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불량식품 신고 받으면 기동반이 현장에 출동

    보사부는 6일 국민건강을 해치는 유해·불량식품을 뿌리뽑기 위해 모든 식품제조업소와 식품점검 검사 결과를「컴퓨터」로 처리, 이 가운데 추출되는 문제식품업소와 문제식품을 중점적으로 관

    중앙일보

    1979.03.06 00:00

  • (4)부정식품을 몰아내자

    서울마포구창전동 박영애양(9)과 동생 대식군(6) 남매는 지난해 11월l2일 집 근처 구멍가게에서 산 팥빵을 먹은 뒤 1시간도 채 안 돼 갑자기 배를 움켜잡고 뒹굴었다. 당황한 어

    중앙일보

    1979.01.08 00:00

  • 신품제조허가증에 프리미엄|신규허가 지나친 제한으로|독과점악용, 값을 조작

    두부·간장·국수등 일상생활에 쓰이는 식품제조·가공업체의 신규허가가 지나치게 제한되어있어 기존업체의 영업권(허가증)이 거액에 거래되는등 이권화되고 있으며 일부업체는 독과점을 악용해

    중앙일보

    1978.09.20 00:00

  • 유해 식품 단속 불량 제조·판매업소 천6백10곳 적발

    보사부는 7일 내무부·농수산부·국세청·수산청 및 각 시·도 합동으로 제3차 여름철 유해식품 특별 단속을 벌여 불량식품제조업소 76개소와 식품판매업소 1천5백43개소를 적발, 행정

    중앙일보

    1978.09.07 00:00

  • 여름 유해식품 등 집중 단속

    서울시는 여름철 식중독과 전염병 예방을 위해 각 구청별로 3인1조 각10개 반 총3백90명을 투입, 9일부터 월말까지 식품접객업소·정육점·수영장에 대한 집중단속을 펴기로 했다. 단

    중앙일보

    1978.08.09 00:00

  • 유해식품업소 27곳 고발

    서울시는 지난달 29일부터 8일까지 10일 동안 여름철 하계 유해식품특별단속을 실시, 무허가제조업소 27개소를 적발하여 고발하고 학교주변·유원지 등에서 팔리고있는 불량식품 6백21

    중앙일보

    1978.07.13 00:00

  • 유해식품 만들어 판 6백 업소 적발

    여름철 배앓이의 복병 불량식품이 늘어나고 있다. 보사부는 6윌29일부터 7월11일까지 유해식품 단속을 벌인 결과 단속대상 식품제조업소(1천6백89개소)의 35%(5백97개소)가,

    중앙일보

    1978.07.12 00:00

  • 과자·청량음료·아이스크림·차·두부·면·장·엿·첨가물·어육 가공품|10개 식품 신규도 허가

    보사부는 4일 지금까지 신규허가를 일체 금지해왔던 과자류·청량음료·「아이스크림」류·다류 등 10개 업종에 대한 제조업허가 제한조치를 철폐, 신규허가를 개방키로 했다. 보사부는 청량

    중앙일보

    1978.05.04 00:00

  • 유해식품 단속

    서울시는 18일 유해식품을 뿌리뽑기위해 3월말부터 5월말까지 2개윌동안 금년도 상반기 유해식품특별단속을 펴기로 했다. 서울시는 이번 단속에서 봄철 성수식품·대량유통식품및 어린이용

    중앙일보

    1978.03.18 00:00

  • 불량식품 단속 연중 계속키로

    보사부는22일 올해를 「부정·불량식품근절의 해」로 정하고 6월부터 9월까지 관계부처와 합동단속을, 나머지기간동안은 시·도자체단속을 실시하는등 연중계속 단속을 펴 불량식품을 뿌리뽑기

    중앙일보

    1978.02.22 00:00

  • 유해식품과 불량식품

    우리 사회에는 아직도 유해·불량식품이 처에서 판을 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위협은 심각하다. 여기서 말하는 유해식품이란 제조과정에서부터 알면서 인체에 유해한 화공약품 등을 첨가한 유

    중앙일보

    1978.01.31 00:00

  • 식품 3만종 수거검사

    보사부는 25일 올해 연24만 개소의 식품개조·판매업소 단속. 3만점의 제품을 수거 검사하고 「카바레」·「비어·홀」등 접객업소의 퇴폐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등을 내용으로한 식

    중앙일보

    1978.01.25 00:00

  • (6)우리주변의 부조리와 병폐를 없애기위한 연말 「캠페인·시리즈」|불량식품

    어린이들이 즐겨먹는 과자류를 비롯, 석회로 굳힌두부, 수은으로 기른 콩나물, 톱밥에 물감을 들인 가짜 고추가루, 담뱃가루를 넣어 색을 낸 「꽁피」(꽁초「코피」), 공업용페유로 만든

    중앙일보

    1977.12.28 00:00

  • 모든 식품의 포장지에 변질품 교환장소 표시

    보사부는 21일 변질 부패식품의 발생을 막기 위해 식품「메이커」측의 의무규정을 크게 강화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는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마련, 법제처에 넘겼다. 개정된 시

    중앙일보

    1977.12.21 00:00

  • 위험과 사고 속의 어린이들

    어른들의 무관심과 약삭빠른 상혼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과 심신의 안전이 끊임없는 위협을 받고 있음은 안타깝기 이를데 없는 일이다. 스스로는 건강과 안전을 지킬 능력이 없는 이들 철

    중앙일보

    1977.03.24 00:00

  • 허가 업소 식품 15·8%가 유해

    유해 식품 단속 중앙 대책 본부는 17일 3차 단속 기간인 9, 10월 2개월 동안 전국 식품 제조 허가 업소에서 만든 식품 8백99건을 수거, 이중 4백5건을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중앙일보

    1976.11.17 00:00

  • 유해식품 암행단속|21일∼12월20일까지

    유해식품단속 중앙대책본부는 1일 유대식품에 대한 계속적이고 체계적인 단속을 통해 단속의 효과와 유통식품의 안정도를 높이도록 이날부터 오는 12월20일까지 부정기 암행단속을 펴기로했

    중앙일보

    1976.09.21 00:00

  • 허가업소 식품도 8.1%가 유해

    유해식품단속중앙대책본부는 18일 8월 한달 동안 전국식품제조허가업소에서 만든 식품 1천6백60개 품목을 수거, 국립보건연구소에서 성분 검사한 결과 8·1%에 해당하는 1백34개품목

    중앙일보

    1976.09.18 00:00

  • 시설미비 식품업소 8백30개소를 적발|27개소 영업정지

    유해식품단속 중앙대책본부는 27일 전국식품제조허가업소 1천2백4개소에 대한 시설조사를 실시, 시설기준에 부적합한 8백30개 업소를 적발, 이중 27개업소를 영업정지처분하고 나머지

    중앙일보

    1976.08.27 00:00

  • 무허식품 천백23점압수, 폐기

    유해식품 특별단속 중앙대책본부는 지난 1일부터 전국에 절쳐 각종 유해식품을 단속한 결과 ▲허가업소에 대해서는 2천1백22개소를 조사, 이중 2천7백76개 제품을 수거, 검사의뢰했고

    중앙일보

    1976.07.16 00:00

  • 허가받은 식품에서 유독물질 검출많아

    유해 식품 특별단속이 계속되면서 고기류와 젓갈류「아이스크림」등 허가제조 식품에서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는 유독물질이 검출되고 있다. 7일 유해식품 특별단속 중앙대책본부에 들어온

    중앙일보

    1976.07.07 00:00

  • 혼분식 2회 어기면|허가취소하기로

    서울시는 21일 각음식점·숙박업소의 혼분식을 강화키 위해 위반업소에 대한 처벌기준을 강화키로했다. 강화된 처별 기준은 ▲잡곡혼식위반 ▲무미일 위반 ▲7분도이하쌀 사용위반 ▲쌀을 이

    중앙일보

    1976.02.21 00:00

  • 빵·과자·면류·청량음료등에 밀가루·설탕사용량을 줄이기로

    보사부는 11일 원료난이라는 이유로 앞으로 밀가루와 설탕의 사용량을줄이는 절약방안을 마련, 관계부처의 협의를 거쳐 실시할 방침을 발표했다. 이에따르면 빵류·과자류·면류(국수·라면등

    중앙일보

    1974.05.11 00:00

  • 과자·엿·청량음료·빙과·두부등 9개식품 제조업 신규허가금지

    보사부는 8일 개정식품위생법상의 「영업허가의 제한권」을 처음으로 발동, 시·도지사가 갖고있는 식품영업허가권을 일부제한, 과자류·엿류·청량음료·두부·빙과·면류·어육연제품·장류·첨가물

    중앙일보

    1974.04.08 00:00