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BOOK북카페] 굶주렸던 어린 시절 책이 있어 행복했지만 …

    [BOOK북카페] 굶주렸던 어린 시절 책이 있어 행복했지만 …

    독서 김열규 지음, 비아북 316쪽, 1만4000원  “나의 성장기는 굶주림의 시대였으나 책이 있어 너무 행복했다. 그러나 지금은 모든 것이 풍요롭지만 정신과 교양은 굶주림의 시대

    중앙일보

    2008.09.06 01:04

  • 민족종교가 ‘2% 종교’라고?

    2000년 세밑이었다. 가수 조영남이 펴낸 따끈한 신간 ‘예수의 샅바를 잡다’(나무와 숲)를 읽다가 “옳다구나!” 싶었다. 흔한 신학 에세이와는 달랐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200

    중앙일보

    2007.11.03 12:52

  • 일반인들 인문학 갈증 푸세요

    일반인 대상의 인문학 강좌 두 개가 개설됐다. 우선 ‘문지문화원 사이’(공동대표 이인성·채호기, www.saii.or.kr)와 ‘다음세대재단’(대표 문효은)이 함께 마련한 ‘지성의

    중앙일보

    2007.06.25 05:56

  • NEXT WEEK GUIDE

    NEXT WEEK GUIDE

    지성의 향연-‘문지문화원 사이’ 석학 강연6월 25일(월)~8월 24일(금) 문지문화원 사이문의: 02-323-4207출판사 ‘문학과지성’이 운영하는 ‘문지문화원 사이’(공동대표

    중앙선데이

    2007.06.16 16:41

  • 生의 저편을 읽는 네 가지 시선

    生의 저편을 읽는 네 가지 시선

    위암 말기 판정을 받은 중년 남자가 고향집을 찾아간다. 남자는 생의 시작이 언제였는지 궁금하다. 돌아가신 어머니는 ‘뒤꼍 문턱에 아침 햇빛이 비칠 무렵’이라고만 알려주신 터였다.

    중앙선데이

    2007.06.02 18:50

  • [week&쉼] 비밀화원 萬花方草

    [week&쉼] 비밀화원 萬花方草

    한 달 전 봄바람에 흥미로운 소문이 실려왔습니다. '충무·거제·고성 통틀어 가장 높은 벽방산(650m). 그 중턱에 '비밀의 화원'이 있다. 야생 녹차밭에 산벚꽃이 흐드러지게 핀다

    중앙일보

    2007.04.05 13:46

  • [새책] 인문·사회 外

    [새책] 인문·사회 外

    인문·사회 ◆페르시아 전쟁(톰 홀랜드 지음, 이순호 옮김, 책과함께, 644쪽, 2만3000원)=인류 최초의 동.서양 문명충돌이었던 페르시아 전쟁의 전모를 객관적 시각으로 조망한다

    중앙일보

    2006.12.22 21:39

  •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인문·사회 ◆마키아벨리(레오 스트라우스 지음, 함규진 옮김, 구운몽, 492쪽, 2만5000원)=미국 네오콘의 사상적 스승으로 꼽히는 세계적 정치철학자가 마키아벨리의 주요 저서 '

    중앙일보

    2006.07.21 20:22

  • [BOOK깊이읽기] 넓고 깊은 전설·신화 한국인 '삶의 행로'

    [BOOK깊이읽기] 넓고 깊은 전설·신화 한국인 '삶의 행로'

    한국인의 자서전 김열규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278쪽, 1만2000원 "토머스 불핀치가 그리스 로마 신화의 열쇠를 쥐고 있다면, 한국 신화의 열쇠는 김열규 교수에게 있다." '한국

    중앙일보

    2006.05.12 20:43

  • 부경대·신라대 리더십 전문 과목 개설

    부경대가 전문 리더십 과목을 개설했고,신라대는 내년에 개설한다. 부경대는 '21세기 리더십'이라는 교양선택 과목(1학점)을 개설, 2학기부터 정원 330명으로 운영한다. 강좌엔 '

    중앙일보

    2005.09.02 07:05

  • [분수대] 슬픈 욕설

    [분수대] 슬픈 욕설

    욕설은 벗어남, 어긋남이다. 파괴며 폭행이고 일탈이다. 그래서 폭발력이 크다. 어떤 학자는 욕설의 뿌리를 계급사회였고 상하가 유별났던 우리 역사에서 찾는다. 낭자한 욕설과 상소리

    중앙일보

    2005.06.27 20:41

  • [지식계의 새 물결] 生死學의 목표는 '오늘 이곳의 삶 의미있게 하기'

    자살로 인한 사망률이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률보다 높아졌다는 통계청의 발표는 다소 충격적이다. 통계청이 25일 내놓은 '2002년 사망 원인 통계 결과'자료에 따르면, 인구 10만명

    중앙일보

    2003.09.28 16:50

  • '한국인은 누구인가 … ' 김열규교수 릴레이 강좌

    나는 누구며, 한국인은 또 누구인가. 계명대 김열규(金烈圭.71.사진)석좌교수가 이런 물음을 던지며 지난 15일부터 11월 24일까지 대구에서 모두 11회에 걸친 릴레이 강좌를 마

    중앙일보

    2003.09.17 20:32

  • [책꽂이] '까마귀가 쓴 글' 外

    [책꽂이] '까마귀가 쓴 글' 外

    ◇까마귀가 쓴 글(김현영 지음, 문학동네, 8천5백원)=소설집 '냉장고'로 주목받았던 작가의 두번째 소설집. 까마귀의 입을 빌려 인간 세계를 풍자한 '까마귀가 쓴 글' 등 8편이

    중앙일보

    2003.09.05 17:45

  • '재외동포 교육' 국제 학회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이사장 서영훈)은 7월 29일부터 8월 1일까지 전세계 30여개국의 한글 교사와 한국학 교수 및 전문가 등 2백50여명를 초청, 서울 신라호텔 다이너스티 홀에서

    중앙일보

    2003.07.25 08:39

  • [사람 사람] 원로 국문학자들 뭉쳤다

    [사람 사람] 원로 국문학자들 뭉쳤다

    고희를 넘긴 국어.국문학계의 원로 학자 9명이 모여 학술동인지를 펴낸다. 한국 학계 최초로 '70대가 만든 동인지'를 선보이는 주인공들은 이기문(73).김완진(72).안병희(70)

    중앙일보

    2003.03.19 17:54

  • 김열규 교수 한국학연구원장 임용

    국문학자 김열규(金烈圭.71.사진)교수가 계명대 석좌교수에 임용됐다. 계명대는 28일 金교수를 한국학연구원장에 임명하고, 국문학적 업적을 바탕으로 건축 중인 99칸 전통한옥 '계명

    중앙일보

    2003.03.02 21:34

  • '소월 탄생 1백년'학술대회

    한국시학회(회장 김현자 이화여대 교수)는 26일 오전 10시 고려대 서관에서 '탄생 1백주년 시인 집중조명-김소월' 학술대회를 연다. 인제대 김열규 교수가 '소월시의 민속성과 서

    중앙일보

    2002.10.24 00:00

  • '사이버 유토피아'를 꿈꾸며

    고독한 호모디지털/김열규 지음/한길사/1만5천원 『메멘토 모리,죽음을 기억하라』 『한국인 우리들은 누구인가』등으로 독자들에게 친숙한 인제대 김열규 교수가 쓴 무게있는 에세이집이다.

    중앙일보

    2002.06.29 00:00

  • "죽음에 눈떠야 삶의 가치가 산다"

    "뛰어난 법력(法力) 의 한 스님이 있었다. 그는 '물구 참선', 그러니까 물구나무 선 참선으로 죽음을 맞았다. 열반 며칠이 지나도 그랬다. 밀어도 까딱 않고 송곳처럼 꼬장꼬장했다

    중앙일보

    2001.10.27 08:30

  • [행복한 책읽기] '메멘토 모리-죽음을 기억하라'

    "뛰어난 법력(法力)의 한 스님이 있었다. 그는 '물구 참선', 그러니까 물구나무 선 참선으로 죽음을 맞았다. 열반 며칠이 지나도 그랬다. 밀어도 까딱 않고 송곳처럼 꼬장꼬장했다

    중앙일보

    2001.10.27 00:00

  • 최명희 '혼불' 전북대서 연구서 출간

    평생을 대하소설 『혼불』(한길사.전10권)집필에 메달리다 기진해 1998년 타계한 최명희의 '혼불' 이 다시 타오르고 있다. 작가의 모교인 전북대학교 전라문화연구소는 최근 『혼불』

    중앙일보

    2001.08.14 00:00

  • 김열규씨 산문집 '고향 가는 길' 펴내

    "합동의 공간, 합일의 공간, 사귐과 어울림의 공간이던 그 우리의 마당. 거기엔 지기(地氣) 말고도 사람 온기가 고여있었다. 지심(地心) 에 인정이 얼리면, 사람들은 각기 제 마음

    중앙일보

    2001.07.03 07:58

  • 김열규씨 산문집 '고향 가는 길' 펴내

    "합동의 공간, 합일의 공간, 사귐과 어울림의 공간이던 그 우리의 마당. 거기엔 지기(地氣)말고도 사람 온기가 고여 있었다. 지심(地心)에 인정이 얼리면, 사람들은 각기 제 마음의

    중앙일보

    2001.07.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