04.15 18:45

  • [사람 사람] 로스 킹 교수

    "한국 지식인들은 한국어를 할 수 있는 외국인과 만나도 한국어 대신 외국어를 쓰는 것을 당연시하는 것 같아요. 한국어로 대화하면 자신의 체면이 깎인다고 생각하죠. 젊은 사람들도 한

    중앙일보

    2003.02.17 20:34

  • 제103화인생은나그네길:44. 라디오 DJ로

    얼마 전 서울 성동복지관에 '노래봉사'를 하러갔다. 그곳에서 일하는 신부님의 부탁을 거절할 수 없었다. 뜻하지 않게 그곳에서 1980년대에 함께 라디오 방송 진행을 했던 한인경씨

    중앙일보

    2002.10.10 00:00

  • 전주한농예능학교 학생들 "러시아 동포에 정을…"

    "영하 30~40도의 혹한에 창문도 없는 군대 임시막사에서 벌벌 떨며 고생하고 있을 연해주의 우리 동포들에게 작은 도움이라도 주고 싶어요." 전북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대안학교인

    중앙일보

    2001.12.14 00:00

  • 정동진 '매향터' 관광명소로 조성

    해돋이 명승지인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모래시계공원안 매향(埋香)터가 관광명소로 조성된다. 강릉시는 26일 “정동진에 전해져오는 매향 역사의 현장을 보전하고 관광지로 조성하기 위해

    중앙일보

    2001.11.27 00:00

  • 원불교, 고려인돕기 1억 기증

    중앙아시아 고려인 정착촌 건설 사업이 원군을 만났다. 원불교 서울 강남교당이 20일 교인 1백80여명이 모은 1억2백여만원을 '우리민족 서로돕기운동'에 전달한 것. 이 사업은 인종

    중앙일보

    2001.10.22 00:00

  • 스펙터클은 화려하지만...'무사'

    넓은 사막에 몇 명의 남자들이 걸어간다. 길을 잃은걸까? 아니면 행군중일까? 이들은 하나같이 눈가에 살기를 품고 있으며 거대한 칼을 지니고 있다. 적들을 만난 무사들은 호쾌한 액션

    중앙일보

    2001.08.21 11:25

  • 정권 찬탈 무신 그 인간적 명암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의 탄력적인 서술방식을 고려 무신정권 1백년사에 도입해본 실험적인 역사 에세이. 읽다 보면 독자를 주눅들게 만드는 역사학 논문과 견줘 친절함은 비

    중앙일보

    2001.06.09 07:49

  • [신간 리뷰] '고려 무인 이야기 1'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의 탄력적인 서술방식을 고려 무신정권 1백년사에 도입해본 실험적인 역사 에세이. ' 읽다 보면 독자를 주눅들게 만드는 역사학 논문과 견줘 친절함은

    중앙일보

    2001.06.09 00:00

  • ['관광특구' 개성 명소는…]

    김한길 문화관광부 장관이 지난 14일 개성.금강산의 관광특구 합의를 발표함에 따라 개성지역 관광에 대한 관심이 높다. 오는 9월 경의선이 개통되면 열차로 서울에서 개성까지 한시간

    중앙일보

    2001.03.20 00:00

  • 러시아 한인 유랑사 다룬 무용작품 무대 오른다

    러시아 한인의 유랑사를 다룬 무용작품이 3월4일 문예회관 대극장 무대에 오른다. 서울현대무용단의 '유랑(流浪)' (박명숙 안무). 배경은 1937년 소련의 동쪽 끝 연해주. 어느날

    중앙일보

    2001.02.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